2023.11.26 (일)

  • 흐림동두천 5.5℃
  • 구름많음강릉 9.8℃
  • 흐림서울 7.0℃
  • 흐림대전 8.0℃
  • 흐림대구 9.8℃
  • 구름많음울산 10.3℃
  • 구름많음광주 10.8℃
  • 흐림부산 10.1℃
  • 구름많음고창 8.9℃
  • 구름많음제주 13.1℃
  • 흐림강화 5.2℃
  • 흐림보은 8.4℃
  • 흐림금산 7.8℃
  • 구름많음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0.0℃
  • 흐림거제 9.7℃
기상청 제공

사회


수면장애 진료 인원 작년 110만명 돌파

  • 등록 2023.10.01 10:09:06

 

[TV서울=변윤수 기자]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들이 갈수록 늘고 있다. 특히 50대 중장년층이 쉽사리 잠들지 못하거나 잠들더라도 중간에 자꾸 깨는 등 불면증으로 고통받고 있다.

1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서울 송파구병)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받은 '최근 5년간 수면장애/비기질성 수면장애 진료 현황' 자료를 보면, 잠 못 드는 사람은 2018년 91만606명, 2019년 99만8천795명에 이어 2020년 103만7천279명으로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어 2021년 109만8천980명으로 늘고서 2022년에는 116만3천73명으로 처음으로 110만명을 넘어섰다.

2018년과 견줘서 2022년 수면장애와 비기질성 수면장애로 진료받은 인원은 25만2천467명이 늘어나 5년 새 27%의 증가세를 보였다.

 

2022년 기준으로 연령별로 살펴보면 60대 26만6천925명(22.9%), 50대 21만8천627명(18.7%), 70대 19만6천58명(16.8%), 40대 16만3천467명(14%), 80대 이상 13만2천526명(11.3%), 30대 10만9천944명(9.4%), 20대 6만4천788명(5.5%), 10대 8천623명(0.7%), 10세 미만 2천115명(0.18%) 등의 순이었다.

50대 이상 중장년층이 81만4천136명으로 전체 인원의 약 70%를 차지했다.

수면장애 치료에 들어간 진료비는 2018년 1천526억에서 2022년 2천852억으로 약 1천326억이 늘어 약 87% 증가했다.

수면장애(G47)는 비기질성 수면장애(F51)와 관련된 영역(비기질성 수면장애, 악몽, 수면 야경증, 몽유병)을 제외한 신경계/척수 부위와 관련된 불면증, 과다수면장애 등을 말한다.

의료계에 따르면 불면증은 충분히 잘 기회와 시간이 있는 데도 잠들기 힘들거나 자꾸 깨거나 혹은 두 가지 증상이 모두 나타나면서 일상생활에 문제가 생길 때를 말한다.

 

불면증은 스트레스나 걱정 등으로 인해 누구에게나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

불면증을 치료하려면 무엇보다 잠에 대한 집착을 내려놓는 것이 중요하다. 적정 수면 시간이라는 건 사람마다 다르다. 몇 시간 이상을 반드시 자야 한다고 생각하다 보면 되레 불면증이 생길 수 있다.

이유진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람마다 잠이 짧을 수도, 길 수도 있기에 잠에 너무 집착하면 안 된다"며 "낮은 낮답게, 밤은 밤답게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일상을 영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매일 규칙적인 시간에 일어나 낮에는 햇빛도 보고 활동도 하면서 생활하다가 저녁에는 차츰 이완의 단계로 접어들며 잠들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도 나아지지 않아 수면 습관을 교정하게 되면 초기에는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수면제 없이도 잠들 수 있게 비약물적 치료에 집중해야 한다. 수면제를 계속 복용하면 약이 없으면 스스로는 잠들 수 없을 것 같은 '심리적 의존'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비약물적 치료를 해야만 약물 복용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교수는 불면증을 '손님'으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조언했다. 예기치 못하게 찾아왔다가 훌쩍 떠나가기도 하고 언젠가는 또다시 올 수도 있는 불청객 같은 존재라는 것이다.

이 교수는 "불면증은 손님 같아서 건강한 수면 습관을 갖춰놓으면 다시 손님이 왔을 때 더 쉽게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다만 잠이 들기 힘들거나, 중간에 많이 깨거나, 새벽에 너무 일찍 깨거나 하는 증상이 일주일에 세 번 이상, 3개월 이상 지속해 일상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전문가와 상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 건강한 수면을 위해 서울대병원이 제안하는 아홉 가지 습관

① 일정한 시간에 눕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수면 패턴이 중요합니다.

② 낮잠을 자지 않습니다. 부득이한 경우에는 오후 3시 이전에 30분 이내로 짧게 잡니다.

③ 카페인과 음주를 줄입니다.

④ 잠자리에 들기 전 흡연을 피합니다.

⑤ 규칙적인 운동을 합니다.

⑥ 잠자리에서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 사용을 피합니다.

⑦ 자기 전에 허기가 진다면 수면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우유, 치즈 등 소량의 간식을 섭취합니다.

⑧ 잠자는 환경을 조용하고 어둡고 편안한 환경으로 만듭니다.

⑨ 잠자리에서 시간을 확인하지 않도록 합니다.


한일 외교장관 부산서 회담…'위안부 판결' 입장교환 주목

[TV서울=이현숙 기자] 한일 외교장관이 26일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열리는 부산에서 양자 회담을 열고 양국 현안을 논의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전 부산의 한 호텔에서 회담했다. 이달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를 계기로 만난 지 10여일 만에 다시 마주 앉은 것이다. 이날 회담에서는 지난 23일 서울고법에서 나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일본 정부 상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 항소심 승소 판결에 대해 양측이 입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 판결에 대해 일본 정부는 강하게 항의하면서 "국제법 위반을 시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한국 정부가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이날 박 장관을 만나서도 일본 정부 입장을 거듭 전달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 정부는 판결에 대해 "2015년 (한일 간) 위안부 합의를 양국 간 공식 합의로서 존중한다는 입장"이라며 외교적 틀 내에서 문제를 다뤄 가겠다는 뜻을 시사한 바 있다. 다만 이번 판결이 지난 3월 강제징용 해법 마련 이후 복원 궤도에 들어선 한일관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회담에서는 북






정치

더보기
한일 외교장관 부산서 회담…'위안부 판결' 입장교환 주목 [TV서울=이현숙 기자] 한일 외교장관이 26일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가 열리는 부산에서 양자 회담을 열고 양국 현안을 논의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가미카와 요코 일본 외무상은 이날 오전 부산의 한 호텔에서 회담했다. 이달 15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를 계기로 만난 지 10여일 만에 다시 마주 앉은 것이다. 이날 회담에서는 지난 23일 서울고법에서 나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일본 정부 상대 손해배상 청구 소송 항소심 승소 판결에 대해 양측이 입장을 주고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이 판결에 대해 일본 정부는 강하게 항의하면서 "국제법 위반을 시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한국 정부가 강구하라고 요구했다. 가미카와 외무상은 이날 박 장관을 만나서도 일본 정부 입장을 거듭 전달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 정부는 판결에 대해 "2015년 (한일 간) 위안부 합의를 양국 간 공식 합의로서 존중한다는 입장"이라며 외교적 틀 내에서 문제를 다뤄 가겠다는 뜻을 시사한 바 있다. 다만 이번 판결이 지난 3월 강제징용 해법 마련 이후 복원 궤도에 들어선 한일관계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회담에서는 북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