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약 묻은 배추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서울시의회 최명복 교육의원은 9월 12일 보도자료를 내고 “가락시장에서 지난 7월 중순 농약 묻은 배추 20t과 파슬리 수십Kg이 유통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되었다”며 “배추에선 이프로디온이라는 살충제가 기준치의 2배 이상, 파슬리에선 다이아지논이라는 농약이 기준치의 18배, 클로르피리포스라는 농약은 기준치의 4배 이상 검출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는 농약 배추가 유통된 사실을 뒤늦게 발견했으나 소매상을 통해 유통된 터라 수거명령은 내리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전했다.
최 의원은 “문제된 농약 배추의 경우, 7월 14일 밤 10시경 도매시장에 20t이 경매되어 15일 서울 전역에 공급되었으며, 이날 Y지방공사가 그 일부인 273Kg을 구입해 16일분 학교급식을 위해 친환경유통센터에 공급했다가 농약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특히 “새롭게 드러난 사실은 친환경유통센터가 별도의 공급업체까지 선정하여 도매시장에 상장된 일반농산물을 상시적으로 구매하게 했다는 것”이라며 “결국 학교급식의 유통단계를 한 번 더 거치게 함으로써 일반 시민들보다 하루 늦은 신선하지 못한 채소류를 더 비싼 가격에 학생들에게 공급한 셈”이라고 지적했다. /김남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