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브랜드 콜택시’ 이용실적이 극히 저조, 예산만 낭비하는 전시행정이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김동욱 의원이 11월 8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한 ‘서울시 택시정책 인지도에 대한 시민 여론조사’ 결과 브랜드콜택시·업무택시·안심택시 등 서울시 택시정책에 대한 서울시민의 인지도와 이용 경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
김 의원은 “하루 평균 서울시 택시 이용건수는 150만건 이상이고 약 215만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2013년 9월말 기준 브랜드콜택시는 1대당 일평균 탑승건수가 0.88건, 안심귀가서비스는 일평균 이용건수가 461건, 업무택시는 일평균 이용건수가 3,270건으로 서울시 택시정책 및 사업에 대한 시민 이용은 극히 저조한 실정”이라며 “서울시 택시정책과 사업에 대해 정작 시민들은 모르고 있으니 이용실적이 저조한 것은 당연한 것인데, 해당 관계 공무원들은 누구를 위한 택시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질타했다.
특히 “특히 서울시민의 71%가 모르고, 83%가 이용경험이 없으며, 하루 평균 콜택시 1대당 0.88건의 탑승건수를 나타내고 있는 브랜드콜택시는 2007년부터 2013년까지 730억원이 넘는 혈세가 들어간 사업”이라며 “아무리 좋은 의도에서 시행한 정책사업도 시민들이 모르고 호응해주지 않는 사업은 행정력 낭비와 예산 낭비만 수반될 뿐이며, 결국 전시행정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무원만 알고 시민들은 모르는 택시정책이 되지 않도록 전반적으로 재점검하여 개선 대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