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경제


코스피, 장 초반 2,360대 강보합세

  • 등록 2023.01.12 09:44:29

 

[TV서울=신예은 기자] 코스피가 12일 장 초반 2,360대에서 강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이날 오전 9시 15분 현재 코스피는 2,365.45로 전 거래일보다 5.92포인트(0.25%) 올랐다.

 

지수는 전장보다 17.19포인트(0.73%) 오른 2,376.72에 개장해 오름세를 유지하고 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개인과 외국인이 각각 416억원, 93억원을 순매수해 지수를 끌어올리고 있다. 기관은 494억원 매도 우위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4.2원 내린 1,242.0원에 개장해 원화 강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0.80%)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1.28%),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1.76%)가 일제히 상승했다.

 

미국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앞둔 가운데 시장 전문가들이 12월 CPI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5% 상승, 전달(7.1% 상승) 대비 크게 둔화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지수를 밀어 올렸다.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테슬라 등 대형 기술주들이 동반 강세를 보인 점도 미국 증시를 지지한 요인 중 하나다.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미국 시장에서 대형 기술주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돼 지수가 상승한 점은 한국 증시에 긍정적"이라면서도 "물가상승률 하락은 많은 부분 시장에 선반영됐다는 점에서 여전히 경계감은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가총액 상위 10위권에서는 삼성전자(0.17%), LG에너지솔루션(1.58%), 삼성바이오로직스(0.75%), LG화학(0.79%) 등 대부분이 오르고 있으며, SK하이닉스(-0.57%)만 약세다.

 

업종별로는 보험(1.38%), 건설업(1.34%), 의료정밀(1.29%), 기계(1.25%) 등이 강세고, 종이·목재(-0.11%), 통신업(-0.08%) 등은 소폭 하락하고 있다.

 

같은 시간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0.05포인트(0.01%) 내린 709.72다.

 

지수는 전장보다 3.79포인트(0.53%) 오른 713.56으로 시작했으나 상승 폭을 줄이다 약보합권으로 내려왔다.

 

코스닥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98억원, 121억원을 순매도해 지수를 끌어내리고 있다. 개인은 홀로 851억원을 순매수했다.

 

시총 상위권에서는 에코프로비엠(-0.20%), HLB(-1.11%), 펄어비스(-0.81%) 등이 하락하고 셀트리온헬스케어(0.17%), 엘앤에프(0.49%), 카카오게임즈(0.46%) 등은 오르고 있다.


민주, 금융당국개편 토론회…발제자 "금융위 정책기능 기재부에 이관"

[TV서울=나도진 서울본부장] 더불어민주당이 1일 주최한 '금융감독 체계 개혁' 토론회에서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국제기준에 따라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 기능을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위에서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떼어내 국제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기재부로 이관하고, 금융위를 금융감독원과 합쳐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하자는 구상이다. 금감위는 정책 대상에 따라 금융건전성감독원과 금융시장감독원으로 나눠 건전성감독원은 금융업계 인허가를, 시장감독원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맡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고 교수는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 기능을 조정하는 기구로 '금융안정협의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금융안정협의회는 기재부와 금융건전성감독원, 금융시장감독원, 한국은행, 예금보험공사,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회의체로 거시건전성 감독 정책 등 금융안정 업무를 담당하고 당국 간 정보교환과 관리업무도 수행한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의원은 금융감독체계를 소비자 중심적으로 개혁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이번 토론회 성과가 차기 정부 정책에 반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