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


서울교육청, “2025년까지 학생수 28명 이상 과밀학급 82% 해소”

  • 등록 2021.10.05 12:24:29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교육청이 교원단체와 학부모 등의 강한 요구를 고려해 2025년까지 학급당 학생 수가 28명이 넘는 과밀학급의 82%를 해소하기로 했다.

 

서울시교육청은 5일 교원단체와 학부모 등의 강한 요구를 고려해 2025년까지 학급당 학생 수가 28명이 넘는 과밀학급의 82%를 해소하기 위한 과밀학급 해소 추진방안을 발표했다.

 

교육청에 따르면 관내 초·중·고등학교 총 1천316곳 중 292개교(22.2%), 5천457학급(15.7%)이 과밀학급에 해당한다.

 

교육청은 이 중 82%에 해당하는 239개교, 4,504학급의 학급당 학생 수를 2025년까지 28명 미만으로 줄이기로 했다.

 

 

교육부의 과밀학급 기준은 한 학년이라도 학급당 학생 수가 28명 이상인 학교이다.

 

교육청은 2022학년도부터 2025학년도까지 연차적으로 이 사업을 진행나간다.

 

교실 전환, 교실 증축, 모듈러 교사 설치 등 학급증설을 통해 55개교 1,284학급, 학생 밀집도 등 지역 여건을 고려한 학생 배정을 통해 86개교 1,670학급, 저출산·학생 수 감소로 98개교 1,550학급을 각각 해소할 방침이다.

 

교육청은 “이를 통해 2022년 65개교, 2023년 29개교, 2024년 53개교, 2025년 92개교 등 총 239개교의 과밀 상태가 해소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번 계획에 포함되지 않은 과밀학급 53개교 953학급에 대해서는 개축과 학급증설 규모 확대, 학교와 협의 등을 통해 과밀 해소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학급당 학생 수가 많은 사립초등학교에 대해서는 학생 정원을 28명 미만으로 조정하는 방안을 학교와 협의해 연차적으로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교육청은 그동안 과밀학급 해소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아 왔다.

 

정의당 이은주 의원이 지난 8월 교육부로부터 받은 과밀학급 해소 시도별 현황에 따르면 올해 2학기 과밀학급 해소 우선 추진 학교가 경기교육청은 1,014개교였으나 서울교육청은 7개교에 불과했다.

 

교원단체총연합회와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교원단체는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대면 수업을 확대하고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과밀학급 해소가 필요하다고 서울시교육청에 요구했다.

 


워런 버핏, 깜짝 은퇴 선언 "연말에 물러날 것…시장에 겁먹지 말아야"

[TV서울=이현숙 기자] 미국의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버핏 회장은 3일(현지시간) 미국 네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 계획을 밝혀 주주들을 놀라게 했다. 그는 오는 4일 예정된 이사회에서 그레그 에이블 버크셔 비(非)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르도록 추천하겠다고 밝혔다. 버핏 회장은 2021년 에이블 부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회사의 비보험 사업 운영을 맡겼다. 그러나 그동안 버핏 회장은 은퇴할 계획이 없다고 말해왔기에 그의 사후에야 에이블 부회장이 CEO를 맡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버핏 회장은 은퇴해도 버크셔 주식을 하나도 팔 계획이 없다면서 이는 에이블 부회장이 버크셔를 더 잘 이끌 것이라는 믿음에 기반한 "경제적 결정"이라고 말했다. 버핏 회장은 이날 열린 60번째 연례 주총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부정적 견해를 드러냈다. 버핏 회장은 "무역이 무기가 되어서는 안 된다"며 "세계 다른 나라들이 더 번영할수록 우리가 손해 보는 게 아니라 우리도 그들과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