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日홋카이도 마라톤 2만여 명 참가... 한국 이봉주 선수 등 109명 출전

  • 등록 2023.08.29 15:33:46

 

[TV서울=이천용 기자] 일본에서 유일하게 여름에 열리는 풀코스 대회인 홋카이도 마라톤 대회가 예상을 뛰어넘는 무더위 속에도 성황리에 개최됐다.

 

1987년 첫 대회 이후 올해로 35회째를 맞은 ‘홋카이도 마라톤 2023’은 지난 27일 오전 8시 30분 일본 삿포로 오도리공원에서 출발 총성과 함께 시작됐다.

 

이번 대회는 최근 10년 사이 열린 대회 중 가장 높은 온도 속에 치러진 대회였다. 이날 선수들이 출발선을 나설 당시 온도는 섭씨 29.2도(습도 78%)였다. 이는 지난해 열린 34회 대회(24.5도) 때보다 5도 이상, 역대 대회 평균 온도(25.1도)보다도 4도 이상 더운 날씨였으며, 2019년 대회(18.7도)와 비교하면 10도 넘게 높았다.

 

 

그럼에도 이날 마라톤에는 초청 엘리트 선수 23명(남자 13명, 여자 10명)과 마스터스 선수 2만343명을 포함해 총 2만366명이 소세이터널~신카와도리~홋카이도대~홋카이도청~오도리공원으로 이어지는 42.195km 풀코스를 따라 달렸다. 2019년 대회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4년간 발걸음이 끊겼던 해외 마스터스 541명도 함께했다.

 

 

주최 측은 참가자들의 열기를 식혀주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출발선으로부터 5.4km 지점부터 이후 2~4km가량마다 급수대를 촘촘하게 설치했다. 물을 머리에 뿌려가며 더위를 식히는 선수들을 위해 냉장 장치에서 막 꺼내온 생수를 공금했으며, 선수들이 마시거나 뿌린 뒤 생수병을 아무데나 버려 따라오는 주자가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 급수대 바로 옆에는 병 수거통을 배치했다.

 

기록은 날씨 탓에 저조했다. 남자부의 패트릭 마젠게 완비(26·케냐)는 지난해 우승자인 루카 무셈비(22·케냐)가 세운 2시간10분49초보다 10분가량 뒤진 2시간20분54초으로 결승선을 통과하며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부 1위 사와하타 도모미(30·일본)도 지난해 우승자인 야마구치 하루카(36·일본·2시간29분52초)보다 9분 가까이 늦은 2시간38분18초를 기록했다.

 

한편, 이번 대회에는 이봉주 선수를 비롯해 109명의 한국선수들이 참가했다.

 


민주, 금융당국개편 토론회…발제자 "금융위 정책기능 기재부에 이관"

[TV서울=나도진 서울본부장] 더불어민주당이 1일 주최한 '금융감독 체계 개혁' 토론회에서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넘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토론회 발제자로 나선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국제기준에 따라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 기능을 분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금융위에서 국내 금융정책 기능을 떼어내 국제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기재부로 이관하고, 금융위를 금융감독원과 합쳐 금융감독위원회로 개편하자는 구상이다. 금감위는 정책 대상에 따라 금융건전성감독원과 금융시장감독원으로 나눠 건전성감독원은 금융업계 인허가를, 시장감독원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맡도록 하자고 제안했다. 고 교수는 금융정책 기능과 금융감독 기능을 조정하는 기구로 '금융안정협의회'를 설치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금융안정협의회는 기재부와 금융건전성감독원, 금융시장감독원, 한국은행, 예금보험공사,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회의체로 거시건전성 감독 정책 등 금융안정 업무를 담당하고 당국 간 정보교환과 관리업무도 수행한다. 토론회 좌장을 맡은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의원은 금융감독체계를 소비자 중심적으로 개혁할 필요성이 있다면서 "이번 토론회 성과가 차기 정부 정책에 반






정치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