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8 (토)

  • 구름많음동두천 8.9℃
  • 흐림강릉 13.4℃
  • 구름많음서울 12.5℃
  • 맑음대전 10.5℃
  • 박무대구 8.7℃
  • 구름조금울산 14.9℃
  • 박무광주 11.8℃
  • 구름조금부산 16.1℃
  • 맑음고창 9.9℃
  • 맑음제주 17.7℃
  • 구름많음강화 9.6℃
  • 구름조금보은 8.3℃
  • 맑음금산 6.8℃
  • 맑음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7.2℃
  • 구름조금거제 15.6℃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구 ‘차선 축소’에 화제만발… “대학로(?)도 줄이자”

  • 등록 2015.03.18 08:59:33

[TV서울=김남균 기자] 혼잡한 도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히려 차선을 줄이겠다는 영등포구의 역발상이 화제가 되고 있다.

구는 최근 영등포역 앞 영중로를 한 차선 줄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도로 폭을 줄여 교통량을 줄이겠다는 것. 교통이 혼잡하면 도로를 넓혀야 한다고 흔히 생각하게 되는 상황에서, 영등포구의 이러한 계획은 재미 있는 시도로 인식되어 주요 언론들의 보도 소재가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조전혁 전 국회의원이 영등포구의 이러한 시도를 본 받아 대학로도 줄이자는 주장을 하고 나섰다. 여기서 대학로란 지명이 아니라, ‘대학으로 가는 길로 풀이된다. 다시 말해 대학을 줄여 대학입시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다.

조 전 의원은 317일 한 인터넷언론에 게재된 영등포 차선 축소? ‘대학로도 줄여보자!”란 제목의 글에서 요즘 영등포 구청이 재미있는 실험을 하고 있다고 하네요. 항상 심한 교통체증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영등포 신세계 앞 도로를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차선을 줄이겠다는 겁니다.”라며 일견 이건 말이 안 된다라고 생각하실 분들도 많겠지만 해외의 몇 개 도시에서의 사례에 따르면 차선을 줄이면 오히려 체증이 줄어든다는 보고도 있다고 합니다라고 전했다.

그는 얼핏 역설 같지만 어느 정도 합리적인 설명도 가능할 듯 합니다라며 즉 사람들은 차선이 줄어들어 체증될 것을 예상하고 그 도로 대신 우회도로를 선택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아니면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든지 하는 대안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 아마 이런 작용들 때문에 외국의 도시에서 성공사례가 만들어진 것 아닌가 합니다.”라고 설명했다.

이같이 운을 뗀 조 전 의원은 우리나라의 고등교육도 심각한 체증이 있다는 측면에서 영등포 앞 도로와 별반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라며 “‘대학로(?)의 체증인 셈이죠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다음과 같이 진단했다.

최근 좀 줄기는 했지만 우리나라의 대학진학률은 여전히 80%를 넘습니다. 도로로 따지면 아마 왕복 16차선 정도는 되는 넓은 길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모두가 대학에 가야한다는 대학진학 강박증도 너무나 넓은대학진학의 기회 때문은 아닐까요? 만약 이 대학로를 왕복 8차선이나 4차선 정도로 줄인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제 개인적인 감으로는 대학진학의 체증을 줄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는 최근 들어 학생, 학부모 사이에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습니다. ‘굳이 대학에 진학해야 하나? 굳이 대학진학을 강요하지 않겠다는 생각이 확산되고 있습니다.”라며 이런 변화를 가속하기 위해서 대학로의 차선을 줄이는 것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생각됩니다.”라고 밝혔다. /김남균 기자







정치

더보기
양부남, "중국 모욕 처벌법 아냐" [TV서울=변윤수 기자] 더불어민주당 양부남(광주 서구을) 국회의원은 자신이 대표 발의한 특정 국가 및 집단에 대한 모욕·명예훼손 처벌법을 둘러싼 논란과 관련해 "입법 취지가 왜곡되고 있다"고 반박했다. 양 의원은 7일 광주시의회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개정안은 중국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전 세계 어느 나라를 향하든지 사실이 아닌 허위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하는 행위를 막기 위한 것"이라며 "정당한 비판은 오히려 보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양 의원은 특정 국가나 국민 등 특정 집단에 대한 모욕과 명예훼손을 처벌할 수 있게 하는 내용이 담긴 형법 일부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개정안은 공연히 허위의 사실을 적시해 특정 국가, 특정 국가의 국민, 특정 인종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모욕한 경우 현행 형법과 동일하게 처벌하도록 했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이를 '중국 비판을 막기 위한 법',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입틀막법'이라고 비판하며 논란이 일었다. 양 의원은 "표현의 자유는 민주사회의 기본이지만 근거 없는 폭언과 혐오 발언은 헌법이 금지하는 영역"이라며 "독일·프랑스·영국 등 다수의 선진국도 인종·국가·종교를 이유로 한 혐오표현을 형법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