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4 (금)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사회


수능 수학 미적분 '쏠림 현상' 여전…국어는 화법과 작문 반등

  • 등록 2024.12.08 07:55:16

 

[TV서울=나도진 서울본부장] 수험생이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고득점을 받기 위해 수학영역 선택과목 중 미적분을 택하는 쏠림현상이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이유로 증가 추세였던 국어영역 언어와 매체를 응시한 비율은 올해 수능에선 하락으로 반전했다.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과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5학년도 수능에 응시한 수험생 중 절반 이상이 수학 선택과목으로 미적분을 택했다. 미적분을 선택한 응시자는 22만7천232명으로, 전체 수학영역 응시인원의 51.3%를 차지했다.

확률과 통계가 20만2천266명으로 45.6%였고, 기하는 1만3천735명으로 3.1%에 그쳤다.

 

미적분을 선택한 응시자 비율은 2022학년도 39.7%에서 2023학년도 45.4%, 2024학년도 51.0%, 2025학년도 51.3%로 꾸준히 증가했다.

반면 확률과 통계 응시자 비율은 2023학년도 48.2%에서 올해 45.6%로 2.6%포인트 떨어졌고, 기하는 같은 기간 6.4%에서 3.1%로 반토막이 났다.

수험생이 미적분을 많이 택하는 이유는 표준점수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를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표준점수 최고점이 상승하고, 시험이 쉬우면 하락한다.

2022학년도 통합수능이 도입된 이후 같은 원점수를 받아도 상대적으로 어려운 미적분의 표준점수 최고점(만점자 표준점수)이 높은 현상이 계속 이어졌다.

 

작년 수능에서 확률과 통계는 137점, 미적분은 148점, 기하는 142점에서 표준점수 최고점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됐다.

입시업계에선 이번 수능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을 미적분 143점, 기하 137∼142점, 확률과 통계는 137점으로 예측했다.

미적분에서 한두문제를 틀려도 확률과 통계 만점과 표준점수 최고점은 비슷한 셈이다.

이렇다 보니 의대나 자연계 상위권 학과를 노리는 수험생뿐 아니라 중위권 학생도 미적분을 택하며 과반의 응시자가 미적분에 몰리는 쏠림현상이 심화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 5일 발표한 2025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 자료에서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학생의 84.3%는 사회탐구를, 미적분과 기하를 선택한 학생은 각각 68.3%와 57.2%가 과학탐구를 선택했다고 밝혔다.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선택과목을 1개씩 조합해 응시한 수험생 비율은 확률과 통계 응시자의 6.2%, 미적분 응시자의 14.4%, 기하 응시자의 12.7%였다.

국어영역에선 언어와 매체가 고득점을 받기가 상대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언어와 매체를 응시한 수험생 비율은 2023학년도 35.1%에서 2024학년도 40.2%로 증가했다.

작년 수능에서 언어와 매체 표준점수 최고점은 150점으로 화법과 작문(146점)보다 4점 더 높았다.

그러나 올해 수능에선 언어와 매체 응시율이 37.0%로 3.2%포인트 떨어졌다.

작년 수능에서 국어가 통합수능 이래 가장 어렵게 출제되자 상대적으로 학습 부담이 덜한 화법과 작문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입시업계는 올해 국어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이 언어와 매체는 136∼140점, 화법과 작문 135점∼138점에서 형성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병진 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장은 "학생이 느끼는 학습량이 화법과 작문보다는 언어와 매체가 상대적으로 많은 데다가, 수학에 비해 국어는 선택영역 간 격차가 적은 편이라 언어와 매체를 택할 유인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野, "헌재 기각 결정 존중하지만 깊은 유감… 이진숙, 경거망동 말라" [TV서울=나재희 기자] 헌법재판소가 23일 이진숙 방송통신위원장에 대한 국회의 탄핵소추를 기각한 데 대해 야권은 헌재 결정을 존중한다면서도 유감을 표명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헌재 재판관 8인의 의견이 4대 4로 팽팽히 엇갈린 것은 방송장악을 위한 방통위 2인 의결에 면죄부를 준 것이 결코 아니다"라며 "직무복귀하는 이진숙 위원장은 경거망동하지 말라"고 말했다. 이들은 "만약 이 위원장이 합의제 행정기구로서 성격을 망각한 채 또다시 지난해 공영방송 이사 선임과 같이 2인만으로 불법적인 직무에 나선다면 다시 엄중한 책임을 물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과방위 야당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김현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이번 판결은 앞으로도 대통령이 임명한 2명이 방통위의 중요한 사안을 심의·의결할 수 있는 여지를 열어뒀다"며 "이 같은 독재적 발상에 헌재 판단이 한몫했다는 점에서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방통위 5인 체제 완성을 촉구한 데 대해서는 "헌법재판관을 여야 합의로 추천해도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명하지 않는 상황에서 권 원내대표의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