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6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서울 역대 3번째로 긴 22일 연속 열대야…이번주도 더워

  • 등록 2024.08.12 08:50:48

 

[TV서울=박양지 기자] 기록적인 더위가 이번 주에도 계속된다.

11일에서 12일로 넘어가는 밤에도 서울에 열대야가 나타났다. 22일 연속 열대야다. 서울에서 1907년 근대적인 기상관측을 시작한 이래 118년 중 3번째로 길게 열대야가 이어졌다.

인천과 부산은 간밤까지 각각 20일째와 18일째 열대야를 겪었다.

인천은 1904년 이래 3번째, 부산은 5번째로 길게 열대야가 연속됐다.

 

12일도 대부분 지역 체감온도가 35도 안팎까지 오르는 등 무덥겠다.

오전 8시 주요 도시 기온은 서울 29.3도, 인천 29.7도, 대전 29.0도, 광주 27.5도, 대구 26.2도, 울산 26.0도, 부산 28.8도 등이다.

낮 최고기온은 30~35도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당분간 무더위가 계속될 것으로 본다.

기상청은 이날 오전 발표한 중기예보에서 광복절인 15일부터 22일까지 기온도 아침 23~27도, 낮 30~34도로 지금처럼 평년기온보다 다소 높겠다고 밝혔다.

 

낮에 대기 하층 공기가 달궈지며 대기가 불안정해져 곳곳에 소나기가 오겠다.

이날은 수도권과 강원내륙·산지, 충북중·북부, 경북북동내륙·산지, 호남내륙, 제주 등에 오후에서 밤까지 중 소나기가 내릴 때가 있겠다.

소나기 양은 경기동부와 강원내륙·산지는 5~40㎜, 강원중북부내륙·산지는 5~30㎜, 나머지 지역은 5~20㎜ 정도겠다.

경기동부와 강원남부내륙·산지의 경우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소나기가 시간당 20~30㎜ 안팎씩 쏟아질 수 있다.

호흡기와 피부 등을 자극할 수 있는 오존은 이날 수도권과 충남, 전북, 전남, 경남 등 중서부지방 대부분과 남부지방 일부에서 '나쁨' 수준으로 짙겠다.

당분간 서해상에 해무가 끼겠다.

서해먼바다는 이날 오전까지 바람이 시속 30~45㎞(8~13㎧)로 거세게 불고 물결이 1.5~2.5m로 높게 일겠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오후 들어서는 동해먼바다와 남해동부먼바다에 이런 수준의 풍랑이 치겠다.

동해안에 오후부터 너울 때문에 백사장으로 물결이 강하게 밀려오겠다.

갯바위나 방파제를 넘을 정도의 높은 물결이 거세게 들이치기도 하겠으니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정치

더보기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돌입 [TV서울=이현숙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26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말레이시아로 출국했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다토 모하메드 잠루니 빈 카리드 주한 말레이시아 대사 등이 서울공항에 나와 이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의 출국을 배웅했다. 정 대표는 공군 1호기로 이동하는 도중 이 대통령과 대화를 나누며 웃음을 짓기도 했다. 아세안 정상회의부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까지 이어지는 이른바 '정상외교 슈퍼위크'의 막이 올랐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1박 2일 일정으로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방문한다. 지난 6월 캐나다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지난달 미국 뉴욕 유엔총회에 이어 취임 후 세 번째로 다자 외교 무대를 밟는다. 이 대통령은 현지 첫 일정으로 동포들과 만찬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다. 이튿날에는 가장 먼저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양국의 전략적 동반자 관계 발전 및 온라인 스캠 범죄 대응 공조 등 현안에 대해 협의한다. 이어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한국과 아세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