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회 김형태 교육의원(영등포·강서·양천)은 3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서울시내 공립유치원의 대폭 증설을 촉구했다. 이와함께 병설유치원이 아닌 단설유치원(교원 전체가 유아교육전공자들도 구성되어 독립적으로 운영)을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 교육청에서 제출한 유치원 관련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공립유치원의 평균 입학경쟁률은 2012년도 1.68:1 에서 2013년도 2.64:1 로 증가했다”며 “행정구청별로 살펴보면, 강남구의 경우만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비율이 높아졌다”고 밝혔다. 특히 “영등포구, 구로구, 중랑구, 노원구, 동작구 등은 1년 만에 입학경쟁률이 2배 이상 급증했다”고 전했다.
그는 “출산율이 낮아짐에도 불구하고 공립유치원의 경쟁률은 높아지고 있다”며 “이는 교육수요자인 학부모의 입장에서는 교육의 질이 높고 경제적으로 부담이 없는 공립유치원을 점점 더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분석한 후, 그럼에도 “공립유치원과 사립유치원의 비율은 14:86”이라며 “따라서 학부모들의 수요에 맞춰 공립유치원의 수를 늘려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시교육청은 주로 병설유치원을 설립하여 이를 해결하려고 하는데, 병설유치원의 경우 대부분 1-3학급으로 학급 수가 적어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이라며 “따라서 단설유치원을 더 적극적으로 설립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기존의 병설유치원도 단설화해야 하고, 우선 여건이 가능한 병설유치원부터 단설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최소한 교육은 경제적인 논리로 접근하면 안된다”며 “미취원 유아수가 많은 행정구청에는 단설유치원을 추가로 더 신설하여야 하며, 만약 이마저도 어렵다면 우선 여건이 가능한 병설유치원부터 단설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