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4 (금)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종합


장애인 ‘자살 충동’ 경험률 비장애인의 1.6배인 8.8%

  • 등록 2024.04.17 13:48:39

[TV서울=이현숙 기자] 지난 2022년 한 해 동안 자살 충동을 경험한 장애인의 비율은 8.8%로 비장애인의 1.6배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 중에서는 여성 장애인의 자살 충동 경험 비율이 9.4%로 남성 장애인(8.5%)보다 높았다.

 

한국장애인개발원은 17일, 장애인의 우울과 불안·자살 충동·스트레스·정신건강 상담과 처방·정신건강 정보 접근성 등 5개 항목에 대해 조사한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이 통계에 따르면 2022년 1년 동안 자살 충동을 경험한 장애인 비율은 8.8%, 비장애인 비율은 5.5%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여성 비율이 남성 비율보다 더 높았다. 여성 장애인의 자살 충동 경험 비율은 9.4%, 남성 장애인은 8.5%, 여성 비장애인 비율은 6.3%, 남성 비장애인은 4.6%였다.

 

여성 장애인의 자살 충동 경험 비율은 최근 4년 새 증가했다. 2018년 조사에서는 남성 장애인의 경험 비율이 10.6%로 여성 7.7%보다 높았다.

 

자살 충동의 주된 이유로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신체·정신적 질환과 우울감 등을 가장 많이 꼽았고 경제적 어려움이 그 뒤를 이었다.

 

우울과 불안을 경험한 비율 역시 비장애인보다 장애인이, 남성 장애인보다 여성 장애인이 높았다.

 

장애인의 15.7%(남성 12.1%·여성 20.6%)는 지속적인 우울감을 경험하고 있었고, 8.7%(남 7.9%·여 9.7%)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불안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장애인의 경우 지속적인 우울감 경험 비율은 8.5%(남 6.0%·여 10.6%), 불안감 경험 비율은 5.2%(남 4.2%·여 6.1%)였다.

 

또 장애인의 5.8%, 비장애인의 4.1%는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느끼고 있으며 장애인의 경우 역시 여성 비율이 7.0%로 남성 비율(4.9%)보다 높았다.

 

우울감과 스트레스 상황에 더 많이 노출된 장애인은 비장애인보다 정신건강 상담·처방을 받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장애인의 15.2%(남 11.4%·여 20.6%)는 정신건강 문제로 전문가 상담을 받아본 경험이 있고, 13.5%(남 10.7%·여 17.4%)는 정신건강 관련 약물을 처방받아 복용한 경험이 있었다.

 

남성 장애인은 정신건강 문제가 있을 때 상담·약물 처방을 받지 않은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다.

 

개발원에 따르면 장애인의 61.3%는 정신건강 문제 관련 정보를 얻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비장애인 비율인 30.3%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다. 또한 여성 장애인이 남성 장애인보다 정보 접근에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경혜 한국장애인개발원 원장은 “다른 분야 통계와 마찬가지로 정신건강과 관련해서도 장애인이 비장애인보다, 장애인 중에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이번 통계 자료가 장애인의 정신건강 관리를 지원해 자립·사회참여 촉진 정책에 유용하게 쓰이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통계로 보는 장애인의 정신건강’은 개발원 누리집(www.koddi.or.kr)에서 볼 수 있다. 누리집에서 구독 신청을 하면 이메일로도 받아볼 수 있다.

 







정치

더보기
與, '이재명, 상습적 말바꾸기를 실용주의로 포장“ [TV서울=이천용 기자]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거대 야당의 대표이자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가 어떻게 표정 하나 바뀌지 않고 온 국민 앞에서 자신의 정책과 노선을 멋대로 갈아엎을 수 있나"라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 대표의 '민간 주도 정부 지원' 구상에 대해 "스토킹 범죄자의 사랑 고백처럼 끔찍하고 기괴하다"고 지적했다. '기본소득 재검토' 언급에도 "정치적 자아 분열"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이 대표의 기자회견은 처음부터 끝까지 단 한 줄도 믿을 수 없다"며 "쥐가 고양이를 흉내 낸다고 해서 진짜 고양이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김상훈 정책위의장은 "이 대표는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AI·반도체·로봇 산업의 중요성을 거론했지만, 실제로는 민주노총의 눈치를 보고 있다"며 "회견이 거짓말이 아니라면 반도체특별법을 포함한 '미래 먹거리 4법' 등 민생 법안에 대한 초당적 협력과 지역화폐법, 상법 개정안 등 악법의 철회로 진심을 보이라"고 촉구했다. 이양수 사무총장은 "이 대표의 상습적인 말 바꾸기는 여전했다"며 "반드시 하겠다던 기본소득 정책을 재검토하겠다고 또다시 말을 바꿨다"고 지적했다. 이어 "정치인으로서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