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는 황사와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중국건설은행과 '먼지 먹는 숲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민관이 공동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서울시와 중국건설은행 서울지점은 올해부터 2020년까지 매년 1개소씩 먼지 먹는 숲을 조성하며, 숲 조성에 필요한 사업비는 중국건설은행에서 지원하고, 서울시는 부지 확보 등 행정지원을 하게된다.
‘먼지 먹는 숲 조성’ 은 매년 봄철 어김없이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황사가 시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공감대로부터 출발, 미세먼지를 줄이는데 보탬이 되기 위해 숲을 조성하고 가꾸고 싶다는 중국건설은행의 의견에 따라 추진하게 됐다.
최근 네이처 지의 발표에 따르면, 2007년 한 해 동안 중국에서 유입된 미세먼지로 한국과 일본에서 조기 사망한 사람의 수만 3만 900명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또한 산림청 연구결과에 따르면, 도심 속에 있는 숲 속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한 결과 미세먼지 농도가 도심에 비해 40% 이상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1ha(100m*100m)의 숲은 연간 총 168kg에 달하는 부유먼지를 소멸시키고, 나무 한 그루는 연간 35.7g의 미세먼지를 흡수한다고 한다.
올해의 ‘먼지 먹는 숲 조성행사’ 는 9일 강동구 고덕동 동자근린공원에서 진행된다. 전 임직원이 직접 참여하는 수목 기증행사와 함께 식수활동 및 공원 가꾸기 행사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이번에 식재하는 중국단풍은 중국이 원산지로, 도심 내 공원에서 여름의 신록과 가을의 정취를 더하기 위해 식재할 수 있는 수종으로 붉은색 또는 노란색의 단풍이 들며, 내건성이 강하고, 각종 환경 조건에 대한 적응력도 뛰어나며 수형이 단정해 요즈음 가로수와 공원, 아파트 단지의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기 때문에 식재수종으로 선정됐다.
강동구 동자근린공원은 다른 공원에 비해 노출된 나대지 면적이 많아 수목식재가 필요한 지역으로 행사당일 서울시와 강동구 직원, 중국건설은행 서울지점 임직원 등 70여명이 함께 중국단풍나무 40주를 식재한다.
서울시와 중국건설은행은 2020년까지 먼지 먹는 숲 조성을 통해 연간 약 700kg의 미세먼지를 흡수하고 120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서울시 최윤종 푸른도시국장은 “이번 먼지 먹는 숲 조성 사업이 심각한 미세먼지 피해를 줄여 대기 질을 개선하고,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탄소 저감에 효과적인 사업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숲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중국건설은행은 2016년 세계1000대 은행 중 2위에 선정이 된 글로벌 은행으로 중국건설은행 서울지점은 2004년 개점 이래 빠른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매년 적십자를 통한 기부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