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지방자치


제주 섬, 야생화한 염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 등록 2023.01.23 09:57:08

 

[TV서울=박양지 기자] 제주도가 야생화한 염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23일 환경부 영산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오는 4∼5월께 제주시 추자면 청도에 서식하는 염소에 대한 포획이 이뤄진다.

 

앞서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지난해 9월 특정도서 모니터링 과정에서 청도에 염소 30여 마리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다.

 

청도는 추자도에서 배로 10분 거리에 있는 무인도로, 파도에 의해 생긴 파식대와 해식동굴 등 지형·경관적 가치가 뛰어나 2003년 7월 특정도서로 지정됐다.

 

특정도서로 지정되면 각종 개발행위는 물론 가축 방목과 야생동물의 포획·반입, 야생식물 채취 등이 금지된다.

 

사실 청도의 흑염소 소탕 작전은 처음이 아니다.

 

도서 지역에 방목된 염소는 생태계에 교란을 가져오거나 가져올 우려가 높아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이 지정하는 '생태계 위해성' 2급종으로 분류됐다.

이로 인해 청도에서 처음 흑염소가 발견된 2008년을 시작으로 2012년과 2020년 3차례에 걸쳐 흑염소 포획이 이뤄졌지만, 살아남은 개체가 또다시 번식해 개체 수를 늘리며 쉽게 사라지지 않고 있다.

 

영산강유역환경청은 올해는 총포가 아닌 'GPS 생포 트랩'을 이용해 염소를 잡을 예정이다.

천연기념물(376호)이자 국가 지정 명승(77호)인 산방산 일대에도 흑염소 최소 수십 마리가 서식하면서 생태계 파괴에 낙석 사고까지 야기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실제 산방산 중턱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굴속에 불상을 모신 산방굴사를 오르다 5∼10마리 무리 지어 뛰어다니는 염소를 봤다는 목격담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산방산에서 서식하는 염소는 2000년대 초반 마을 주민이 풀어 놓고 기르던 몇 마리가 야생에 완전히 적응해 개체 수가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3∼4년 전 포획용 틀을 설치한 것 외에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제주도 관계자는 "매년 산방산 식생에 대한 모니터링을 벌이고 있고, 모니터링 과정에서 염소로 인한 특이점은 확인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천년의 섬'으로 불리는 제주시 비양도도 야생 흑염소 무리로 한때 시끌벅적했다.

1975년 한림수협이 도서 지역 소득사업의 일환으로 가구당 흑염소 1∼2마리씩을 보급하는 과정에서 비양도에 처음 염소가 들어와 살게 됐다.

 

이때 비양도에서 가장 높은 비양봉 일대에 방목된 흑염소 무리가 야생 염소로 변했고, 개체 수도 빠르게 늘면서 환경파괴 문제가 불거졌다.

흑염소 무리는 풀은 물론 나무 밑동 껍질까지 갉아 먹었고, 화산회토까지 파괴하면서 국내에서 유일한 비양나무 군락까지 훼손됐다.

 

결국 제주시는 2018년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6차례에 걸쳐 인원 500여 명을 동원해 흑염소를 비양봉 분화구에 가둬 잡는 대대적인 포획 작전을 벌였다. 시는 이렇게 잡은 흑염소 203마리를 모두 수매했다. 다행히 시가 2020년 비양봉 식생을 조사한 결과 풀이 돋아나고 조릿대가 되살아나 우거지는 등 자연식생이 눈에 띄게 회복된 것으로 확인됐다.







정치

더보기
김건희특검, '삼부토건 주가조작 늑장조사' 금융당국 수사할까 [TV서울=이천용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 경위도 들여다볼지 주목된다.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실 관계자는 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내주 중 특검에 (삼부토건 관련) 금융당국의 늑장 대응에 대해 국회에서 나온 의혹과 자료를 취합한 의견서를 전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 조사에 신속히 나서지 않은 경위가 수사로 밝혀져야 한다는 내용이다. 삼부토건 전·현직 회장, 대표이사 등은 2023년 5∼6월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을 추진할 것처럼 투자자를 속여 주가를 띄운 후 보유 주식을 매도해 부당이득을 취득한 혐의를 받는다. 국제 포럼에서 현지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MOU)을 맺어 우크라이나 재건주로 분류된 삼부토건은 그해 5월 1천원대였던 주가가 2개월 뒤 장중 5천500원까지 급등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서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은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가 삼부토건 주가 급등 전 메신저 단체 대화방에 '삼부 내일 체크'라는 메시지를 남긴 정황이 포착돼 김 여사 연루 의혹도 일었다. 문제는 한국거래소가 이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