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8 (월)

  • 맑음동두천 18.5℃
  • 구름조금강릉 15.8℃
  • 맑음서울 18.5℃
  • 맑음대전 19.0℃
  • 맑음대구 22.3℃
  • 맑음울산 21.9℃
  • 맑음광주 18.2℃
  • 맑음부산 20.7℃
  • 맑음고창 14.3℃
  • 맑음제주 16.7℃
  • 맑음강화 17.2℃
  • 맑음보은 17.7℃
  • 맑음금산 18.5℃
  • 맑음강진군 19.0℃
  • 맑음경주시 22.4℃
  • 맑음거제 21.4℃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6.1지방선거] 후보등록 첫날 평균재산 8억4천…男 10명 중 1명 병역 못마쳐

  • 등록 2022.05.13 09:17:42

 

[TV서울=이현숙 기자] 6·1 지방선거 후보등록 첫날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 후보로 등록한 4천770명의 평균재산은 8억4천645만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것은 코리아당 류승구 후보(388억22만원)였고,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서는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가 200억의 재산을 훌쩍 넘겨 1위를 기록했다. 남성 후보 열 명 가운데 한 명 병역을 마치지 않았고, 남녀 후보 세 명 가운데 한 명 꼴로 전과가 있었다.

 

지방선거는 아니지만 같은 날 열리는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경우에는 나란히 분당갑에 출마한 국민의힘 안철수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후보가 각각 1천979억, 3천694억에 달하는 재산을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6·1 지방선거 첫날 등록 후보들의 재산, 병역, 납세, 전과 내역 자료를 공개했다. 우선 전체 후보들의 평균 재산은 8억4천645만원으로 집계된 가운데 정당별로는 국민의힘은 10억6천790만원, 민주당은 7억7천292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산 상위자를 살펴보면 서울 종로구청장에 출마한 코리아당 류승구 후보(388억22만원)으로 가장 재산이 많았다.

 

재산 2위는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로, 재산 규모는 225억3천100만원이었다.

재산 3위는 경기도 성남시의원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서은경 후보로, 재산 규모는 184억6천100만원이었다.

 

100억원대 재산을 보유한 자산가는 이들 세 후보를 포함해 모두 16명으로 집계됐다. 광역단체장 후보 39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21억1천997만원이었다.

 

이번 선거에서 가장 격전지로 꼽히는 경기의 경우 김은혜 후보에 이어 이어서 무소속 강용석 경기지사 후보(81억5천56만원)가 두 번째로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이들과 경쟁해야 하는 민주당 김동연 후보의 경우 40억5천354만원의 재산을 기록했다.

 

 

경기지사 후보 외에 고액 신고 광역단체장 후보로는 부산시장에 출마한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46억8천411만원), 강원지사에 도전하는 국민의힘 김진태 후보(40억7천195만원) 등을 꼽을 수 있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맞붙는 민주당 송영길 후보와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시장도 후보등록 서류를 냈으나 선관위가 이날 공개한 자료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전체 39명 중 15명이 15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자산가였다. 기초단체장의 경우 후보 410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14억4천31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4천770명 후보들의 1인당 평균 납세액은 4천198만원으로 나타났다.

 

광역단체장 후보들은 평균 1억7천272만원, 기초단체장 후보들은 평균 8천584만원, 광역·기초 의원 후보들은 평균 3천666만원을 납세했다.

 

세금 체납을 기록한 적이 있는 후보는 광역단체 후보 중 3명, 기초단체장 후보 중 41명, 광역·기초 의원 후보 중 558명 등 602명이었다.

 

8명 가운데 한명 꼴로 체납 전력이 있는 셈이다. 광역단체장 후보 중에서는 225억원이 넘는 재산을 신고한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지사 후보가 세금만 24억3천449만2천원을 납부, 이 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

 

김 후보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울산시장 후보가 7억8천277만6천원으로 2위, 국민의힘 김영환 충북지사 후보가 5억4천993만8천원으로 3위였다. 병역의 경우 남성 후보 10명 가운데 1명은 질병·수형 등의 병역을 마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4천770명 가운데 병역의무를 지는 남성은 3천567명이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군 복무를 마친 사람은 3천139명이었고, 군 복무를 마치지 못한 사람은 428명(11.9%)이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에서 176명이, 국민의힘에서 141명이 병역을 못 마친 것으로 나왔다.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는 남성은 33명 가운데 8명이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4명으로 가장 많았다.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허태정 대전시장 후보, 이광재 강원지사 후보, 노영민 충북지사 후보 등이 포함됐다.

 

국민의힘 후보는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 김영환 충북지사 후보 등이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다. 전체 4천770명 후보 가운데 1천758명은 전과를 갖고 있었다. 세 명 가운데 한명(36.8%)에 해당하는 수치다.

초범이 1천2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14범도 2명, 10범도 2명, 9범도 6명 있었다.

 

부산진구다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강해복 후보의 전과기록이 14건으로 가장 많았다.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는 15명이 전과가 있었고, 이 중 진보당 민점기 전남지사 후보는 가장 많은 6건의 전과를 신고했다.

 

'체납, 병역 미필, 전과' 등 세 가지 사안을 동시에 기록한 후보는 2명이었다. 경기도 군포시다선거구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용철 후보는 현재 체납액이 6천657만4천원이었다.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고 전과 기록은 2건 있었다.

 

전북 익산마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황호열 후보는 최근 5년간 체납액 9천427만3천원, 현 체납액은 5천490만8천원이었다.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고 전과 기록은 3건이었다.

 

지방선거와 함께 열리는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자들의 신상도 함께 공개됐다. 국회의원 후보자 11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32억9천93만원으로 집계됐다.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후보 6명의 평균재산이 624억9천337만원, 국민의힘 후보 4명의 평균재산이 521억9천551만원이었다.

 

특히 경기 성남 분당갑에 출마한 김병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민의힘 소속 안철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평균을 끌어올렸다.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판교에서 벌어진 '벤처신화 주역간 대결' 구도가 된 것으로, '쩐의 전쟁'이 벌어져 주목받는 선거구다.

 

이들의 재산을 제외하면 후보자 9명의 평균 재산은 20억8천134만원으로 낮아진다. 안 후보와 김 후보는 세금납부도 각각 19억5천340만3천원, 7억6천758만4천원을 기록했다.

후보자 11명의 평균 납세액은 6억1천357만1천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인천 계양을에 출마한 국민의힘 윤형선 후보가 납세액이 24억5천137만7천원으로 1위를 기록했고, 이에 맞서는 민주당 이재명 상임고문의 납세액은 1억676만4천원으로 11명의 후보 중 5위를 나타냈다.

전과를 가진 국회의원 후보는 11명 가운데 6명(54.5%)이었다.

민주당 소속 후보 6명 중 충남 보령·서천에 출마한 나소열 후보를 제외한 전원이 전과가 있었다. 국민의힘 소속 후보 3명 중에선 인천 계양을에 출마한 윤형선 후보가 의료법 위반 전과를 신고했다.

전과 건수로는 이재명 후보가 무고·공무원자격사칭,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 공용물건 손상·특수공무집행방해 등 3건으로 가장 많았다.

국회의원 후보 11명 중 10명이 남자였으며, 이 가운데 인천 계양을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뺀 9명이 군 복무를 마쳤다.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이 후보는 팔 장애로 인한 정형외과 질환으로 병역을 면제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서울보훈청, ‘2025 제2회 메모리얼 봄꽃 하이킹’ 실시

[TV서울=나재희 기자] 서울지방보훈청은 지난 26일 광복 80주년 및 국립서울현충원 창설 70주년을 맞아 국립서울현충원 일대에서 진행된 ‘2025 제2회 메모리얼 봄꽃 하이킹’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밝혔다. 지난해 9월에 이어 두 번째로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 박일하 동작구청장·소형기 육군사관학교장·정석화 동작경찰서장·정선웅 동작소방서장· 김동수 모두의 보훈 아너스클럽 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군인(육군사관생도)·경찰·소방관 등 제복근무자들과 시민, 학생 등 약 1,500명이 함께 하였다. 참가자들은 현충탑 단체 참배를 시작으로 봄꽃이 만개한 독립유공자 묘역·장군 제1묘역·호국의 묘 전망대 등 내부 묘역 둘레길을 따라 걸으며, 스탬프 거점마다 마련된 포토존에서 가족·친구들과 함께 미션을 수행하는 등 의미 있는 시간을 가졌다. 아울러, 걷기 행사 이후에는 완보증 및 기념품 수여를 비롯해 메모리얼 퀴즈·국방부 의장대 시범·경품 추첨 등이 이어져 참가자들의 열띤 호응을 이끌어냈다. 강정애 장관은 기념사를 통해 “이번 행사로 일상 속에서 보훈의 참된 의미를 되새기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며“현충원의 역사적 가치를 보존하면서도 현

황철규 서울시의원, “학교를 정치논쟁장으로 만드는 서울시교육청 규탄”

[TV서울=나재희 기자]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4월 23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교육위원회 업무보고에서 서울시교육청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선고 방송 시청을 일선 학교에 권고한 것과 관련해 “헌법과 교육기본법이 명시하는 정치적 중립성과 학생의 학습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사안”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황 의원은 “공문을 발송한 10개 교육청이 모두 진보 성향 교육감이 있는 지역이라는 점에서, 이번 조치가 교육 목적을 넘어 정치적 의도가 개입된 것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보수·중도 성향 교육감이 관할하는 강원·경기·경북 등 지역에서는 별도의 시청 권고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황 의원은 서울 시내 일부 학교에서 나타난 편향적 정치교육 사례를 소개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황 의원은 “서울의 한 중학교에서는 도덕 담당 교사가 탄핵 선고 방송 시청을 강제하기에 앞서 '비상계엄 사태'를 언급하고, '교실은 극우 방호벽이 되어야 한다'는 표현까지 사용했다”고 밝혔다. 황 의원은 “교실은 정치적 논란으로부터 안전한 공간이어야 하며, 학생들은 교사의 정치적 가치관에 따라 재단되어서는 안 된다”며 “






정치

더보기
이재명, "민주당 후보이자 온 국민의 후보 될 것" [TV서울=이천용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8일 당 대선 후보 자격으로 국회 당대표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했다. 경선 출마를 위해 지난 9일 대표직에서 사퇴한 지 19일 만이다. 이 후보는 "오랜만에 대표실에 찾아오니 참 낯설다"며 "대한민국의 새로운 출발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특히 "대통령이라는 단어가 무슨 뜻인지 국어사전을 뒤져서 찾아봤다"며 "'국민을 크게 통합하는 우두머리'라는 의미가 있더라"라고 소개했다. 이 후보는 "계모임 계주든 동창회장이든 '대표'는 그 공동체가 깨지지 않게 화합하며 지속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의무"라며 "일단 동창회장으로 뽑히면 어느 마을 출신이든, 자기를 지지한 회원이든 지지하지 않았던 회원이든 차별하지 말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을 평화롭고 행복하게 살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공동체 자체가 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상대와 경쟁은 하더라도 대표 선수가 선발되면 작은 차이를 넘어 국민을 하나의 길로 이끄는 것이 대통령이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아직 대통령이 된 것은 아닌데 '오버한다'고 생각할지 몰라 한 말씀 더 드리면, 대통령 후보도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