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교통위반 단속조회서비스(cartax.seoul.go.kr)의 개인인증 방법이 개선돼 자동차 관련 미납과태료를 손쉽게 조회할 수 있게 됐다.
서울시는 5월 31일부터 교통위반 단속조회서비스 접속 시 금융인증서 외에 소셜 미디어를 통한 간편인증을 도입, 네이버․카카오톡 등을 이용해 편리하게 개인인증을 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고 밝혔다. 이번 간편인증 도입은 최근 행정안전부가 간소화된 민간 인증 및 전자서명 이용환경을 개발, 공공분야로 널리 확산시키기 위해 ‘간편인증서비스’를 보급하면서 가능해졌다.
그동안 교통위반 단속조회서비스는 금융결제원이 제공하는 금융인증서만으로 로그인 할 수 있어 인증서를 발급받지 않으면 자신의 단속조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으나 앞으로는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인터넷으로 조회하고 미납과태료 등 납부까지 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서울시는 자신이 원하는 소셜 미디어 또는 금융사를 선택해 간편 인증할 수 있도록 카카오·KB국민은행·페이코·통신사PASS·삼성PASS·네이버·신한은행 등 총 7개의 민간 발급 인증서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이용을 원하는 시민은 스마트폰이나 PC 등으로 ‘교통위반 단속조회서비스’ 서비스 누리집(cartax.seoul.go.kr)에 접속해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한 뒤에 ‘개인소유 차량조회’에서 7개 민간 발급 인증서 중 원하는 채널을 선택해 조회하면 된다.
교통위반 단속조회서비스는 서울 전역에서 발생한 주․정차 위반 과태료, 버스․자전거 등 전용차로 통행위반 과태료 등의 부과 및 납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자동차 정기검사․자동차세․의무보험․자동차번호판 영치 등에 대한 과태료 조회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용차로, 주․정차 위반 과태료 부과에 대한 의견 진술이나 이의신청 등의 민원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2020년 11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지난달까지 총 269만 건을 이용했으며, 월평균 15만 건에 이르는 시민이 서비스를 꾸준히 이용 중이다.
서울시는 이번 간편인증 도입으로 교통위반 단속조회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민의 편의와 서비스 접근성, 만족도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