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6 (토)

  • 맑음동두천 4.5℃
  • 맑음강릉 13.3℃
  • 맑음서울 7.3℃
  • 맑음대전 5.0℃
  • 맑음대구 8.2℃
  • 맑음울산 8.8℃
  • 맑음광주 7.1℃
  • 맑음부산 10.4℃
  • 맑음고창 2.5℃
  • 구름조금제주 10.6℃
  • 맑음강화 4.9℃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1.0℃
  • 맑음강진군 3.9℃
  • 맑음경주시 5.1℃
  • 맑음거제 6.8℃
기상청 제공

포토


[TV서울] 중랑구, 숙선옹주(선빈)안씨 묘 서울시 문화재 지정

  • 등록 2019.06.25 15:53:42

 

[TV서울=신예은 기자] 중랑구 묵동에 소재한‘숙선옹주(선빈)안씨 묘’가 서울시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됐다. 숙선옹주(선빈)안씨 묘는 이번에 기념물로 지정된 분묘 1기를 비롯한 묘표, 상석, 산신제석, 장명등, 문석인 1쌍 등 석물 6기와 지정대상에서 제외된 혼유석, 향로석 등 2기의 석물로 구성돼 있다.

 

숙선옹주는 순흥 안씨‘안의(당시 撿校漢城尹)’의 딸로, 궁인으로 입궁해 조선의 3대 왕인 태종의 후궁이 되었다. 태종과의 사이에 익령군 이치(益寧君 李袳, 태종의 8남)와 소숙옹주(昭淑翁主), 경신옹주(敬愼翁主)를 두었으며 세종 3년(1421)에 숙선옹주로 봉해졌다가 고종 9년(1872)에 정1품 선빈에 봉작됐다.

 

일반적으로 옹주라 함은 후궁의 딸을 일컫는 명칭이지만 조선 초에는 고려의 제도를 계승해 대군의 부인, 왕의 후궁, 왕의 서녀, 왕세자빈의 어머니, 종친의 딸 등을 두루 옹주로 칭했으며 ‘경국대전(1485)’ 반포 이후에는 왕의 서녀만 칭하도록 규정됐다.

 

서울시 문화재위원회는“숙선옹주(선빈)안씨 묘는 후궁에게도‘옹주’라는 명칭이 사용된 사실을 알려주는 실물자료로서 역사적 가치가 크다”고 지정 사유를 밝혔다. 아울러 묘역을 이루고 있는 석물 6기에 대해서도 “조선 세조 때 예장된 묘제 석물이 잘 남아있다는 점에서 서울시 기념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고 전했다.

 

 

한편, 매년 음력 3월 15일에는 숙선옹주(선빈)안씨 묘역의 관리자인 전주이씨 소강공파 종중의 종친들을 중심으로 기신제가 개최된다.

 

이번 숙선옹주(선빈)안씨 묘가 서울시 문화재로 지정됨에 따라 중랑구에는 묘법연화경, 아차산 일대 보루군, 망우리공원 내 서광조 묘소 등의 국가지정문화재 6건, 서울시지정문화재 11건으로 문화재가 총 17건이 됐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공간, 장소 등의 역사적 가치를 잘 살리고 보존하는 것은 도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가는 중요한 작업”이라며 “앞으로도 중랑구에 소재한 많은 문화유산들을 발굴해 그 가치를 널리 알리고, 훌륭히 보전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영등포구의회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문화 도시 연구회’, 발대식 및 연구용역 착수보고회 열어

[TV서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의회 의원 연구단체 ‘탄소중립과 지속 가능한 문화 도시 연구회(이하 연구회)’는 25일 영등포구의회 다목적 회의실에서 정선희 의장과 연구회 소속 의원 및 연구용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연구회 발대식을 개최하고 이어서 연구용역 착수보고회를 진행하며 본격적인 연구 활동에 돌입했다. 지난 3월 25일 운영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출범한 이번 연구회는 영등포구의 환경과 문화를 융합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정책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탄소중립 문화 도시 영등포를 만들어 나가고자 구성되었다. 연구회는 이순우(대표의원)·최인순(간사)·박현우·신흥식·이규선·임헌호·차인영 의원 등 총 7명의 의원이 참여해 활동할 예정이며, 연구용역은 한국문화예술연구원에서 수행한다. 이날 진행된 착수보고회에서는 연구 개요 및 방향 등에 대한 발표가 있었으며, 향후 관련 전문가 초빙 간담회, 타구 우수 정책 벤치마킹을 위한 현장 방문, 환경·문화 관련 캠페인 및 협약식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연구회 소속 의원들은 오늘 발대식을 시작으로 영등포의 미래를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었다는 데 인식을 같이하고, 적극적인 연구 활동과 정책 제






정치

더보기
文 "계엄은 퇴행의 결정판…민주당 정부, 보수정권 퇴행 바로잡는 운명" [TV서울=이천용 기자] 문재인 전 대통령은 2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을 초래한 비상계엄 사태에 대해 "대한민국 퇴행의 결정판이었다"고 비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 기념식에 부인인 김정숙 여사와 함께 참석, 기념사를 통해 "윤석열 정부가 계엄을 위한 위기 상황을 조성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남북 간의 군사적 충돌을 유발하려 했다는 정황까지 드러나 수사가 주목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이 2022년 퇴임한 후 국회를 찾은 것은 처음이며, 이번 방문은 전날 검찰이 뇌물 혐의로 기소한 뒤 첫 공개 일정이기도 하다. 문 전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마치고 고향으로 돌아온 지 3년이 됐는데, 마음 편할 날이 없었던 3년이었다"며 "김대중·노무현·문재인 정부가 국민과 함께 공들여 이룩한 탑이 여기저기서 무너지는 소리를 들어야만 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 3년은 반동과 퇴행의 시간이었다"며 "전임 대통령으로서 마음이 더욱 참담하고 무거웠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돌이켜보면 역대 민주당 정부는 역대 보수정권이 남긴 퇴행과 무능을 바로잡고 대한민국을 다시 전진시켜내는 것이 운명처럼 됐다"고 말했다. 이어 6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