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9월 취업자 30만9천 명 증가… 청년층 취업자 11개월째 감소세

  • 등록 2023.10.13 09:18:02

[TV서울=변윤수 기자] 9월 취업자 수 증가 폭이 3개월 만에 다시 30만 명대로 올라섰다. 같은 달 기준으로 고용률은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았고 실업률은 가장 낮았다.

 

다만 기저효과에 더해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경기가 아직 충분히 회복되지 못한 영향으로 제조업 취업자 감소 폭은 더 확대됐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세도 계속되고 있다.

 

13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69만8천 명으로 1년 전보다 30만9천 명 늘었다. 지난 6월 33만3천 명 늘어난 뒤로 3개월 만에 다시 30만 명대를 회복한 것이다.

 

전년 동기 대비 취업자는 2021년 3월부터 31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올 상반기 매달 30만∼40만 명대였던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지난 7월 21만1천 명까지 축소된 뒤 두 달 연속 증가 폭을 키웠다.

 

 

연령대별 취업자를 보면 60세 이상에서 35만4천 명, 30대에서 5만6천 명, 50대에서 4만5천 명 늘었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감소했다. 15∼29세 청년층은 8만9천 명 줄어들면서 11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40대는 5만8천 명 줄면서 15개월째 감소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7만2천 명 줄면서 지난 4월 9만7천 명 감소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제조업 취업자는 9개월째 감소세다. 제조업 생산과 수출 회복세가 아직 충분하지 않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감소세가 이어지던 건설업 취업자는 3만6천 명 늘며 10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15세 이상 전체 고용률은 63.2%로 1년 전보다 0.5%포인트(p) 상승했다. 1982년 7월 월간 통계작성 이후 9월 기준 가장 높다.

 

15∼64세 고용률은 1년 전보다 0.7%포인트 상승한 69.6%였다. 1989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9월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26.5%로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8개월째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실업자 수는 66만1천 명으로 2002년 9월 63만2천 명 이후 같은 달 기준으로 가장 적었다. 실업률은 1년 전보다 0.1%포인트 하락한 2.3%였다. 같은 달 기준으로 1999년 6월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다.

 

청년층 실업률은 5.2%로 1년 전보다 0.9%포인트 하락했다.

 

청년층 고용률과 함께 실업률도 함께 하락한 것은 고용 상황이 개선됐다기보다는 취업 의지를 갖고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청년 수가 줄어든 영향이 큰 것으로 풀이된다. 9월 청년층 경제활동참가율은 1년 전보다 0.5%포인트 하락한 49.1%였다.

 

9월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07만1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2만 명 줄었다.

 

이중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1만1천 명 늘었다. 청년층 '쉬었음'은 1만4천 명 줄면서 6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제조업 취업자 수가 줄어든 것은 지난해 증가 폭이 컸던 것에 따른 기저효과가 있는지 봐야 한다"라며 "자동차·의류는 증가하는데 화학·전자부품 등은 감소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전면충돌? 대화복원?…與, 對野기조 변화여부 국힘 전대가 변수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이 상식적이고 정상적인 정당으로 돌아와 주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새 당 대표를 뽑는 국민의힘을 향해 '변화하면 대화와 협력을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던지면서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집권 여당과 제1야당간 관계 변화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 대표가 8·2 전당대회 수락 연설 등에서 "악수는 사람과 하는 것"이라며 자칭 '내란당'인 국민의힘과의 대화 거부 원칙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의힘 새 대표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정 대표의 스탠스도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당장 정 대표가 집권 여당 대표임에도 이른바 '내란의 완전한 종식'을 외치며 국민의힘을 해산할 수 있다고 반복해서 주장하고 최전방 공격수 역할을 계속하자 당 안팎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집권 여당으로서 야당과 협치가 실종된 모습이 이재명 정부의 통합 기조에 배치돼 국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실제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전국 만18세 이상 1천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 지지율은 59%, 민주당 지지도는 41%로 각각 지난 조사보다 5%포인트씩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