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8 (금)

  • 맑음동두천 -2.8℃
  • 맑음강릉 3.3℃
  • 맑음서울 -0.7℃
  • 맑음대전 1.1℃
  • 맑음대구 4.0℃
  • 맑음울산 3.8℃
  • 구름많음광주 5.8℃
  • 맑음부산 4.3℃
  • 흐림고창 5.7℃
  • 흐림제주 9.9℃
  • 구름조금강화 -2.5℃
  • 맑음보은 -0.3℃
  • 흐림금산 3.4℃
  • 구름많음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5.4℃
기상청 제공

사회


박원순 시장,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방문

  • 등록 2020.01.13 12:01:32

 

[TV서울=이천용 기자] 미국 순방 마지막 도시인 워싱턴D.C.를 방문한 박원순 시장은 현지시간으로 12일 오후 구한말 자주외교의 상징적 공간인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을 찾았다.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은 1889년 2월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서양국가에 설치한 외교공관이다. 16년 간 미국주재 대한제국 공사관으로 사용됐다. 외교적 지평을 확장하고자 했던 구한말 자주외교의 첫 시작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워싱턴D.C.의 19세기 외교공관 중 유일하게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유일한 공사관 건물로서 의미를 더한다.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은 1910년 한일강제병합으로 일본공사가 단돈 5달러에 강탈해 바로 10달러에 미국인에게 매각했다. 이후 정부와 민간의 노력으로 2012년 정부가 350만 달러를 들여 매입한 뒤 복원작업(국외소재문화재재단)을 거쳐 2018년 5월 22일 전시관 형태로 재개관했다.

 

박원순 시장의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방문에는 전 주한 미국대사를 역임했던 캐슬린 스티븐슨(Kathleen Stephens) 한미경제연구소장이 동행, 한미 외교관계의 우호적인 역사적 공간을 함께 둘러보며 이야기를 나눴다.

 

 

박원순 시장은 이어서 ‘주미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의 원주인이자 미국 외교관이었던 세스 펠프스(Seth Phelps)의 가족묘에 함께 묻혔던 걸로 추정되는 ‘이화손’의 묘터(오크 힐 묘지(Oak hill cemetery) 내)를 방문해 참배했다.

 

이화손은 미국에서 태어난 우리나라 최초의 외교관 자녀이자, 미국 시민권 1호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세스 펠프스의 가족묘에 묻혀있던 오래된 묘비에서 ‘니화손’이라는 한글이름이 올해 5월 확인되면서 이화손의 묘터가 세상에 알려졌다.

 

미 외교관 출신으로 미국에 한국을 적극적으로 소개하는데 앞장섰던 세스 펠프스의 가족묘에서 묘비가 발견되었다는 점은 당시 대한제국과 미국과의 우호관계가 깊었음을 추정해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화손은 구한말 주미대한제국 제4대 공사였던 이채연과 부인 성주배 씨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1890년 10월 12일 미국 현지에서 태어났지만 습진 등 합병증으로 2개월 만에 사망했다. 당시 현지 신문은 그를 ‘미국에서 태어난 첫 조선인’으로 보도하기도 했다.(1890. 10. 13. 이브닝월드)

 

이화손의 아버지인 이채연은 귀국 후 1896년부터 현재의 서울시장직에 해당하는 한성판윤을 지내며 한성의 도시계획을 정비한 인물이다. 현재는 서울광장이 된 덕수궁 앞 서클은 미국의 서클도로에서 착안해 건립한 것이다.

 

 

한편, 박원순 시장은 앞서 이날 ‘미주한인위원회(CKA, Council of Korean Americans)’와 오찬 간담회를 갖고, 미국 내 한인사회의 애로사항 등 다양한 의견을 청취했다. ‘미주한인위원회’는 미국 주류사회에서 성공한 한인 1.5세와 2세대 영 리더들을 중심으로 정치력 신장을 위해 2010년 결성한 초당적 비영리단체다.

 


정부, 프린스그룹 등 '온라인 스캠' 첫 독자제재

[TV서울=변윤수 기자] 정부가 27일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한국인 대상 스캠사기 및 유인·감금 등 범죄 활동에 관여한 개인 15명과 단체 132개를 독자제재 대상으로 지정한다. '태자단지'와 '망고단지' 등 다수의 한국인이 감금됐던 대규모 스캠단지를 조성·운영한 프린스그룹과 자회사들, 천즈 회장이 제재 대상에 올랐다. 또 범죄조직의 자금세탁에 관여한 후이원그룹과 자회사들도 제재 대상이 됐다. 중국계로 알려진 천즈 회장은 캄보디아 최고 실세인 훈 센 전 총리의 고문을 맡는 등 정치권과 밀착해 사업을 키운 인물로, 대규모 사기 범죄 단지를 운영해 막대한 부를 쌓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캄보디아 보하이 스캠단지에서 각종 스캠 범죄를 저지른 한청하오, 한국 대학생 감금·폭행 사망사건의 용의자이자 마약 밀반입 혐의를 받는 리광하오 등도 제재 대상이다. 제재 기관들은 캄보디아, 대만, 싱가포르, 홍콩 등 아시아뿐 아니라 조세회피처로 알려진 팔라우,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만제도 등 여러 지역에 소재한 것으로 파악됐다. 제재 대상으로 지정된 개인·단체는 관계 법규에 의거해 가상자산을 포함한 국내 자산동결, 국내 금융거래 제한, 개인의 경우 입국 금지 등의 조치가 부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