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사회


광주 붕괴사고 현산 입건자들 혐의 부인… "하청업체가 임의로 한 일"

  • 등록 2022.01.27 10:29:17

 

[TV서울=이현숙 기자] 광주 HDC현대산업개발 화정아이파크 붕괴사고 책임자로 지목된 현산 관계자들이 전날 조사에서 혐의를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이날 사고 현장 감리를 추가 조사하고, 불법 재하도급 의혹에 대한 수사도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27일 광주 서구 신축아파트 붕괴사고 수사본부(광주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전날 늦게까지 현산 입건자 3명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대상 3명은 특정 분야 담당 책임자들로, 경찰은 붕괴 사고를 야기한 것으로 추정된 주요 과실에 대한 현산 측의 관여 여부를 집중적으로 추궁한 것으로 보인다.

 

현산 입건자들은 "하청업체가 임의로 한 일"이라는 취지로, 원청의 과실 연관성을 대부분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사본부는 현재까지 총 11명을 업무상 과실 치사와 건축법 위반 등 혐의로 입건했는데, 이중 현대산업 개발 관계자는 현장소장, 공사부장, 안전관리 책임자급 직원 4명 등 총 6명이다. 나머지 입건자는 하청업체 현장소장 1명, 감리 3명 등과 계약 비위 관련 혐의로 입건된 하청업체 대표 1명이다.

 

 

특히 붕괴사고의 주요 요인으로 ▲하부층 동바리 미설치 ▲역보('┴'자형 수벽) 무단 설치 등이 지목돼 무단 시공과 부실 공사에 원청의 개입 여부가 주목되는 상황이다.

 

수사본부 측은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하청업체 관계자들이 "동바리 철거는 현산이 지시한 일", "역보 설치는 현산과 협의한 일"이라는 취지로 진술한 상태라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소환조사를 받은 현산 관계자들이 주요 과실에 대한 자신들의 연관성을 인정하지 않고, 하청업체에 책임을 씌우는 취지의 진술을 이어감에 따라 향후 현산 측의 과실을 입증하는 것이 주요 수사 과제로 부각됐다.

 

그러나 현산 관계자들이 계속 과실 관련성을 부인한다고 해도, 관리·감독을 소홀히 한 것에 대한 책임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수사본부는 이날 감리 2명을 추가 소환 조사하는 등 책임자 규명을 위한 수사를 이어간다.

 

이와는 별도로 광주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수사본부 소속)는 불법 재하도급 의혹 수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한다. 전날 거푸집 공사 참여자들을 소환 조사한 데에 이어, 이날엔 철근 콘크리트 하청업체 대표를 소환 조사해 하도급 계약관계를 집중적으로 따져볼 예정이다.

 

 

붕괴 현장 관련 철근콘크리트 공사는 A회사가 하도급받아 시행했는데, 콘크리트 타설 등 작업은 노무 약정서를 맺고 현장에 투입된 펌프카 장비 임대 회사 소속 직원들이 한 것으로 밝혀져 불법 재하도급 의혹이 불거졌다.

 

수사본부 관계자는 "현산 관계자들의 혐의 부인은 어느 정도 예상됐던 일"이라며 "아직은 수사 초기 단계로 강도 높은 수사를 진행해 책임자 규명 과정에서 원청의 관련성도 철저히 따져볼 예정이다"고 밝혔다.


실제는 절반?…트럼프, 중동 투자·계약유치 성과 '뻥튀기' 논란

[TV서울=이현숙 기자] 중동을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에서 막대한 투자를 유치했다고 자랑하고 있으나 실제보다 규모가 과장됐다는 지적이 14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 등 미국 언론에서 나오고 있다. 백악관이 사후에 배포한 참고자료상의 수치가 트럼프 대통령이나 백악관이 발표한 금액에 못 미치면서 '뻥튀기 논란'이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백악관은 전날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간 6천억달러(약 850조원) 규모의 사업 계약이 담긴 '전략적 경제 동반자 협정'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미국 방산기업과 사우디간 1천420억달러 규모의 판매 계약, 사우디 기업의 미국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와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200억 달러 투자 등이 포함돼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가 공개한 사업 계약의 총액은 6천억달러의 절반 정도 수준인 2천830억달러 정도로 집계됐다고 NYT는 보도했다. 트럼프 2기 정부 이전에 이미 진행 중인 사업도 일부 포함돼 있으며 트럼프 정부가 밝힌 6천억달러가 신규 유치인지 아니면 기존 계약인지 등도 불분명했다. 이와 함께 사우디의 대미 투자뿐 아니라 미국의 사우디에 대한 투자도 포함돼 있었다. 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