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6.1지방선거] 후보등록 첫날 평균재산 8억4천…男 10명 중 1명 병역 못마쳐

  • 등록 2022.05.13 09:17:42

 

[TV서울=이현숙 기자] 6·1 지방선거 후보등록 첫날 광역단체장·기초단체장·광역의원·기초의원 후보로 등록한 4천770명의 평균재산은 8억4천645만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많은 재산을 신고한 것은 코리아당 류승구 후보(388억22만원)였고,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서는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가 200억의 재산을 훌쩍 넘겨 1위를 기록했다. 남성 후보 열 명 가운데 한 명 병역을 마치지 않았고, 남녀 후보 세 명 가운데 한 명 꼴로 전과가 있었다.

 

지방선거는 아니지만 같은 날 열리는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경우에는 나란히 분당갑에 출마한 국민의힘 안철수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병관 후보가 각각 1천979억, 3천694억에 달하는 재산을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6·1 지방선거 첫날 등록 후보들의 재산, 병역, 납세, 전과 내역 자료를 공개했다. 우선 전체 후보들의 평균 재산은 8억4천645만원으로 집계된 가운데 정당별로는 국민의힘은 10억6천790만원, 민주당은 7억7천292만원 등으로 나타났다.

 

 

전체 재산 상위자를 살펴보면 서울 종로구청장에 출마한 코리아당 류승구 후보(388억22만원)으로 가장 재산이 많았다.

 

재산 2위는 경기도지사에 출마한 국민의힘 김은혜 후보로, 재산 규모는 225억3천100만원이었다.

재산 3위는 경기도 성남시의원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서은경 후보로, 재산 규모는 184억6천100만원이었다.

 

100억원대 재산을 보유한 자산가는 이들 세 후보를 포함해 모두 16명으로 집계됐다. 광역단체장 후보 39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21억1천997만원이었다.

 

이번 선거에서 가장 격전지로 꼽히는 경기의 경우 김은혜 후보에 이어 이어서 무소속 강용석 경기지사 후보(81억5천56만원)가 두 번째로 많은 재산을 신고했다. 이들과 경쟁해야 하는 민주당 김동연 후보의 경우 40억5천354만원의 재산을 기록했다.

 

 

경기지사 후보 외에 고액 신고 광역단체장 후보로는 부산시장에 출마한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46억8천411만원), 강원지사에 도전하는 국민의힘 김진태 후보(40억7천195만원) 등을 꼽을 수 있다.

서울시장 선거에서 맞붙는 민주당 송영길 후보와 국민의힘 소속 오세훈 시장도 후보등록 서류를 냈으나 선관위가 이날 공개한 자료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전체 39명 중 15명이 15억원 이상의 재산을 보유한 자산가였다. 기초단체장의 경우 후보 410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14억4천316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4천770명 후보들의 1인당 평균 납세액은 4천198만원으로 나타났다.

 

광역단체장 후보들은 평균 1억7천272만원, 기초단체장 후보들은 평균 8천584만원, 광역·기초 의원 후보들은 평균 3천666만원을 납세했다.

 

세금 체납을 기록한 적이 있는 후보는 광역단체 후보 중 3명, 기초단체장 후보 중 41명, 광역·기초 의원 후보 중 558명 등 602명이었다.

 

8명 가운데 한명 꼴로 체납 전력이 있는 셈이다. 광역단체장 후보 중에서는 225억원이 넘는 재산을 신고한 김은혜 국민의힘 경기지사 후보가 세금만 24억3천449만2천원을 납부, 이 항목에서 1위를 기록했다.

 

김 후보에 이어 더불어민주당 송철호 울산시장 후보가 7억8천277만6천원으로 2위, 국민의힘 김영환 충북지사 후보가 5억4천993만8천원으로 3위였다. 병역의 경우 남성 후보 10명 가운데 1명은 질병·수형 등의 병역을 마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전체 4천770명 가운데 병역의무를 지는 남성은 3천567명이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군 복무를 마친 사람은 3천139명이었고, 군 복무를 마치지 못한 사람은 428명(11.9%)이었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에서 176명이, 국민의힘에서 141명이 병역을 못 마친 것으로 나왔다.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는 남성은 33명 가운데 8명이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다.

 

정당별로는 민주당이 4명으로 가장 많았다. 강기정 광주시장 후보, 허태정 대전시장 후보, 이광재 강원지사 후보, 노영민 충북지사 후보 등이 포함됐다.

 

국민의힘 후보는 박형준 부산시장 후보, 김영환 충북지사 후보 등이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다. 전체 4천770명 후보 가운데 1천758명은 전과를 갖고 있었다. 세 명 가운데 한명(36.8%)에 해당하는 수치다.

초범이 1천2명으로 가장 많았지만, 14범도 2명, 10범도 2명, 9범도 6명 있었다.

 

부산진구다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강해복 후보의 전과기록이 14건으로 가장 많았다. 광역단체장 후보 가운데는 15명이 전과가 있었고, 이 중 진보당 민점기 전남지사 후보는 가장 많은 6건의 전과를 신고했다.

 

'체납, 병역 미필, 전과' 등 세 가지 사안을 동시에 기록한 후보는 2명이었다. 경기도 군포시다선거구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용철 후보는 현재 체납액이 6천657만4천원이었다.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고 전과 기록은 2건 있었다.

 

전북 익산마선거구에 출마한 무소속 황호열 후보는 최근 5년간 체납액 9천427만3천원, 현 체납액은 5천490만8천원이었다. 군 복무를 마치지 않았고 전과 기록은 3건이었다.

 

지방선거와 함께 열리는 국회의원 보궐선거 출마자들의 신상도 함께 공개됐다. 국회의원 후보자 11명의 1인당 평균 재산액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532억9천93만원으로 집계됐다.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후보 6명의 평균재산이 624억9천337만원, 국민의힘 후보 4명의 평균재산이 521억9천551만원이었다.

 

특히 경기 성남 분당갑에 출마한 김병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국민의힘 소속 안철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평균을 끌어올렸다. 한국의 실리콘밸리로 불리는 판교에서 벌어진 '벤처신화 주역간 대결' 구도가 된 것으로, '쩐의 전쟁'이 벌어져 주목받는 선거구다.

 

이들의 재산을 제외하면 후보자 9명의 평균 재산은 20억8천134만원으로 낮아진다. 안 후보와 김 후보는 세금납부도 각각 19억5천340만3천원, 7억6천758만4천원을 기록했다.

후보자 11명의 평균 납세액은 6억1천357만1천원으로 집계됐다.

 

국민의힘 인천 계양을에 출마한 국민의힘 윤형선 후보가 납세액이 24억5천137만7천원으로 1위를 기록했고, 이에 맞서는 민주당 이재명 상임고문의 납세액은 1억676만4천원으로 11명의 후보 중 5위를 나타냈다.

전과를 가진 국회의원 후보는 11명 가운데 6명(54.5%)이었다.

민주당 소속 후보 6명 중 충남 보령·서천에 출마한 나소열 후보를 제외한 전원이 전과가 있었다. 국민의힘 소속 후보 3명 중에선 인천 계양을에 출마한 윤형선 후보가 의료법 위반 전과를 신고했다.

전과 건수로는 이재명 후보가 무고·공무원자격사칭, 도로교통법 위반(음주운전), 공용물건 손상·특수공무집행방해 등 3건으로 가장 많았다.

국회의원 후보 11명 중 10명이 남자였으며, 이 가운데 인천 계양을에 출마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를 뺀 9명이 군 복무를 마쳤다.

지난 대선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이 후보는 팔 장애로 인한 정형외과 질환으로 병역을 면제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김건희 집사'의 수상한 자금흐름…특검, 투자금 46억 용처 추적

[TV서울=나재희 기자]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 여사 일가의 '집사' 역할을 한 김예성씨 관련 업체의 자금 흐름을 쫓으며 뒷배를 캐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11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김씨가 대기업들로부터 부정한 자금을 수수했다는 의혹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일부 자금이 김씨 부인 정모씨가 관계된 '차명회사'를 경유한 정황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씨가 임원으로 있던 렌터카 플랫폼 업체 IMS 모빌리티가 2023년 6월 투자받은 184억원 가운데 46억원이 사모펀드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이노베스트코리아라는 회사의 지분을 매입하는 데 쓰인 것이다. 이노베스트코리아는 정씨가 유일한 사내이사로 등재돼 있다. 이 때문에 특검팀은 이 회사가 실제 김씨가 소유한 차명회사가 아닌지 의심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가 이노베스트코리아의 구주를 그대로 매입한 것으로 드러나 사실상 김씨의 성공적인 '엑시트'를 도운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검팀은 정씨도 피의자로 입건하면서 출국금지 조처하고 46억원의 용처를 추적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자금이 김 여사와 관련이 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수사하는 것

그린벨트 훼손해 주차장 만든 행주산성 김 박물관 '이행강제금'

[TV서울=곽재근 기자]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의 김 제조업과 전시·박물관을 운영하는 업체가 수년 전부터 개발제한구역(그린벨트)을 훼손해 불법 영업행위를 이어온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고양시 등에 따르면 A 업체는 지난 2018년부터 최근까지 행주외동 58-5번지 일대 그린벨트 농경지와 임야를 훼손하고 매립해 관광객을 위한 주차장을 조성해 불법 사용해왔다. 이 업체는 또 자신의 땅이 아닌 행주외동 57-5번지 임야를 소유주의 허락을 받지 않고 불법으로 훼손해 주차장 출입구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A 업체의 이런 위법 행위에 대해 고양시 덕양구청 환경녹지과는 지난 1월 산지관리법 위반으로 고양경찰서에 고발했다. 또 지속적인 법 위반 및 행정조치 불이행에 대해 덕양구청은 여러 차례 시정명령을 내렸다. 덕양구청은 A 업체가 최근까지 불법 증축 3건, 토지 형질 변경 2건, 물건 적치 1건, 건물 신축 1건 등 불법 사항만 7건인 것을 확인하고 원상복구 명령과 함께 이행강제금을 부과했다. 덕양구청 관계자는 "업체 관계자가 불법적인 내용에 대해 일부는 인정하고, 일부는 부인하고 있다"며 "지난 10일 개발제한구역법 위반, 농지법 위반, 산지관리법 위반 등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