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7.4℃
  • 맑음강릉 18.6℃
  • 맑음서울 16.0℃
  • 맑음대전 17.7℃
  • 맑음대구 17.5℃
  • 구름많음울산 17.3℃
  • 구름조금광주 17.8℃
  • 구름많음부산 17.8℃
  • 맑음고창 16.3℃
  • 흐림제주 16.1℃
  • 맑음강화 16.0℃
  • 맑음보은 16.3℃
  • 맑음금산 17.2℃
  • 구름많음강진군 17.6℃
  • 구름많음경주시 18.1℃
  • 구름많음거제 16.6℃
기상청 제공

정치


"李 37% 尹 31% 安 17%… 단일화하면 安 45% 李 38%“

  • 등록 2022.01.14 11:19:14

 

[TV서울=이천용 기자] 다자대결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오차범위(6.2%포인트) 내 접전이라는 여론조사 결과가 14일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천1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 이 후보는 37%, 윤 후보는 31% 지지율을 기록했고, 안 후보가 17%, 정의당 심상정 후보가 3%로 뒤를 이었다. 응답자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지난주 조사에서보다 윤 후보 지지율이 5%포인트, 안 후보가 2%포인트, 이 후보가 1%포인트 올랐다. 반면 심 후보는 2%포인트 떨어졌다.

 

연령별로 보면 이 후보는 40대와 50대에서, 윤 후보는 60대와 70대 이상에서 40%대 지지율을 기록했다. 20대에서는 안 후보가 24%, 윤 후보가 23%, 이 후보가 22%를 기록하며 각축을 벌였다.

 

 

이에 대해 한국갤럽은 "저연령대에서 안 후보가 부상하며 의견 유보층이 크게 줄었다"고 분석했다.

 

또, 윤 후보와 안 후보가 후보 단일화하는 경우, 안 후보가 경쟁력 우위를 보였다. 윤 후보로 단일화했을 경우를 가정하면, 윤 후보가 42%, 이 후보가 40%, 심 후보가 8% 지지를 받았다.

 

안 후보가 단일후보로 나설 경우에는 안 후보가 45%, 이 후보가 38%를 기록해 안 후보가 이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섰다. 심 후보는 6%를 기록했다.

 

정당 지지도 조사에서는 국민의힘이 34%, 더불어민주당이 33%로 조사됐다. 지지정당이 없다는 응답률은 19%에 달했고, 이어 국민의당이 6%, 정의당과 열린민주당이 각각 3%를 기록했다.

 

지난주 조사보다 국민의힘 지지도는 5%포인트 상승했고, 민주당은 1% 하락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서는 긍정 평가가 42%, 부정 평가가 53%로 집계됐다. 지난주보다 부정 평가는 3%포인트 상승했으며, 긍정 평가도 1%포인트 상승했다.

 

한편, 한국갤럽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조사는 전화 면접(무선 90%·유선 10%)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3.5%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권성동 "윤희숙 연설, 전반적 동의…수직적 당정관계 책임 통감"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25일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전날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비상계엄 사태에 사죄한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취지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비상대책위원장이나 원내대표인 제가 여러 차례 국민께 실망과 혼란을 끼친 점에 사과했고 그런 점을 강조해서 연설에 반영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정 간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직적 관계가 되는 바람에 오늘날 사태에 도달한 것에 대해 저도 지도부 일원으로서 건강한 당정관계를 구축하지 못 해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며 "민주당의 입법권 남용으로 오늘날 사태를 초래했다는 윤 원장의 지적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그는 윤 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직접 거론하며 비판한 것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개별적으로 그렇게 누구를 비판하거나 지적하는 것보다 우리가 당정관계의 소통이 부족했고 수평적이고 건강한 당정관계를 구축하지 못한 것에 의원, 당원들 대부분과 국민들이 인정하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윤 원장이 차기 대통령의 취임 즉시 탈당 및 거국 내각 구성을 주장한 것에 대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