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우크라 군인 "러 감옥서 화장지·비누·쥐 먹는 법 배워"

2022년 2월24일 러에 생포 후 679일간 포로 생활
"러, 100년전과 같은 방식으로 죄수 학대…러 국가 부르게 해"

  • 등록 2025.03.20 06:49:04

 

[TV서울=이현숙 기자]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에 생포됐다가 풀려난 한 우크라이나 군인이 "지옥 같은 세상이었다"며 러시아 감옥에서 겪은 일을 증언했다.

프랑스 지역을 돌며 수감 생활을 증언하고 있는 블라디슬라프 자도린(25) 씨는 지난 15일(현지시간) 디종 지역 일간지 르비앵퓌블리크와 인터뷰에서 679일간의 포로 생활을 들려줬다.

그는 2022년 2월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를 침공했을 때 흑해의 작은 섬인 '뱀섬'(우크라이나명 즈미니섬)을 방어하다가 러시아에 생포됐다. 이후 7개의 다른 구금 시설로 이송되며 2년 가까운 수감 생활을 하다가 지난해 1월3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대규모 포로 교환을 하면서 풀려나게 됐다.

자도린 씨는 출소 14개월이 된 지금도 여전히 "꿈에서 전쟁을 보고, 감옥 소리를 듣는다"며 수감 생활 도중 말 못 할 폭행과 고문을 겪었다고 말했다.

 

그는 교도관의 폭행으로 자신의 피부색이 "파란색에서 녹색으로, 녹색에서 빨간색으로" 변했다며, 때로는 "그들이 수의학 도구로 몸의 모든 부위에 전기 충격을 가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이제 나는 불에 탄 사람의 살냄새를 알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손톱 밑 바늘", "몽둥이 구타", "성폭력"을 그들의 고문 방식으로 언급하며 많은 수감자의 성기가 절단됐다고 주장했다.

자도린 씨는 감옥에서의 굶주림도 회상했다.

그는 "우리는 종종 모래가 묻은 빵 한조각만 먹었다"며 "우리는 화장지, 비누, 쥐를 먹는 법을 배웠다"고 증언했다. 이 때문에 구금되기 전 120㎏의 육중한 체격이었던 그는 석방될 당시 몸무게가 절반으로 줄어있었다.

자도린 씨는 "러시아는 중세에 머물러 있으며, 100년 전과 똑같은 방법으로 죄수들을 학대하고 있다"고 고발했다.

 

우크라이나 포로들을 더 힘들게 한 건 심리적 폭력이었다.

그는 "우리는 완전히 잘못된 정보를 받았다. 그들은 우크라이나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고 이미 점령됐으며, 러시아 땅이 됐다고 말했다"고 증언했다.

또 "아침에 일어나면 러시아 국가를 불러야 했다. 교도관이 우리가 부르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저녁까지 계속 불러야 했다"며 "우리는 러시아 역사를 읽어야 했고, 하루 종일 러시아 라디오를 들었다. 그들은 우리를 러시아화하고 싶어 했다"고 말했다.

자도린 씨는 수감 생활 중 두 차례나 극단적 선택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는 "출소 후에는 아무런 감정도 느끼지 못했다. 행복도 슬픔도 아무것도 없었다"며 "부모님이 다가오셔도 아무것도 느끼지 못했다"고 털어놨다.

러시아에서의 포로 생활은 그에게 엄청난 후유증을 남겼다.

두부 외상이나 담낭 수술, 양쪽 엄지발가락 절단 같은 물리적 후유증은 물론이거니와 심리적 상처를 치유하는 데에는 더 오랜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

그는 "지난달 부모님이 내가 자는 동안 러시아 국가를 부르는 것을 발견했다"고 고백했다.

자도린 씨는 상처를 극복하는 방법의 하나로 사람들 앞에서 자신이 겪은 일을 털어놓기로 했다.

그는 러시아의 허위 정보 선전에 맞서 싸우는 단체 '가짜 타도'(Break the Fake)의 요청으로 15일 디종에 이어 17일엔 툴루즈, 18일엔 그르노블에서 강연을 이어간다.

그는 "내 목표는 그곳에 있는 친구들을 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여기 있는 것"이라며 "우크라이나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프랑스에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말했다.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할 생각 없다"

[TV서울=이천용 기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은 16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가보훈부 대상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집중적인 사퇴 압박에도 자진해서 사퇴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김 관장은 이날 관장직에서 스스로 물러날 생각이 없느냐는 민주당 김현정 의원 질문에 "사퇴할 생각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들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저를 비롯한 구성원 모두가 독립정신을 지키고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기관의 책임과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김 관장의 근무태만 의혹을 비롯해 독립기념관 시설 사유화 논란, '광복은 연합국의 선물' 발언 논란 등을 집중적으로 거론하며 김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백범 김구 선생 증손자인 민주당 김용만 의원은 "관장이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선대의 국적이 일본이라 하고, 광복이 연합국의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고 주장하니 독립기념관의 역사적 정체성이 훼손되고 있다"며 "자격이 없는 사람이 관장을 맡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현정·박범계·이정문 의원은 김 관장이 독립기념관 시설을 종교교회·신반포교회·ROTC 동기회 등 단체에 마음대로 내준






정치

더보기
김형석 독립기념관장, "사퇴할 생각 없다" [TV서울=이천용 기자]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은 16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국가보훈부 대상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집중적인 사퇴 압박에도 자진해서 사퇴할 의사가 없다고 밝혔다. 김 관장은 이날 관장직에서 스스로 물러날 생각이 없느냐는 민주당 김현정 의원 질문에 "사퇴할 생각 없다"고 밝혔다. 그는 "국민들이 자부심과 긍지를 가지고 올바른 국가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저를 비롯한 구성원 모두가 독립정신을 지키고 국민통합에 기여하는 기관의 책임과 소임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김 관장의 근무태만 의혹을 비롯해 독립기념관 시설 사유화 논란, '광복은 연합국의 선물' 발언 논란 등을 집중적으로 거론하며 김 장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백범 김구 선생 증손자인 민주당 김용만 의원은 "관장이 일제강점기 당시 우리 선대의 국적이 일본이라 하고, 광복이 연합국의 승리로 얻은 선물이라고 주장하니 독립기념관의 역사적 정체성이 훼손되고 있다"며 "자격이 없는 사람이 관장을 맡은 것"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김현정·박범계·이정문 의원은 김 관장이 독립기념관 시설을 종교교회·신반포교회·ROTC 동기회 등 단체에 마음대로 내준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