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환경부는 9일 오전 한국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된 대통령 직속 제21차 일자리위원회에 그린뉴딜 등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 확대를 통해 2025년까지 환경 일자리 8만개를 창출하고 녹색 융합기술 인재 2만명을 양성하는 ‘환경 분야 녹색산업 일자리 창출 전략'이 상정·의결됐다고 밝혔다.
추진전략은 환경 일자리 창출을 위한 유망 신산업 성장 저변 구축, 청년과 지역을 중심으로 기업지원을 통한 고용 여력 확보, 생산-금융-사람이 함께하는 지속가능한 일자리 지원기반 구축 등 3대 전략으로 구성됐다.
이를 위해 ▲폐배터리 등 미래 폐자원을 활용하는 산업기반 구축 ▲상·하수도 분야에 정보통신기술(ICT) 등 최신 기술 접목 ▲수열·폐자원 등 다양한 친환경에너지의 활용 분야를 발굴 등 기후변화·저탄소 경제 시대에 부합하는 미래 유망 녹색산업 집중 육성 ▲우수기술을 보유한 중소환경기업에 사업화·실증화·상용화를 위한 지원 확대 ▲ 녹색융합클러스터 등 지역별 성장거점 조성 ▲녹색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 지원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 할당 업체 대상 감축설비 설치 지원 등 기업의 저탄소화 지원 ▲정책자금 융자, 녹색펀드 운용, 이차보전 지원 등 2025년까지 녹색금융을 2조4천억원으로 확대 ▲미래수요와 필수역량을 고려한 전략적 신기술 인재 양성 등을 추진한다.
정부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에서 직·간접 일자리 총 1,664명을 창출하고, 환경산업연구단지는 환경기업 115개사를 유치하고 맞춤형으로 지원해 131명을 신규 고용하도록 돕는 등 환경 분야에서 공공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해왔다.
환경부는 “녹색 신산업을 중심으로 지원하고, 환경 현안 해결형 일자리를 확대해 현 정부 출범 이후 직·간접 일자리 약 8만개를 창출했다”며 “녹색산업 육성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 분야 일자리 창출 추진전략을 차질 없이 추진해 국가경쟁력과 양질의 환경 일자리를 늘리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