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2022년 대학 졸업생 취업률 70% 근접해

  • 등록 2023.12.27 14:09:35

[TV서울=박양지 기자] 지난해 대학교·대학원 졸업생의 취업률이 70%에 근접하며 최근 5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간, 남성과 여성간 취업률 격차는 줄어든 반면 공학·자연계열과 인문계열 사이의 격차는 벌어졌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은 전국 고등교육기관의 2021년 8월·2022년 2월 졸업자 55만8,039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2월 31일 기준 취업 현황을 분석한 '2022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 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졸업생 가운데 취업자는 33만3,909명으로 취업 대상자(47만9,573명)의 69.6% 수준이며, 이는 전년(67.7%)과 비교해 1.9%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교육부는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8년 이래로 최근 5년 사이 가장 높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건강보험 직장가입자가 89.6%였고, 프리랜서 7.2%, 1인 창(사)업자 1.9%, 개인창작활동종사자 0.7%, 해외취업자 0.5% 순이었다. 프리랜서와 해외취업자 비율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했지만,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개인창작활동종사자는 감소했다.

 

학제별 취업률은 일반대학원이 83.1%로 가장 높았고, 전문대학이 72.9%, 일반대학이 66.3%였다. 교육대학(-1.5%포인트)을 제외한 모든 고등교육기관의 취업률이 전년 대비 0.2~4.0%포인트가량 상승했다.

 

공학계열(72.4%), 의약계열(83.1%) 취업률은 평균을 웃돈 반면, 인문계열(59.9%)과 사회계열(65.8%), 교육계열(63.4%), 자연계열(67.2%), 예체능계열(68.1%) 취업률은 평균보다 낮았다.

 

교육계열(0.4%포인트)을 제외한 모든 계열의 취업률이 1.0~2.5%포인트 수준으로 상승했는데 특히 공학계열과 자연계열의 상승률이 각 2.5%포인트와 2.2%포인트로 커 인문계열(1.7%포인트 상승)과의 격차가 벌어졌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 취업률은 71.2%, 비수도권 취업률은 68.5%로 2.7%포인트 차이가 났는데 이 격차는 전년(3.5%포인트) 대비 0.8%포인트 감소했다.

 

17개 시·도 가운데서는 인천(72.8%)과 울산(72.6%)의 취업률이 높았다.

 

성별로는 남성 71.2%, 여성은 68.2%가 취업해 성별 간 격차는 3.0%포인트였다. 성별 간 2020년 4.0%를 기록한 이후 2년 연속 줄었다.

 

취업 상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건강보험 직장가입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월 평균소득은 292만6천 원으로 전년(275만2천 원) 대비 17만4천 원 늘었다.

 

학부는 16만1천 원 오른 272만3천 원, 일반대학원은 29만2천 원 오른 496만8천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6.3%와 6.2% 상승했다.

 

취업 준비기간은 '졸업 전(입학 전 포함) 취업'(34.7%), '졸업 후 3개월 미만'(25.3%), '3~6개월 미만'(15.5%), '6~9개월 미만'(14.9%), '졸업 후 9개월 이상'(9.7%) 순이었다.

 

기업유형별 취업 비중은 중소기업이 43.7%, 비영리법인이 16.2%, 대기업이 12.4%, 중견기업 10.0%, 국가·지방자치단체 9.5%, 공공기관·공기업(4.4%) 순이며 대기업 취업자 비율이 전년 대비 2.5%포인트 늘었다.

 

2021년 졸업자(2020년 8월 졸업자 포함) 중 건강보험 직장가입자(28만9,809명)의 취업 후 1년 내(2022년 말) 주된 일자리 이동률은 21.8%(6만3,149명)로 전년(20.7%) 대비 1.1%포인트 높아졌다.

 

성별로 보면 남성 이동률은 20.3%, 여성은 23.3%로 여성이 2.9%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학제별 이동률은 전문대학(24.1%), 기능대학(23.3%), 산업대학(22.8%) 등의 순이었고, 계열별로는 예체능계열(25.5%), 인문계열(23.2%), 교육계열 (23.2%) 순이었다.

 

2019년 졸업자의 취업 후 3년 내(2022년 말) 이동률은 43.5%, 2020년 졸업자의 취업 후 2년 내(2022년 말) 이동률은 36.6%였다.

 

교육부는 청년층의 취업 준비를 돕고 미래 환경에 필요한 인재를 키워내기 위해 취업통계조사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조사 대상을 방송통신대학과 원격·사이버대학 등으로 확대하고 취업률 산출 시 외국인 유학생을 포함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고용보험 데이터베이스(DB)를 연계해 특정 기업에 취업한 대학생이 어떤 직무를 담당하는지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청년층과 대학 진로 담당자의 정보 활용을 지원할 예정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교육부(https://www.moe.go.kr)와 한국교육개발원(https://kess.kedi.re.kr) 누리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