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3 (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정치


김승남 의원, ‘식량자급 인지 예·결산제도 도입법’ 대표발의

  • 등록 2023.02.06 12:49:01

[TV서울=나재희 기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김승남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이 25일 우리나라 식량안보 강화와 식량자급률 목표 달성을 위해 ‘식량자급 인지 예·결산제도 도입법(국가재정법, 국가회계법, 지방재정법, 지방회계법, 지방기금법 등 개정안)’을 대표발의했다.

 

최근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밀, 옥수수 등 주요 곡물 가격이 급등하고, 국내에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식량안보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2011년 ‘2015년까지 식량자급률 57.0%를 달성하겠다’고 했지만, 식량자급률은 2010년 54.1%에서 2015년 50.2%, 2020년 45.8%로 악화됐고, 곡물자급률도 2021년 20.9%에 불과했으며, 영국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2022년 식량안보지수 순위에서는 우리나라는 OECD 38개국 중 32위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미국이 전체 국가 예산에서 약 5%를 농무부 예산으로 배정하며 곡물자급률을 약 120% 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또 2021년 기준 유럽연합(110%)이나 영국(88%), 중국(92%), 러시아(151%), 캐나다(133%) 등이 곡물자급률을 매우 높은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우리나라도 식량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농업 예산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가 예산 중 농림축산식품부 예산은 2010년 5.0%에서 2015년 3.7%로, 2021년 2.9%로 매년 그 비중이 줄어들었다.

 

이에 김승남 의원은 “우리나라 식량주권 확보에 필요한 농업 예산을 확대하려면 매년 정부 예산과 기금이 주요 식량자급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분석·평가하고, 이를 국가 재정 운용 계획에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며 ‘식량자급 인지 예·결산제도’ 도입을 위한 국가재정법 개정안 등 5건을 대표발의했다.

 

김승남 의원은 “지난 2010년 ‘성인지 예·결산제도’가 도입된 이후 우리나라 성인지 예산은 2010년 7.4조 원에서 2020년 34.6조 원으로 약 5배 가까이 증가했다”면서 “국가재정법 등을 개정해 ‘식량자급 인지 예·결산제도’를 도입하면, 식량자급률 제고와 농업 예산 확대에 도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울시, 농식품부‧롯데카드‧신세계와 손잡고 청년 로컬창업 지원

[TV서울=나재희 기자] 서울시 대표 지역연계 청년 창업지원 사업 ‘넥스트로컬’이 올해 민간기업, 중앙정부와 손을 맞잡고 지역 상생 청년에 날개를 달아준다. 7년 차에 접어든 넥스트로컬은 지난해까지 총 609개 팀, 1,128명의 청년이 참여했으며 올해(7기)는 77팀, 133명이 선발됐다. 서울시는 13일 오후 2시, 서울시청(6층 영상회의실)에서 농림축산식품부, 롯데카드㈜, ㈜신세계와 ‘지역상생 청년 창업 지원 및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과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이사, 김선진 신세계 부사장이 참석했다. ‘넥스트로컬’은 서울 청년이 수도권 밖 인구 감소 지역의 유무형 자원을 활용, 지역 연계 또는 지역 내에서 창업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참여팀들은 특산자원을 활용한 상품 개발부터 지역문제 해결형 창업까지 다양한 아이템으로 활동 중이다. 지난해까지는 민간기업을 통해 판로 확보, 온라인몰 입점, 공동 이벤트 등이 진행됐으나 올해는 중앙정부(농림축산식품부)도 참여하면서 ‘농촌혁신 아이디어 모델 확산 사업’과 연계한 스케일업 자금 지원․지역 커뮤니티 연계․전문가 코칭 등 체계적 지원도 이뤄지게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