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김민규 광주본부장] 목포대와 순천대가 전남 통합 의과대학 설립을 위해 큰 틀에서 통합에 합의했다고 전한 전남도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는 반박과 반발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전남 서부권 도의원들은 의대 추진과 관련해 전남도가 "갈지자 행보하고 있다"며 "정치 논리를 내려놓으라"고 사실상 김영록 전남지사를 비판했다. 송하철 목포대 총장은 15일 연합뉴스 통화에서 "어제 순천에서 이주호 교육부총리, 김영록 전남지사, 김문수 국회의원, 이병운 순천대 총장과 오찬에서 목포대와 순천대가 통합에 합의한 적이 없다"며 "통합 합의 사실은 잘 못 알려진 것"이라고 말했다. 송 총장은 "목포대, 순천대 구성원들과 합의도 없이 양 대학 총장이 통합에 어떻게 합의하겠느냐"며 "어제 (의대 설립 실무 책임자인) 강영구 전남도 인재육성교육국장에게 '통합 합의' 자료를 배포하지 말라고 요청했는데도 도가 이러한 자료를 배포한 이유를 모르겠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이와 관련, 전남도는 전날 오후 언론에 배포한 설명자료에서 "이주호 부총리 등이 참석한 오찬 자리에서 순천대와 목포대 총장이 대학 통합의 취지와 필요성에 대해 전적으로 공감하면서 인식을 함께하고 대학 통합을 통해서
[TV서울=김민규 광주본부장] 전남 나주시는 15일 빛가람 혁신도시 내 노후 가로등 교체 사업 입찰 논란과 관련해 감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나주시는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특정 업체 선정을 위해 과도한 스펙 박기 의혹이 제기됨에 따라 관련 부서 관계자를 대상으로 사실 확인에 나섰다고 덧붙였다. 감사원도 이번 사업 입찰 과정에 문제가 제기된 만큼 나주시에 자체 조사를 한 뒤 관련 내용을 보고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은 나주 혁신도시의 보행등을 비롯해 가로등 4천144개를 LED(발광다이오드)로 전면 교체하는 것으로 비용만 30억원에 달한다. 전체 사업비의 40%가량은 사업을 수주한 업체가 선(先) 부담한 뒤 일정 기간에 걸쳐 이자를 얹어 되돌려 받는 이른바 에너지 절약사업(ESCO)으로 추진됐다. 논란은 사업 발주 과정에서 전등을 구성하는 부품 중 하나인 전원 공급용 컨버터(안정기·SMPS)의 조건을 통상 기준보다 크게 높여 특정 업체를 염두에 뒀다는 의혹을 샀다. 나주시는 입찰 조건으로 컨버터(안정기)의 규격을 영하 60도 이하, 영상 90도 이상으로 제시했는데 이는 폭염 등 최근 이상 기후를 고려한다 해도 KS 기준치(영하 30, 영상 60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