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8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도박문제관리센터, 도박문제자 및 가족 위한 치유 서비스 실시

  • 등록 2020.02.10 16:05:44

 

[TV서울=변윤수 기자]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 서울센터(센터장 정보영, 이하 서울센터)는 2월부터 12월까지 도박문제자와 가족을 위한 심리‧재정‧법률 통합 서비스를 진행한다.

 

서울센터는 도박문제자들이 겪고 있는 심리‧재정‧법률적 어려움을 다각적, 체계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서비스를 선보인다.

 

서울센터의 치유서비스는 크게 ‘도박문제자 본인’을 위한 과정과 ‘도박문제자 가족’을 위한 과정으로 구분된다. 해당 과정은 매주 수요일 또는 목요일 2시간 동안 집단상담으로 진행되며 기초-심화-성장의 3단계로 구조화되어 있다. 먼저 도박문제자를 위한 기초과정에서는 단도박 동기를 강화하는 내용으로 진행되며, 심화과정에서는 재발방지를 위한 스트레스 관리, 관계 회복을 위한 사회기술을 다루게 된다. 3단계 성장과정은 도박을 대체할 여가활동을 공유하는 자리로 음악을 활용한 예술요법 등 통합적인 서비스로 이루어진다.

 

도박문제자 가족을 위한 과정은 도박문제 대처법을 배우는 기초과정과 그간의 회복경험을 점검하는 심화과정, 음악을 통한 심리 치유를 도모하는 성장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재정‧법률 서비스는 2월부터 12월까지 강의식 교육과 개별상담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별상담은 대면 또는 전화로 진행되고, 모든 서비스는 재정전문가와 변호사가 수행한다.

 

도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서울센터의 프로그램에 수시로 참여할 수 있다. 참여를 원하는 자는 서울센터 대표전화(02-740-9100)로 신청하면 된다.

 

정보영 서울센터장은 “도박문제자들에게 단도박 자기효능감을 부여하고, 그 가족들에게는 도박문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통합 치유 서비스를 마련하게 됐다”며 “도박문제자들의 치유와 재활을 도왔던 전문성을 살려 고품격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는 도박문제 예방 및 치유‧재활 사업을 시행하는 공공기관이다. 도박문제자 본인 또는 가족 누구나 365일 24시간 헬프라인 1336(국번없음)을 통한 전화상담이나 넷라인(http://netline.kcgp.or.kr)을 통한 채팅상담을 할 수 있다.


금감원 비대위, “금융개악 위한 졸속 입법 중단해야”

[TV서울=변윤수 기자] 금융감독원 비상대책위원회는 18일 "금감원 내 정부 조직개편 방안에 따른 입법 대응 태스크포스(TF)의 법안 검토 기간이 이틀 정도에 불과해 졸속 입법"이라며 TF 운영 중단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전날 낸 성명서에서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위해서는 금감위 설치법, 은행법 등 고쳐야 할 법안만 50여개, 고쳐야 할 조문은 9천개 이상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를 이틀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검토한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라는 명분을 내세우며 금융감독체계 개편을 추진하고 있지만 실상은 금융개악을 위한 졸속 입법임을 자인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임원과 부서장에게는 TF 운영을 중단하고, 직원들에게 관련 업무지시도 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이들은 "금융소비자보호원 신설은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개악으로서 금감원 전체 직원의 의사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라며 "TF를 계속 운영한다면 허울뿐인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동조하고 금융소비자 보호를 적극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개별법에서 금감원장과 금소원장을 나누는 작업을 먼저 요청한 것"이라며 "모든 법을 이틀 만에 검토하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