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문화/스포츠


누구나 '상연'인 날이 있었다…인간 내면 살피는 '은중과 상연'

  • 등록 2025.10.09 09:34:47

 

[TV서울=신민수 기자] 누구든 살면서 한 번쯤 '질투'라는 감정을 느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친구, 가족 등 주변 사람과 나를 비교하며 내 결핍을 부끄러워 해본 경험도 누구나 있을 것이다.

넷플릭스 시리즈 '은중과 상연'은 그 감정에 집중한다.

두 인물이 10대부터 40대까지 긴 시간 동안 서로를 선망하고, 때론 원망하면서도 결국 서로를 보듬어 안게 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극이 전개된다.

 

어렸을 적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반지하방에서 엄마의 우유 배달을 도우며 살아온 은중(김고은 분)에게 상연(박지현)은 완벽 그 자체였다.

화장실이 2개인 새 아파트, 엄마 아빠와 함께 찍은 가족사진, 전교 1등을 놓치지 않는 명석한 두뇌 등 부럽지 않은 것이 없었다.

하지만 상연은 오히려 싹싹하고 사교적인 성격의 은중을 부러워한다.

특히 자신에겐 유독 엄격하던 엄마와 과묵했던 친오빠까지 구김 없는 은중의 매력에 빠져드는 것을 보며, 가족들이 자신보다 은중을 더 사랑한다는 착각에까지 빠져든다.

"아이가 한 번 그렇게 생각을 하기 시작하면 세상이 그렇게 돼 버리는 거야."

 

극 중 상연의 대사처럼 누구에게도 사랑받지 못했다는 상연의 오해는 그의 삶을 점점 뒤틀리게 한다.

여기에 친오빠의 갑작스러운 죽음, 부모님의 이혼과 경제적 몰락 등 연이은 악재는 상연을 더욱 벼랑 끝으로 내몬다.

은중과 상연의 질긴 인연은 20대, 30대에도 계속 이어진다. 하지만 은중과 마주하면 할수록 상연은 자신의 결핍과 직면하게 된다.

특히 어둠 속에 있던 자신을 다시 세상 밖으로 꺼내 준 은인이자, 자신이 먼저 좋아했던 첫사랑이 이미 은중의 연인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상연은 무너지고 만다.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은중을 이길 수 없음을 깨달은 상연은 은중의 연인을 흔들고, 은중이 애써 기획한 영화를 빼앗으며 은중에게 생채기를 낸다.

"네가 멀쩡한 게 싫어. 망가졌으면 좋겠어 나처럼."(상연)

"누가 끝내 널 받아주겠니."(은중)

결국 은중과 상연은 가시 돋친 말을 주고받으며 서로를 끊어낸다.

이는 우리 모두가 한 번쯤은 마주했던 꼬여버린 관계, 그리고 그 관계로 인한 극심한 피로감을 떠올리게 하며 공감대를 형성한다.

하지만 이들은 40대에 또다시 서로를 마주하게 된다.

말기 암으로 죽음을 앞둔 상연이 은중을 갑자기 찾아오면서다.

상연은 "내가 나일 때 죽고 싶다"며 '조력 사망'을 결정하고, 그 마지막 여행길에 동행해줄 것을 은중에게 요청한다.

자신에게서 빼앗은 영화로 큰 성공을 거뒀지만, 결국 곁에 아무도 남지 않은 상연을 보며 은중은 고민에 빠진다.

"싫어하는 건 생각이 안 나서 좋은 거고, 미워하는 건 생각나서 힘든 거야."

결국 은중은 그토록 미워했지만 자신의 삶에서 지울 수 없었던, 상연과 함께 스위스로 떠나기로 결정한다.

은중과 상연의 마지막 스위스 여행은 풀어진 그들의 관계처럼, 유난히도 따스하고 아름답게 그려진다.

이 작품은 '조력 사망'이라는, 조금은 어려운 의제를 우리에게 던진다.

다만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사회적, 윤리적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각 인물이 이를 결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에 집중한다.

외롭게 세상을 등진 오빠와 고통에 몸부림치다 삶을 마감한 엄마를 떠올리며 "나보다 더 행복하게 죽는 사람은 없다"고 말하는 상연, 그런 상연이 조금이라도 덜 고통스럽고, 덜 외롭길 바라며 곁을 묵묵히 지키는 은중에게 우리는 모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액션이나 치정 등 자극적인 요소 하나 없이 두 여성의 길고 긴 서사가 이어지는데도 극이 지루하지 않은 것은, 김고은과 박지현의 섬세한 감정연기가 그 빈 자리를 채웠기 때문이다.

상연을 연기한 박지현은 "(시청자들이) 은중도 이해하고 상연도 이해해야 마지막 결말까지 함께 다다를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했다.

은중도, 상연도 모두 이해하게 하는 것, 극을 이끌어가기 위한 가장 중요한 숙제를 두 배우는 모두 성공적으로 해 냈다.

15회차에 걸친 긴 호흡에도 두 인물의 서사에 구멍이 느껴지지 않는 것은 송혜진 작가의 짜임새 있는 극본과 조영민 감독의 흡입력 있는 연출도 한몫한다.

실제 첫 공개 당시 넷플릭스 글로벌 순위 47위 수준이었던 이 작품은 조용히 입소문을 타면서 국내 드라마 시리즈 1위, 글로벌 비영어권 시리즈 5위로 역주행에 성공했다.

"누구든 '은중'이었을 때가 있었고, '상연'일 때가 있지 않았나 싶어요."

김고은의 이 한마디처럼 '은중과 상연'은 우리 모두에게 은중이었던 날과, 상연이었던 날을 떠올리게 한다.


"제주는 돌로 시작해 돌로 끝나" 한글날 되새기는 제주어의 '돌'

[TV서울=박지유 제주본부장] 10월 9일 제579돌 한글날을 맞았다. 제주어는 아래아(ㆍ)와 쌍아래아(‥) 등 지금은 거의 사라진 훈민정음 창제 당시 한글의 고유한 형태가 남아있어 '고어의 보고'로 불린다. 현대에 들어 제주어의 사용 빈도가 줄어들면서 사라질 위기를 맞고 있지만, 최근 제주도를 배경으로 한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등이 방영되면서 제주어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제주어는 알 듯 모를 듯 낯설면서도 재미있고 정감어린 표현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추석 연휴에 33만7천명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여행을 떠나기 전에 수많은 제주어 중 하나의 주제를 골라 한번 익혀두는 것은 어떨까. 돌·바람·여자가 많은 삼다도(三多島)에서 제주 역사와 문화의 상징 '돌'과 관련한 제주어 표현을 살펴보자. 최근 '제주 돌담 쌓기'가 제주도 무형유산으로 공식 지정된 데 이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를 목표로 본격적인 활동이 추진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옛말에 제주 사람들은 '돌 틈에서 나고 자라서 돌 틈으로 돌아간다'고 했다. '화산섬' 제주에 지천으로 널린 돌 사이로 척박한 땅을 일구고, 돌로 집을 짓고 온갖 가재도구를 만들며 삶을 이어온






정치

더보기
추석민심 훑은 여야 '국감열전'으로…"尹내란청산" "李실정부각" [TV서울=나재희 기자] 추석 연휴 민심 훑기를 마친 여야가 오는 13일부터 국정감사에 돌입, 치열한 창과 방패의 대결을 예고하고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17개 상임위원회는 총 834개 기관을 대상으로 다음 달 6일까지 감사를 벌인다.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 치러지는 이번 국감에서 공수가 뒤바뀐 여야는 전임 윤석열 정부와 현 정부를 동시에 겨누며 물고 물리는 격전을 벌일 전망이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른바 내란 종식 완수를 내세우고 있고,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의 국정 난맥상을 파헤치겠다며 벼르고 있다. 추석 직전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 이진숙 전 방송통신위원장 체포와 석방으로 여야 간 긴장은 최고조에 달한 상황이다. 김현지 대통령실 부속실장 국감 출석 논란, 민주당발(發) 조희대 대법원장의 '대선 개입 의혹' 등도 이번 국감의 주요 화약고로 꼽힌다. ◇ 민주 "내란 청산 국감" vs 국힘 "李정부 민생 실정 고발" 민주당은 이번 국감을 '윤석열 내란 잔재 청산'의 무대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12·3 계엄을 내란으로 규정, 3대(김건희·내란·순직해병) 특검과 관련한 법무부·국방부·외교부·행정안전부에 대한 특히 강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