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5 (토)

  • 맑음동두천 7.8℃
  • 맑음강릉 9.4℃
  • 구름조금서울 10.6℃
  • 구름조금대전 8.6℃
  • 맑음대구 9.1℃
  • 맑음울산 10.8℃
  • 맑음광주 12.3℃
  • 맑음부산 13.3℃
  • 맑음고창 7.9℃
  • 맑음제주 13.6℃
  • 맑음강화 6.7℃
  • 구름조금보은 7.3℃
  • 맑음금산 6.3℃
  • 맑음강진군 8.1℃
  • 맑음경주시 7.3℃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사회


공공주거정보 망라한 서울주거포털 오픈

  • 등록 2019.12.03 16:17:54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가 서울시는 물론 중앙정부를 포함해 공공의 모든 주거정보를 망라한 온라인 허브 플랫폼인 '서울주거포털(housing.seoul.go.kr)'을 3일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간단한 정보 입력만으로 내게 딱 맞는 주거복지 혜택과 금융지원 서비스를 바로 확인하고 신청까지 할 수 있다. SH공사와 LH에서 분양‧임대하는 서울 전역의 공공주택 공고도 한 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동안 청년‧신혼부부 임차보증금 신청은 '서울청년주거포털', 주거 관련 상담은 'e-주택종합상담실', 임대주택 정보는 'SH‧LH공사' 등 사이트마다 방문해야 했다면 이제는 '서울주거포털'에서 모든 정보‧상담‧신청이 원스톱으로 이뤄진다.

 

'서울주거포털'은 기존에 분산 운영돼왔던 서울시의 주거 관련 사이트를 통합‧연계하고, 중앙정부(LH)의 주거정책과 서울 지역 임대‧분양 정보까지 총망라했다.

 

 

현재 서울시가 운영하고 있는 주거 관련 사이트는 ‘서울청년주거포털’, ‘공동체·사회주택플랫폼’, ‘e-주택종합상담실’, ‘서울주택도시공사’ 홈페이지 등이 있다. 이중 ‘서울청년주거포털’과 ‘e-주택종합상담실’은 ‘서울주거포털’에 통합되며, 나머지 사이트는 연계돼 주요 정보를 ‘서울주거포털’에서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시와 정부가 추진하는 다양한 주거지원 정책과 제도가 있음에도 몰라서 지원을 못 받는 경우가 없도록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서울주거포털’을 구축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시는 앞서 지난 10월 청년‧신혼부부의 출발선인 집 문제를 해결한다는 목표로 보다 확대‧강화된 주거지원 정책을 발표하고, ‘서울주거포털’ 구축 계획을 밝힌 바 있다.

 

‘서울주거포털’의 주요 서비스는 △자가진단 △서울주거정책 △임대‧분양정보 △온라인 상담 등이다.

 

‘서울주거포털’은 반응형 웹으로 구현해 PC, 스마트폰, 태블릿PC 같은 모든 스마트기기에서 최적화된 화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같은 SNS와도 연계돼 관심 있는 주거정책 콘텐츠를 쉽게 공유할 수 있다.

 

 

서울시는 ‘서울주거포털’이 주거정보를 선도하는 핵심적인 온라인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가장 최신의 정책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련 사이트 및 정책 담당자 간 긴밀한 협력‧협조체계를 유지하고, 주기적인 콘텐츠 점검과 현행화를 실시할 예정이다. 2020년에는 이용만족도 조사, 주기적 시스템 모니터링, 수요자 요구사항 반영 등 지속적인 개선작업을 통해 이용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편리성을 높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류훈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이번 서울주거포털 오픈을 계기로 시민들이 보다 편리하고 쉽게 자신에게 맞는 주거지원 서비스를 찾고 신청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특히 주거지원이 절실하지만 부동산 관련 경험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신혼부부들이 몰라서 혜택을 못 받는 일이 없도록 주거정보의 허브 역할을 강화하고, 시민의 주거안정을 위한 온라인 소통창구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기관 간 협력‧협조 및 운영 활성화 체계를 갖춰나가겠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추징금 0원' 남욱 "檢, 동결자산 안 풀면 국가배상 청구 검토" [TV서울=곽재근 기자] 대장동 민간업자인 남욱 변호사 측이 검찰이 동결시킨 수백억원대 재산을 풀어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15일 법조계에 따르면 남 변호사 측은 서울중앙지검 공판3부(윤원일 부장검사)에 '검찰이 추징보전을 해제하지 않으면 국가배상 청구를 검토하겠다'는 취지의 의견을 냈다. 추징보전이란 범죄로 얻은 것으로 의심되는 수익을 임의로 처분하지 못하도록 피고인의 확정판결 전까지 동결하는 절차다. 앞서 검찰은 대장동 수사 과정에서 남 변호사를 비롯해 대장동 민간업자 재산 약 2천70억원을 추징보전했다. 당시 남 변호사는 차명으로 173억원에 매입한 것으로 알려진 서울 강남구 빌딩을 비롯해 약 500억원대 재산이 동결된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대장동 사건 1심에서 남 변호사에게 추징금을 부과하지 않자 동결을 해제해달라며 의견을 낸 것이다. 검찰은 1심에서 남 변호사에 대한 추징금 1천11억원을 비롯해 총 7천814억원의 추징금을 구형했다. 하지만 1심 재판부는 김만배씨에 대한 428억원 등 약 473억원의 추징금만 부과하고 남 변호사 등에게는 추징금을 부과하지 않았다. 검찰이 항소를 포기하면서 형사소송법상 '불이익변경 금지' 원칙에 따라 2심과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