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7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제주 초등생 4만명대 무너져…신입생 10명 미만 초교 33곳

  • 등록 2024.01.20 09:21:50

 

[TV서울=변윤수 기자] 저출생 추세에도 '이주 열풍' 등으로 4만명대를 유지해온 제주지역 초등학생 수가 결국 4만명대 아래로 떨어졌다.

20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2024학년도 학급 편성 결과 유·초·중·고·특수학교 전체 학생 수는 8만3천370명으로, 전년 대비 1천776명 줄었다.

특히 초등학생이 3만8천374명으로 전년(4만531명) 대비 2천157명(5.3%) 줄어 눈에 띄는 감소 폭을 보였다.

앞서 지난해 9월 교육청이 발표한 2023∼2028학년도 중기학생배치계획에 따르면 2024년 초등학생은 3만9천209명으로 예측됐는데, 실제 감소 폭이 더 컸다.

 

2000년대 들어 제주지역 초등학생 수 현황을 보면 2000년 4만6천778명, 2001년 4만8천850명에서 2002년 5만770명으로 5만명을 넘어섰다.

이후 2003년 5만2천144명에 이어 2004년 5만2천359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07년까지 5만명대를 유지했다.

그러나 2008년 4만8천291명으로 5만명선이 무너졌고 이후 2009년 4만6천28명, 2010년 4만4천35명, 2011년 4만2천143명, 2012년 4만172명 등으로 급감하며 한동안 4만명대를 기록했다.

2013년에는 3만8천235명으로 4만명선마저 무너졌으며 이후 2017년까지는 3만명대 후반을 유지했다.

그러다가 2015년을 전후로 한 '제주 이주 열풍'에 힘입어 제주도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 속 타지역에서 제주 학교로 전입하는 학생도 점차 늘어났다. 일부 학교는 포화 상태가 돼 교육시설이 부족할 지경에 이르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초등학생 수도 반등해 2018년 4만96명으로 4만명대를 다시 넘어섰으며 2019년 4만1천68명, 2020년 4만575명, 2021년 4만1천328명, 2022년 4만1천628명, 2023년 4만531명 등으로 4만명대 초반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이주 열풍도 사그라지고 저출생 문제도 심화하면서 결국 올해 3만명대로 다시 내려앉았다.

또한 2024학년도 초등학교 신입생 등록 결과 지난 4일 기준으로 5천440명이 등록했는데, 신입생이 10명 미만인 학교가 33곳(제주시 15, 서귀포시 18)에 달했다.

이 중 학생이 없어 수년간 휴교 상태인 가파초 마라분교장과 한림초 비양분교장을 비롯해 가파초,추자초 신양분교장 등 총 4곳은 신입생이 0명이다.

신례초와 조천초 교래분교장은 신입생이 1명뿐이다.

중기학생배치계획에 따르면 제주지역 초등학생 수는 앞으로 매년 1천∼2천여명 감소해 2023년 4만531명에서 2028년 3만311명으로 1만여명(약 2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교생 60명 이하인 소규모 학교(분교장 제외)도 2023년 16곳에서 2028년 30곳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2024학년도 중학생은 전년 대비 170명(5.3%) 증가했고, 고등학생은 전년 대비 338명(1.8%) 증가했다.

그러나 결국 초등학생 감소세는 중·고교생 감소로 이어진다.

중학생은 2025년 2만1천148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점차 감소하고, 고등학생은 2028년 2만705명으로 정점에 이른 뒤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된다.


학교환경개선지원센터, 영등포 쪽방촌 공중화장실 특수클리닝 자원봉사 실시

[TV서울=곽재근 기자] 영등포 쪽방촌 일대 공중화장실이 사회적기업 학교환경개선지원센터(대표 이창국)의 자원봉사로 새롭게 탈바꿈했다. 센터는 지난 10월 25일, 일평균 500명 이상이 이용하는 쪽방촌 공중화장실의 악취 제거와 위생 개선을 위한 특수 클리닝(스켈링 서비스) 봉사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활동은 쪽방촌 거주민과 노숙인, 무료급식소 이용자 및 봉사자들이 지속적으로 겪어온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추진됐다. 센터는 사전 실태조사를 통해 시설 노후도와 오염 상태를 진단한 뒤, 특허받은 신개념 화장실 위생관리 시스템을 적용해 오염된 요석과 찌든 때, 악취 원인균을 완전히 제거했다. 작업은 배수구, 배관, 타일, 칸막이, 위생도기, 세면대, 청소 수채, 천장, 환기시설, 조명, 창문 낙서제거, 건물외부, 오염원 등 화장실 전 구역을 대상으로 진행됐으며, 타일 등 시설의 파손부분은 영등포구청과 협의해 개선할 예정이다 학교환경개선지원센터 관계자는 “이번 클리닝은 단순한 청소를 넘어, 시설의 수명 연장과 예산 절감, 그리고 청소 담당자의 업무 부담 완화까지 기대되는 1석 3조의 효과를 가져왔다”고 밝혔다. 이창국 대표는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으로






정치

더보기
원산지정보원, 수출기업 관세대응 지원예산 감소…내년도 36%↓ [TV서울=나재희 기자] 관세청 산하 한국원산지정보원에서 수출기업들의 관세 대응을 지원해 오던 사업 예산이 36% 줄어들 전망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27일 관세청 산하 한국원산지정보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국원산지정보원의 '글로벌 관세·원산지 규제 대응 수출기업 지원' 사업의 내년도 예산은 5억8천200만 원으로 올해 예산인 9억 1천500만 원에 비해 3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업은 국내 수출기업의 관세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작됐다. 주요국 관세 규제 정보를 비롯해 FTA 체결 국가 관세율 변화를 분석하고 미국 정부의 '원산지 판정 사례'를 분석해 우리 기업에 제공한다. 업계에선 미국 정부가 무역 상품 원산지를 판단하는 기준인 '원산지 판정 사례'의 경우 내용이 복잡하고 명확하지 않아 한국원산지정보원의 지원이 필수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관세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원산지 판정 사례' 분석 수요가 크게 늘면서 지원이 더 필요해졌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미국 CBP(관세국경보호청)의 연간 약 300건의 사전 '원산지 판정'이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연간 약 800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