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


서산 앞바다 전복 서해호 수색 사실상 종료

  • 등록 2025.01.17 17:52:40

[TV서울=이천용 기자] 지난달 30일 저녁 충남 서산시 고파도 부근 해상에서 전복된 작업선 서해호 침몰 사고 실종자 수색이 사실상 종료됐다.

 

17일 태안해양경찰서는 전날 오후 6시를 기해 서해호 침몰사고 실종자 해상·수중 수색 작업을 종료했다고 밝혔다.

 

18일에 걸친 수색기간 함선 379척·항공기 24대·드론 201대를 동원했고, 해안가 수색에 해경·군·경찰·지자체·유관기관 등 5천362명, 수중수색에 해경·유관기관·민간 잠수사 208명을 투입했다고 태안해경은 설명했다.

 

이런 전방위적인 수색에도 서해호에 탔던 24t덤프트럭 기사 A씨(56)는 결국 찾지 못했다.

 

 

해경 관계자는 "선체 내부와 크레인·트럭 침몰 지점, 인근 양식장까지 수색 범위를 넓혔으나 A씨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외해로 빠져나갔을 것이라는 결론을 냈다"고 밝혔다.

 

해경은 해상·수중 수색 종료 후에도 A씨를 찾기 위한 해안가 수색은 당분간 이어갈 예정이다. 앞서 당국은 서해호에 실려있다가 바다에 빠진 11t 카고크레인과 24t 덤프트럭을 인양한 데 이어 지난 14일부터 서해호 선체 인양을 시도했다. 그러나 이 작업에 투입했던 해상크레인이 선체의 하중을 견디지 못해 이마저도 중단된 상태다.

 

당국은 선주사 측과 협의해 규모가 더 큰 250t급 해상크레인을 투입해 이르면 다음 주 중 인양 작업을 재개할 방침이다.

83t급 작업선인 서해호는 지난달 30일 오후 6시 26분께 카고크레인과 덤프트럭 등 중장비를 싣고, 선장을 포함해 7명이 승선한 채 서산 우도에서 구도항으로 이동하다가 서산 고파도 부근 해상에서 전복됐다. 벌말·우도항 어촌뉴딜사업 공사를 마치고 돌아오던 길이었다.

 

사고 직후 굴착기·카고크레인 기사 등 2명은 구조됐으며, A씨 이외에 선장 등 4명은 숨진 채 발견됐다.


김경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장, “기초예술계 외면한 반쪽짜리 서울청년문화패스”

[TV서울=나재희 기자] 서울시의 대표 청년 문화복지사업인 ‘서울청년문화패스’가 3년 차를 맞이한 가운데, ‘문화예술 생태계 활성화’라는 당초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초예술인 등 현장 예술인들의 의견 수렴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서울시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경 위원장(더불어민주당, 강서1)은 지난달 28일 있었던 제330회 임시회 문화본부 업무보고에서 기초예술인에 대한 고려 없이 운영되는 서울청년문화패스의 실태를 꼬집었다. 서울청년문화패스는 청년들이 문화예술의 적극 소비층인 ‘예술애호가’로 성장하는 것을 도와 문화예술시장의 소비와 창작을 모두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겠다며 2023년부터 실시한 서울시의 대표적 바우처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2023년 첫 해 카드 예산 56억 원 중 약 25억 3천만 원(45.2%)만 집행되며 저조한 실적을 보였으나, 2024년에는 47억 원 중 35억 7천만 원(75.9%)이 집행되어 이용률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제는 질적인 개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서울청년문화패스 사업의 목표인 ▲청년의 문화권 향상 ▲문화예술 생태계 활성화 중, 후자에 대한 실질적인 기여






정치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