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


윤희숙 의원 사퇴안, 본회의 상정도 불투명

  • 등록 2021.08.29 10:34:45

 

[TV서울=이현숙 기자] 국민의힘 윤희숙 의원의 '의원직 사퇴안'이 공중에 붕 뜬 모양새다. 권익위로부터 부친의 부동산 위법 의혹이 제기된 윤 의원은 지난달 25일 의원직 사퇴를 선언했다.

 

본인의 연루 가능성을 강력히 부인하면서도 정치적 책임을 지겠다며 전격적으로 의원직을 내던진 것이다.

 

갑작스러운 사퇴안에 여야 모두 속내가 복잡한 표정이다. 부동산 의혹으로 곤욕을 치르는 민주당으로선 윤 의원을 맹비난하면서도 자칫 사퇴까지 몰아붙였다가 '내로남불' 비판대에 다시 놓일 수 있다는 게 부담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윤희숙발 돌발악재에 선을 그으면서도 '민주당이 당당하다면 사퇴안을 표결하라'고 공을 넘기고 있다.

 

 

일각에선 윤 의원이 과도한 승부수를 던진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본인이 연루 의혹을 일축한 상황에서, 부친의 투기의혹만으로는 의원직을 던질 사안은 전혀 아니지 않느냐는 것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29일 "정작 본인은 연루 의혹을 부인하고, 언론에서는 그런 연결고리없이 부친의 투기 보도만 이어지고 있다"며 "그런 식이면 사돈의 팔촌까지 누가 자유롭겠나. 의원직 사퇴에 여야 모두 갸우뚱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때문에 현재로서는 사퇴안의 상정 여부조차 불투명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국회법에 따라 국회의원 사직서는 회기 중에는 본회의 의결로, 회기가 아닐 때는 국회의장의 허가로 처리된다.

 

가장 가까운 본회의는 오는 30일로 예정돼 있다. 이튿날인 31일에 8월 임시회가 끝나면 다음 달 1일부터 곧장 100일간의 정기국회가 시작된다.

 

이 기간, 박병석 국회의장이 사퇴안을 본회의에 부의하면 무기명 투표를 통해 표결 처리하게 된다. 재적 의원 과반이 출석하고, 출석 인원의 과반이 찬성해야 의결된다.

 

 

안건 상정권을 가진 박병석 의장은 여야에 안건 합의를 요구하고 있지만, 현실적으로 합의는 어려워 보인다.

 

민주당 고위 관계자는 "잘못은 본인이 해놓고 헌법적 책무를 그렇게 헌신짝 버리듯 내팽개치는 게 말이 되느냐"며 "사퇴안은 본회의 상정조차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여야가 '합의'에 이르지 못한다면, 사퇴안은 21대 국회 종료와 함께 폐기 수순을 밟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실제는 절반?…트럼프, 중동 투자·계약유치 성과 '뻥튀기' 논란

[TV서울=이현숙 기자] 중동을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에서 막대한 투자를 유치했다고 자랑하고 있으나 실제보다 규모가 과장됐다는 지적이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에서 나오고 있다. 백악관이 사후에 배포한 참고자료상의 수치가 트럼프 대통령이나 백악관이 발표한 금액에 못 미치면서 '뻥튀기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백악관은 전날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간 6천억달러(약 850조원) 규모의 사업 계약이 담긴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미국 방산기업과 사우디간 1천420억달러 규모의 판매 계약, 사우디 기업의 미국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200억 달러 투자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공개한 사업 계약의 총액은 6천억달러의 절반 정도 수준인 2천830억달러 정도로 집계됐다고 NYT는 보도했다. 트럼프 2기 정부 이전에 이미 진행 중인 사업도 일부 포함돼 있으며 트럼프 정부가 밝힌 6천억달러가 신규 유치인지 아니면 기존 계약인지 등도 불분명했다. 이와 함께 사우디의 대미 투자뿐 아니라 미국의 사우디에 대한 투자도 포함돼 있었다. 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