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포토


몽골의 여섯 살 소년의 하루

  • 등록 2021.02.03 17:56:24

 

아시아사랑나눔(Asia Children Charity) 회원국인 몽골의 여섯 살 소년의 하루를 통해서 몽골의 일상생활, 그 중에서도 세계에 단 하나뿐 몽골 유목민의 생활을 소개하고자 한다.

 

트브 아이막(Tuv aimag), 바양항가이군(Bayankhangai sum) 제 3면에서 사는 목자 Gankhuyag의 아들인 여섯 살 D.Nyamlkhagva(Nyamka)란 소년에 대한 이야기이다.

 

오늘날 몽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목축업에 종사하는 가족에 대한 실제 일상생활이다. 세계 각 나라에서 다양한 색깔의 생활 방식과 문화를 볼 수 있듯이 유목민의 일상생활 또는 여섯 살 몽골 소년의 삶에 그렇게 특별한 것이 없지만 몽골의 특이한 문화와 색다른 전통 풍습 또는 일상생활을 보면 차이를 느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바양항가이군은 몽골의 수도인 울란바타르에서 100km 정도 떨어져 있는 작은 곳이다. Gankhuyag의 가족은 아들 4명이며, 소, 말, 양, 염소 등 대략 600마리의 가축을 기르며 먹고 산다.

 

 

몽골을 울란바타르 수도만으로 상상하면 안 된다. 몽골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알고 싶으면 도시를 나가서 넓은 초원과 역사, 전통문화 및 유목민의 리얼 생활을 경험해 보는 것이 더 의미 있을 것이다. 몽골 사람들의 1/3은 시골에서 산다. Gankhuyag의 가족은 사계절에 총 150km 정도 이동해 산다. 다시 말하면 일 년에 3,4번 이사하며 바쁘게 살아간다.

 

 

Nyamka가 아침에 일어나서 먼저 하는 일이 소똥을 채우는 것이다. 몽골 유목민들은 소똥을 말려서 연료로 만들어 태우기도 한다. 말을 타고 양을 목축한다. 겨울에 눈을 녹여서 물로 만들고, 가축들 먹거리인 풀을 먹이는 등 작은 소년이 하는 일이 끝이 없다.

 

그러나 울란바타르시에서 사는 여섯 살 소년의 일상은 이와 비교할 수 없다. 몽골인들은 옛날부터 자녀들이 어렸을 때부터 심부름시키는 등 일을 배우는 것을 중요시하며 아이의 독립성을 키워 왔다. 아쉽게도 이 문화의 흔적을 지금 몽골의 유목민 생활에서만 볼 수 있게 됐다. Nyamka 역시도 그 뜻대로 살아가는 아이의 모습이다. 칭기스칸의 어린 시절 환경 또한 이와 똑같았을 것이다.

 

몽골은 뚜렷한 대륙성 기온변화가 잦으며 특히 시골일수록 기온차가 큰 것이 특징이다. 겨울 기온은 밤에 영하 42도, 낮에는 영하 30도까지 내려간다. 여름 기온은 영상 40도까지 올라가는 등 기온차가 심하다. 겨울에는 10~20cm까지 뚜거운 대설이 내린다.

 

 

그들의 겨울 목초지는 높은 산지대로 둘러쌓은 곳에서 단 하나의 집으로 생활한다. 그 이유는 산 중턱쯤에 차가운 바람을 막을 수 있도록 아늑한 곳을 선택해 가축들을 추위에서 보호해 주기 때문이다. Nyamka는 노는 시간도 없는데다가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이웃집만 해도 최소 20-30km 사이에 떨어져 있다. 가끔씩 아빠와 시장 보러 갈 뿐이다.

 

 

3월 초쯤 되면 산에서 평지로 내려와 집을 세운다. 봄에는 가축들이 새끼를 배고 낳기 때문에 Nyamka 일이 더 많아진다. 그들에게 쉴 틈이 없다. 목동들에게 매일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수익이 없다. 그들은 단지 매년 봄에 염소들의 털을 빗질해서 채취하여 매입하는 것 말고는 수익이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몽골에서 아직까지 유목 생활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목축을 위한 목초지 생활 때문이다. 가축을 위해 일 년에 몇 차례의 이동해 산다. 몽골은 1,564,116km²의 넓은 면적과 300만 명 인구를 가지고 있다. 활용하지 않은 빈 땅이 많으며 시골에 있는 가족들이 대부분 5종 가축을 키우며 산다.

 

 

말과 낙타는 이동 수단이 되고, 소는 겨울을 대비해서 가을에 도살해 말린 고기를 준비하는 등 추운 겨울의 열량이 높은 먹거리가 된다. 또한 여름에는 가축의 젖을 이용한 유제품을 만들어 먹는다. 양 또는 염소는 양털, 염소털이 중요하며, 겨울철 고기로 또한 사용되기도 한다. 몽골은 아직까지 가축들 원료를 충분히 재활용하지 못해 대부분이 버려진다.

​ ​

Nyamka의 형제들은 학교를 다니기 때문에 울란바타르시에서 살고 있다. 부모가 하루에 몇 시간이나 먼 곳으로 목축하러 나가는 일이 너무 흔하다. 그동안 Nyamka는 집을 맡아 혼자 남아 있다. 두렵고, 춥고, 배고픈 일은 이미 너무나 적응된 일이다. 부모가 돌아오시기 전에 집을 따뜻하게 맞이하기 위해서 혼자서 난로를 태우고, 맡은 일은 스스로 하나도 빠짐 없이 잘 정리해서 기다린다. 이것은 오늘날의 일반 몽골 유목민의 일상생활이다. 다음에는 Nyamka와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본다. /자료제공: 아시아사랑나눔 몽골 사무국장 옌자씨

 

 


"로켓 발사횟수 2배로" 스페이스X 신청에 캘리포니아 또 퇴짜

[TV서울=이현숙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캘리포니아 남부의 반덴버그 우주군 기지에서의 연간 로켓 발사 횟수를 2배로 늘려 달라고 신청했지만 규제 당국으로부터 거부당했다. 주(州) 해안 환경 등을 관할하는 '캘리포니아 해안위원회'는 14일(현지시간) 스페이스X의 연간 로켓 발사 횟수를 50회에서 100회로 늘려달라는 미 우주군의 신청을 위원 10인 만장일치로 부결시켰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해안위원회 위원들은 로켓 발사 횟수를 늘리는 경우 인근 생태계나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군이 자료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았다고 부결 사유를 밝혔다. 실제로 이번 위원회 표결에는 우주군이나 스페이스X 등의 관계자가 아무도 참석하지 않았으며, 위원회 사무국의 관련 질의에도 답변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위원회가 스페이스X의 로켓 발사횟수 증가 신청을 부결시킨 것은 이번이 2번째다. 작년 10월에도 위원회는 발사횟수를 기존 연간 36회에서 50회로 늘려달라는 우주군의 신청을 찬성 4표, 반대 6표로 부결시킨 바 있다. 당시엔 이 결정에 정치적 입김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크게 크게 일었다. 도








사회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