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4 (목)

  • 맑음동두천 19.2℃
  • 맑음강릉 24.6℃
  • 맑음서울 19.2℃
  • 구름많음대전 18.7℃
  • 구름많음대구 26.7℃
  • 구름많음울산 22.4℃
  • 구름조금광주 20.7℃
  • 구름조금부산 18.1℃
  • 구름많음고창 16.3℃
  • 맑음제주 19.2℃
  • 맑음강화 16.1℃
  • 구름많음보은 20.0℃
  • 구름많음금산 19.5℃
  • 구름많음강진군 20.9℃
  • 구름조금경주시 27.0℃
  • 구름조금거제 18.8℃
기상청 제공

사회


尹대통령 지지자들, 헌재 앞 미신고 집회 막는 경찰과 실랑이

  • 등록 2025.02.13 16:58:11

 

[TV서울=이천용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8차 변론기일이 열린 13일 헌법재판소 정문 앞에선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경찰과 실랑이를 벌였다.

 

헌재 정문이 펜스로 통제되고 바로 앞 양쪽 차로가 경찰 버스로 가로막히자 이들은 맞은편 인도에 삼삼오오 모여들어 손피켓을 들고 '탄핵 무효', '대통령은 우리가 지킨다', '이미선 (헌법재판관) 사퇴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사실상 1인 시위를 빙자한 미신고 집회였다. 경찰은 이들이 미신고 집회를 하고 있다며 수차례 해산 명령을 했다.

 

그러나 경찰은 강제 해산 조치를 하는 대신, 자유통일당과 대한민국바로세우기운동본부(대국본) 주최로 열리는 탄핵 반대 집회 쪽으로 이들의 이동을 유도했다.

 

 

해산 명령을 한 경찰이 채증에 나서자 일부 지지자들은 "나도 경찰을 채증하겠다", "경찰이 아닌 사람이 명찰을 달고 있을 수도 있으니 관등성명을 대라"며 스마트폰으로 경찰의 얼굴과 명찰을 찍었다.

 

"1인 시위인데 왜 막냐"라며 항의하거나 집회 장소로 이동하는 척하다가 원래 있던 곳으로 되돌아오기도 했다.

 

헌재와 가까운 안국역 2·3번 출구와 재동초 인근에도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몰려들었다. 이곳 또한 집회 신고 장소가 아니었다.

 

이곳에 모여든 지지자들은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의 동창 카페와 관련해 온라인 커뮤니티에 떠도는 의혹을 거론하면서 '재판관으로 창피하다', '문형배는 사퇴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

 

경찰은 이날 아침부터 헌재 주변에 기동대 46개 부대 2천700명과 경찰버스 140대를 투입해 차로와 인도 통행을 제한했다.

 

 

헌재 안팎은 물론, 뒤편 골목 곳곳에도 폴리스라인 펜스와 바리케이드가 설치되고 경찰이 배치됐다.

 

헌재 앞 인도의 바리케이드는 그 사이로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 수 있을 만큼 촘촘해졌고, 집회 장소인 안국역 5번 출구 인근과 헌재 사이를 가로막는 가벽이 늘어섰다.

 

당초 예정된 변론기일로는 마지막인 데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윤 대통령 극성 지지자들이 폭동을 예고한 날이기도 해 경찰의 경비도 한층 삼엄했다.

 


박성연 서울시의원, “서울시 전역 ‘지하안전지도’ 구축 시급… 심도 깊은 탐사 병행 필요”

[TV서울=이천용 기자] 서울시의회 박성연 의원(국민의힘, 광진2)은 지난 22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재난안전실 업무보고에서, 서울시 전역의 지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밀 탐사 확대와 ‘지하안전지도’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지금까지 활용해온 GPR(지표투과레이더)은 지하 2미터 내외 탐사에 한계가 있어, 보다 깊은 구간을 파악할 수 있는 저주파 탐사 병행이 필요하다”며 “저주파 탐사는 해상도는 낮지만 보다 깊은 탐사가 가능하다는 전문가 의견도 있는 만큼, 복합탐사 방식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박 의원은, “최근 강동구에서 발생한 대형 싱크홀 사고를 비롯해, 현장 점검 결과 지하 공동과 노후 하수도 구조물 문제가 다수 확인됐다”며 “광진구 역시 지반침하 가능성이 제기된 우려 지역으로, 조속한 조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하 매설물, 공동구, 지하철 공사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지하안전지도’의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이와 관련해 박 의원은, “현재는 침하가 발생한 구역만을 대상으로 한 부분 보수가 이뤄지고 있어, 보다 종합적이고 선제적인 정비계획 수립이 요구된다”며 “광진구와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