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6.9℃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9℃
  • 맑음대전 7.6℃
  • 구름많음대구 12.6℃
  • 흐림울산 12.8℃
  • 구름많음광주 9.9℃
  • 흐림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6.9℃
  • 흐림제주 12.9℃
  • 맑음강화 7.9℃
  • 맑음보은 4.6℃
  • 구름많음금산 5.4℃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3.0℃
  • 흐림거제 13.8℃
기상청 제공

경제


"루나 코인 폭락 직전 '고래'들 미리 탈출…개미는 매수"

  • 등록 2022.06.04 13:36:15

[TV서울=변윤수 기자] 지난달 한국산 가상화폐 루나와 테라USD(UST) 폭락 사태 직전에 개인투자자들이 매수에 나설 때 이른바 '고래'로 불리는 거물급 투자자들은 미리 빠져나왔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루나·UST에 긴밀히 관여한 가상화폐 금융회사 점프 크립토가 공개된 블록체인 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몇몇 대형 투자자들이 많은 개인투자자보다 훨씬 먼저 UST 보유 물량을 정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고래들은 UST 가격이 기준가인 1달러 밑으로 처음 떨어진 직후인 지난달 7일부터 테라 생태계 내 디파이(탈중앙화금융)인 앵커 프로토콜에서 자금 인출에 나섰지만, 개미들은 지난달 7∼9일에도 UST 보유량을 늘렸다는 것이다.

점프 크립토는 이날 내놓은 루나·UST 폭락 사태 보고서에서 이들 고래의 이탈이 UST 가격 급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UST의 폭락을 야기하는 데 일조한 특정 가상화폐 지갑이 전문 거래업체와 연관이 있을 가능성은 작다고 관측했다.

 

 

정체가 밝혀지지 않은 이 가상화폐 지갑은 지난달 7일 일련의 거래를 통해 8천500만달러(약 1천56억원) 규모의 UST를 처분했는데, 가상화폐 시장에서는 이를 폭락 사태를 촉발한 첫 번째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온라인에서는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나 시타델증권 등 대형 기관들이 루나·UST의 하락에 베팅하는 대규모 공격을 가해 폭락 사태를 일으켰다는 주장이 나와 이들 기업이 아무런 관련이 없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앞서 지난달 28일 블록체인 분석 플랫폼 낸슨은 루나·UST 폭락 사태가 단일한 특정 세력의 의도적인 공격에 의해 발생했다는 설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당초 UST 가격이 1달러 밑으로 떨어지면 차익거래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1달러를 회복해야 했지만, 테라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UST와 루나의 가격이 동반 하락하는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 현상이 벌어졌다.

 

낸슨은 UST의 가격 하락이 몇몇 자금이 풍부한 기관들의 투자 결정 때문이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이들은 UST 가격을 불안하게 만들 의사가 전혀 없었던 것 같지만, 결과적으로 폭락 사태를 가져왔다고 덧붙였다.


박성연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역 ‘지하안전지도’ 구축 시급… 심도 깊은 탐사 병행 필요”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지난 22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재난안전실 업무보고에서, 서울시 전역의 지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밀 탐사 확대와 ‘지하안전지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지금까지 활용해온 GPR(지표투과레이더)은 지하 2미터 내외 탐사에 한계가 있어, 보다 깊은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저주파 탐사 병행이 필요하다”며 “저주파 탐사는 해상도는 낮지만 보다 깊은 탐사가 가능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는 만큼, 복합탐사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최근 강동구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비롯해, 현장 점검 결과 지하 공동과 노후 하수도 구조물 문제가 다수 확인됐다”며 “광진구 역시 지반침하 가능성이 제기된 우려 지역으로, 조속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하 매설물, 공동구, 지하철 공사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지하안전지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현재는 침하가 발생한 구역만을 대상으로 한 부분 보수가 이뤄지고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선제적인 정비계획 수립이 요구된다”며 “광진구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