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3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


서울 아파트 매수심리 3주째 회복세

  • 등록 2022.03.25 09:32:35

[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 아파트 시장의 매수 심리가 3주 연속으로 조금씩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대선 이후 부동산 규제 완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는 가운데 매수 문의가 늘고,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호가가 오르는 양상이다.

 

한국부동산원은 25일,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87.8로 이달 들어 3주 연속 소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매매수급지수가 기준선인 100을 밑돌면 시장에 집을 사려는 사람보다 팔려는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작년 12월 첫째주 99.1을 기록하며 기준선 아래로 떨어진 뒤 지난달 말 86.8까지 하락했다가 이달 들어 소폭의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수가 여전히 기준선 아래로, 매수세가 활발하진 않지만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재건축 안전진단 규정, 부동산 조세, 대출 규제 등을 완화하기로 한 만큼 기대 심리가 계속 커지는 분위기다.

 

 

실제 일부 재건축 단지를 포함한 주요 단지에서는 집주인들이 매물을 회수하고, 호가를 올리는 등의 모습이 감지되고 있다.

 

권역별로 보면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의 수급지수가 88.4로 지난주(86.5)보다 1.9포인트(p) 상승했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와 대치동 은마아파트 등 재건축 추진 단지들의 매수세가 다소 확대된 영향이다.

 

도심권은 87.1을 기록하며 지난주(85.9)보다 1.2p 올랐다. 용산 일대는 대통령실 이전 계획이 발표된 이후 지역 개발이 빨라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집주인들이 매물을 거둬들이고 호가를 올리고 있다.

 

서울 아파트는 전세수급지수도 90.0을 기록해 지난주(89.6)보다 소폭 상승했다. 대선 이후 시중 은행들이 전세자금대출 등 대출 규제를 풀기 시작하면서 일부 급전세를 중심으로 신규 물건의 전월세 거래가 늘어난 영향이다.

 

이런 분위기는 수도권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번 주 경기와 인천의 매매수급지수는 각각 91.7, 92.1을, 전세수급지수는 90.4, 92.6을 기록해 모두 지난주보다 소폭 상승했다.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지난주(92.8)보다 0.3p 상승한 93.1까지 올랐다. 전세수급지수는 일부 지방의 지수 하락으로 지난주보다 0.1p 떨어진 94.7을 기록했다.







정치

더보기
교육위 국감서 강원대 공자학원 운영 및 교수 비리 등 질의 [TV서울=나재희 기자] 22일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의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감사위원들은 강원대의 공자학원 운영과 교수 비리, 경북 영주 고교생 학교폭력 피해 사건 등에 대해 주로 질의했다. 이날 오전 경북대와 강원대 등에 대한 국감에서 국민의힘 서지영(부산 동래구) 의원은 "공자학원은 미국 FBI가 스파이기관으로 규정했는데 강원대에서 운영되고 있다"며"중국의 체제선전 도구로 전락해 미국 등에서 퇴출 운동을 하는 공자학원이 국가정체성에 맞지 않는다면 퇴출을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2년 강원대 공자학원에서 연 중국어 손 글씨 대회에서 마오쩌둥이 홍군의 대장정을 미화해 중국 건국 신화로 알려진 시를 쓴 작품이 대상을 받았다"며 "공자학원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고 퇴출돼야 한다고 생각하는 만큼 검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사반장인 국민의힘 조정훈(비례대표) 의원도 "강원대에 중국 공산당의 영향력이 들어오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국감 위원들의 지적을 검토해서 종감 전까지 공자학원의 폐쇄 여부를 결정해달라"고 당부했다. 더불어민주당 고민정(서울 광진구을) 의원은 "서지영 의원의 의견에 공감한다. 전국에 23∼24개의 공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