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김경진 기자]
서울시는 서울역7017 프로젝트 국제현상설계공모 당선작으로 네덜란드 건축·조경 전문가인 비니마스(Winy Mass)의 '보행길을 수목원으로' (Green City Project)를 주제로 한 '서울수목원'(The Seoul Arboretum)을 최종 선정했다고 13일(수) 밝혔다.
비니마스는 2000년 하노버 엑스포의 네덜란드관, 2030년 파리의 비전을 그려낸 Grand Paris Plus Petit와 같은 프로젝트로 잘 알려진 세계적인 건축 및 도시설계 회사인 MVRDV의 창립자이자 대표이기도하다.
당선작은 고가를 공중(空中)정원으로 조성하는 기본구상안으로 서울역고가를 하나의 큰 나무로 설정했다. 퇴계로~중림동까지 국내 수목을 가나다순으로 심고, 램프는 나뭇가지로 비유해 시가 발표한 17개 보행길을 유기적으로 연계했다.
자연을 매개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생명의 장소로 전환하는 비전과 전략이 미래지향적이고 혁신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승효상 심사위원장(서울시 총괄건축가)은 “당선작은 서울역 일대를 녹색 공간화 하는 확장가능성을 제시한 점과 다양한 시민 및 다양한 주체가 함께 만들어 갈수 있는 프로세스를 중시 했다는 점에서 심사위원들의 폭 넓은 지지를 받았다”고 말했다.
시는 서울역 7017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기 위한 국제현상설계공모를 실시했으며, 노후화된 고가와 주변지역의 특성을 감안해 건축‧조경‧구조 분야의 협업과 근대 산업유산을 되살리는 노하우를 보유한 국내외 초청작가 7명을 선정, 국제 지명초청 방식으로 진행했다.
초청작가는 ▴후안 헤레로스(Juan Herreros, 스페인) ▴마틴레인-카노 (Martin Rein-Cano, 독일) ▴비니마스(Winy Maas, 네덜란드) ▴창융허 (Chang Yung Ho, 중국) ▴조성룡 ▴조민석 ▴진양교 총 7명이 참여했다.
심사는 ▴승효상 서울시 총괄건축가(심사위원장) ▴조경진 서울대 교수 ▴비센테 과야르(Vicente Guallart) 바르셀로나 총괄건축가 ▴도미니크 페로(Dominique Perrault) 건축가 ▴온영태 경희대 교수 등 국내외 명망 있는 건축․조경 전문가 5명으로 구성된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당선작을 선정했다.
2등은 조성룡 작가의 '서울역 고가 : 모두를 위한 길'(The Seoul-Yeok -Goga Walkway for All), 3등은 조민석 작가의 '흐르는 랜드마크 : 통합된 하이퍼 콜라주 도시'(Continuous Landmark Unified Hyper-Collage City)가 선정됐다.
시는 이번 당선작은 확정된 설계안이 아니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설명회, 분야별 전문가 소통을 통해 설계를 구체화할 것이며, 비니마스와는 설계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협상을 진행한 후 6월 중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시는 당선작을 비롯해 총 7개 작품을 오는 5월 18일(월)부터 6월 1일(월)까지 신청사 1층 로비에 전시할 예정이다.
승효상 서울시 총괄건축가는 “서울역고가는 '70년에 만들어져 '17년에 17개의 사람길로 다시 태어난다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산업화와 민주화로 상징되는 근대화의 시간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로의 길을 여는 새로운 시간을 열 것”이라며 “이번 당선작이 지니는 가치와 장점을 구현하기 위해선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가 운영되어야 하며, 특히 당선작이 지향하는 열린 디자인의 정신이 프로젝트 전개과정에서 잘 구현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004 암스테르담 예술대상 수상
2003 미스 반데 로에 상 수상
2002 NAI 2002 수상
2000 프리츠 슈마허 상 수상
1991 델프트 공대 도시, 건축전공
1984 RHSTL 왕립조경대학 조경학 전공
대표작: Market Hall in Rotterdam (2014), Presq’ilede Caen Redevelopment (2013)Glass Farm (2013), HongqiaoAirport Central Business District (2013), Maquinnext(2012), Book Mountain (2012), Grand Paris (2010), Ypenburg(2005), Silodam(2003), BjørvikaBarcode (2003), Villa VPRO (1997), WoZoCoHousing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