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6 (수)

  • 맑음동두천 4.1℃
  • 맑음강릉 8.6℃
  • 박무서울 4.3℃
  • 맑음대전 7.1℃
  • 박무대구 5.6℃
  • 연무울산 6.9℃
  • 구름많음광주 8.3℃
  • 맑음부산 8.3℃
  • 구름많음고창 7.5℃
  • 흐림제주 10.6℃
  • 구름많음강화 2.6℃
  • 맑음보은 6.2℃
  • 맑음금산 6.5℃
  • 맑음강진군 7.3℃
  • 맑음경주시 7.0℃
  • 맑음거제 8.4℃
기상청 제공

경제


뉴욕증시, '올해 최악의 한 주' 딛고 반등 마감…다우 1.2%↑

  • 등록 2024.09.10 08:40:44

 

[TV서울=나재희 기자] 지난 주 1년여 만에 최악의 한 주를 보낸 뉴욕증시가 9일(현지시간) 저가 매수세 유입에 반등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484.18포인트(1.20%) 오른 40,829.59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62.63포인트(1.16%) 오른 5,471.05,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93.77포인트(1.16%) 상승한 16,884.60에 각각 마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가 소비 심리 회복을 가져올 것이란 기대에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며 3대 지수 강세를 뒷받침했다.

 

앞서 S&P 500 지수는 지난 한 주 4.3% 하락하며 2023년 3월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악의 한 주를 기록했다.

지난 한 주 14% 급락했던 인공지능(AI) 칩 대장주 엔비디아는 이날 3.54% 반등 마감했다.

기술주 외에도 JP모건체이스(2.05%), 코스트코(2.26%), 아마존(2.34%), 보잉(3.36%) 등 소매업, 은행, 제조업 주요 종목들이 이날 2∼3%대 강세를 보였다.

오는 11일 소비자물가 지표가 발표될 예정인 가운데 투자자들은 새 물가 지표가 연준의 9월 금리 인하 기대를 더욱 정당화할 것이란 기대를 높였다.

투자자문사 DCLA의 사라트 세티 매니징 파트너는 "지난주 다소 과매도가 이어지면서 단기적인 반등이 나타났다"며 "시장은 인플레이션이나 경제의 (중·장기) 전망보다 경제가 지금 당장 어떻게 될지에 매우 집중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불확실성이 커질 때 첫 번째 하는 일은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라며 "특히 올해는 수익률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더욱 그럴 수 있다"라고 말했다.

국제유가도 허리케인이 미 걸프 연안에 접근하고 있다는 소식에 저가 매수 심리가 되살아나며 반등했다.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0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종가는 배럴당 68.71달러로 전 거래일보다 1.54% 상승했다.

11월 인도분 브렌트유 선물 종가는 배럴당 71.84달러로 전 거래일 대비 1.10% 상승 마감했다.


영등포구, 12월 10일 ‘통합 신청사 건립 주민설명회’ 개최

[TV서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가 오는 12월 10일 오후 2시 30분 영등포 아트홀에서 ‘영등포구 통합 신청사 건립 주민설명회’를 열고, 추진 경과와 설계안을 주민들에게 공유한다고 밝혔다. 이번 설명회에서는 ▲경과보고 ▲설계안 설명 ▲질의응답 등이 진행되며, 향후 건립될 신청사에 대한 주민 의견을 듣는 소통의 장이 마련된다. 영등포구청사는 1976년 준공돼 50여 년이 지난 노후 건축물로, 현재 서울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늦게 신청사 건립을 추진 중이다. 앞서 구가 실시한 구민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 71%가 ▲본관과 별관의 이원화 ▲시설 노후화 ▲주차 공간 부족 등을 이유로 신청사 건립 필요성에 공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구는 2023년부터 타당성 조사, 투자심사, 공공건축심의, 도시관리계획 결정 등 사전 행정 절차를 차근히 밟아왔다. 이어 지난 10월 30일 국제설계공모 당선작을 발표하며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 통합 신청사는 현재 당산근린공원에 새로 건립해 이전한 뒤, 기존 구청사를 철거하고 그 자리에 공원을 재조성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이를 통해 구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임시청사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현 당산근린공원 부지 일부






정치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