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정치


김종인 "'낙준 합당', 매우 어려워…쉽게 용해되지 않아"

  • 등록 2024.01.16 10:48:36

 

[TV서울=나재희 기자]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16일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와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각각 추진하는 신당이 합치는 이른바 '낙준(이낙연-이준석) 합당' 가능성에 대해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김 전 위원장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서 이렇게 예상하면서 "(두 사람의) 개인적, 정치적 목적이 다를 수밖에 없기 때문에 그렇게 쉽게 용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명분상으로는 (단일화가) 맞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마지막 단계에 가면 각각 이해가 달라서 쉽지 않다"며 "어느 한 지역구를 놓고 이 당에도 후보가 나오고, 저 당에도 후보고 나오고 그것을 어떻게 조정하겠느냐"고 지적했다.

김 전 위원장은 '낙준 연대'뿐 아니라 양향자 대표의 한국의희망, 금태섭 대표의 새로운선택, 민주당 탈당파 이원욱·김종민·조응천 의원의 미래대연합(가칭) 등까지 모인 제3지대 '빅텐트' 가능성도 부정적으로 봤다.

 

그는 "각기 지금 당을 만든다고 다 나왔는데, 가능한 사람들끼리 모이면 되는 거지 그걸 다 한꺼번에 묶기는 힘들 것"이라며 "한 정당이 될 수가 없다"고 했다.

이어 "현재로 봤을 땐 이준석의 개혁신당이 그래도 비교적 국민 관심을 많이 받고 있다"며 "그걸 중심으로 각자 양보를 해서 합친다면 모르되, 그렇지 않고서는 쉽게 합쳐지기가 힘들 것이다. 정치하는 사람들이 그렇게 아량이 없다"고 덧붙였다.

김 전 위원장은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에 대해선 "젊고 발랄한 그런 모습을 보이기 때문에 일반 국민 지지가 높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국민의힘의 열성적인 지지자들이 환호하는 것이지 특별히 한 비대위원장의 새로운 지지 세력이 늘어났다고 보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 "한 위원장이 취임해서 지금까지 전국을 돌면서 얘기하지만, 당의 변화한 모습은 하나도 나타나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차기 대권주자 여론조사에서 한 위원장 개인 지지율이 오르고 있는 것을 두고는 "과거 21대 총선 때 황교안 대표 지지도도 24% 가까이 올라갔는데 막상 선거해보니 아무런 의미가 없는 걸로 나타나 버렸다"고 했다.


금감원 비대위, “금융개악 위한 졸속 입법 중단해야”

[TV서울=변윤수 기자] 금융감독원 비상대책위원회는 18일 "금감원 내 정부 조직개편 방안에 따른 입법 대응 태스크포스(TF)의 법안 검토 기간이 이틀 정도에 불과해 졸속 입법"이라며 TF 운영 중단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전날 낸 성명서에서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위해서는 금감위 설치법, 은행법 등 고쳐야 할 법안만 50여개, 고쳐야 할 조문은 9천개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검토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상은 금융개악을 위한 졸속 입법임을 자인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임원과 부서장에게는 TF 운영을 중단하고, 직원들에게 관련 업무지시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은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개악으로서 금감원 전체 직원의 의사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며 "TF를 계속 운영한다면 허울뿐인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동조하고 금융소비자 보호를 적극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개별법에서 금감원장과 금소원장을 나누는 작업을 먼저 요청한 것"이라며 "모든 법을 이틀 만에 검토하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