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1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포토


진보당, 서울 25개구 구청장·지방의원 부동산 재산 분석결과 발표

서울 선출직 공직자 부동산 재산 평균 11억9천만원… 국민 평균의 3.7배
“자치단체장, 지방의원도 부동산 전수조사해야”
“편법증여·갭투기·개발지역 투기 의심사례 다수 있어"

  • 등록 2021.08.31 15:03:27

 

[TV서울=이천용 기자] 진보당은 31일 오전 종로구 소재 진보당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 25개구 구청장·지방의원 부동산 재산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진보당은 정부관보, 서울시보 등 서울시 25개구 소속 구청장 25명, 시의원(109명, 2021년 보궐선거 1명 제외), 구의원(414명) 총 548명 재산 공개정보를 분석했으며, 일부 대상자에 대해서는 등기부등본 등을 확인해 거래 내역을 확인했다. 부모의 재산은 빼고 본인과 배우자, 자녀의 재산만 확인했다. 전세권(임차권)은 소유한 재산이 아니므로 부동산 재산에서 제외했다.

 

진보당에 따르면 서울시 선출직 공직자들의 총 재산은 6,769억원이며, 그 중 부동산 재산은 6,525억원이다. 공직자 1인당 평균 재산은 12억3천원이며, 평균 부동산 재산은 11억9천만원이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 조사결과에 따르면 가구당 평균 재산은 4억4천5백만원이고, 부동산 재산은 3억2천만원으로 나타났는데, 서울시 25개구 선출직 공무원의 부동산 재산은 국민평균 부동산 재산에 비해 3.7배나 많은 것이다.

 

부동산 재산 상위 10명의 평균 재산은 76억원으로, 부동산 재산은 116억원이 넘는다.

 

 

오현숙 영등포구의원은 총재산 11억9천만원인데 반해, 부동산 재산은 289억5천만원이 넘어 가장 많은 부동산 재산을 보유하고 있다. 그 뒤를 이어 최남일 강남구의원 177억원, 성중기 시의원(강남구) 122억원, 방민수 강동구의원 107억원, 김미숙 중랑구의원 104억원, 정승균 강남구청장 81억원, 김영종 종로구청장 79억원, 최종배 서초구의원 71억원, 장순원 영등포구의원 70억원, 서회원 강동구의원 68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오현숙 영등포의원의 경우 건물이 124채(아파트 3채, 단독·다가구 2채, 다세대 16채, 복합건물 98채, 오피스텔 4채, 공장 1개)가 있어 부동산 재산은 가장 많으나, 대출과 임대로 인한 채무가 290억원이 있어 부동산 재산은 총재산의 24배나 됐고, 김미숙 중랑구의원은 2.8배나 됐다.

 

이와 관련해 진보당은 “총재산보다 부동산재산이 더 많은 경우는 대출이 많거나, 전세(월세)보증금이 채무로 잡히기 때문에 대출 또는 갭투자 등을 통해 부동산 투기를 한 것은 아닌지 확인을 해봐야 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또, 전체 조사대상자 548명 중 29.3%에 달하는 161명이 다주택자로 조사됐는데, 본인, 배우자, 자녀 기준으로 406명이 778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신고액은 339억6천만원으로 인당 평균 8억3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들 161명은 평균 3.3채를 소유하고 있고, 주택가액은 평균 12억3천만원이다. 이 가운데 3주택 이상 다주택자는 49명이고, 이들의 평균 6.3채를 소유하고 있고, 주택가액은 평균 18억8천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주택자 중 상위 5명은 102채를 소유하고 있고 주택 가액은 평균 43억9천만원으로 조사됐는데, 강대호 중랑구 시의원 25채, 이정인 송파구 시의원 23채, 오현숙 영등포구의원 21채, 김연후 강동구의원 18채, 정명숙 송파구의원 15채를 각각 소유하고 있다.

 

아울러, 전체 조사대상자 중 무주택자는 25.9%인 142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조사대상자 본인과 배우자, 자녀가 보유하고 있는 토지현황을 조사한 결과 250명이 토지를 보유하고 있으며, 토지면적은 284만3,954.53㎡(81만6,804평), 토지재산은 총 908억원으로, 1인당 평균 1만1,375.82㎡의 토지, 3억6천만원의 토지재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면적으로 성장현 용산구청장이 26만7,169㎡(8만,960평)로 가장 큰 면적으로 보유하고 있으나, 토지가액기준으로는 최남일 강남구의원이 150억원(8,849㎡)의 토지를 보유하고 있다.

 

서울시 25개구 선출직 공무원 548명 중 28.6%인 157명이 농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은 농지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은 남궁역 동대문구의원으로 2만1,175.8㎡(6,417평)이며, 그 뒤를 이어 채인묵 금천구 시의원이 1만8,553㎡(5,622평), 성장현 용산구청장이 1만7,774㎡(5,386평)의 농지를 보유하고 있다.

 

농지 가액기준으로 보면 김미숙 중랑구의원 20억1천만원(4,252㎡), 이광성 강서구 시의원 13억1천만원(2,064㎡), 방민수 강동구의원 12억4천만원(2,645㎡), 성중기 시의원(강남구) 10억9천만원(4,014㎡)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23.1%인 127명이 종부세 대상으로 집계됐다. 구청장은 25명 중 7명, 시의원은 109명 중 29명, 구의원은 414명 중 91명이 종부세 대상자이다.

 

 

진보당 대선 후보인 김재연 상임대표는 “공직생활 와중에 주택을 추가로 구매한 공직자도 있고, 갭투기가 의심되거나 개발지역 투기 등을 의심할 수밖에 없는 사례도 있었다”며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부동산 전수조사가 이뤄지는 것처럼 자치단체장, 지방의원도 전부 부동산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157명의 선출직 공직자들이 농지를 보유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이들 농지에서 실제 경작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취득과정은 적법했는지 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공직자로 재임중에 농지를 구매한 사례가 있는데, 이는 농지법 위반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국민권익위원회에서 국회의원을 대상으로 부동산 전수조사가 이뤄지는 것처럼 자치단체장, 지방의원도 전부 부동산 전수조사를 해야 한다”며 “그리고 공직기간 중에는 부동산 매매를 금지해야 한다. 주거용 1주택을 제외하고는 부동산 소유를 금지하는 부동산 백지신탁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공직자윤리법을 개정해 축소된 공시가격이 아닌 시세대로 신고해야 한다. 세부주소 및 부동산취득 과정의 소명자료 등도 투명하게 공개해 공개적 검증이 가능토록 해야 한다”며 “국민을 위해 일하는 자리인 만큼 공직자들의 부당한 재산증식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진보당은 공직자의 부동산 투기를 반드시 끝낼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진보당은 지난 7월 서울 강남4구 구청장, 지방의원의 부동산 보유 실태 등을 조사‧분석해 발표한 바 있다.

 


영등포구, 치매 조기검진과 요양보호가족 휴식제도 이용 집중 홍보

[TV서울=나도진 서울본부장] 영등포구가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의 소중한 기억이 유지될 수 있도록 치매 조기검진과 요양보호가족 휴식제도 이용을 집중 홍보한다고 밝혔다. 우리나라는 올해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를 넘어서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보건복지부 치매역학조사 추이에 따르면, 치매환자는 올해 97만 명에서 2040년이 되면 18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치매에 대한 두려움, 낙인 등 부정적 인식이 높고 치매안심센터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부족한 현실이다. 치매는 예방과 치료가 중요한 만큼, 영등포구 치매안심센터에서는 구민을 대상으로 무료 치매 조기검진, 인지능력 훈련, 전문가 상담 등을 지원한다. 1년마다 한 번, 15분 정도 소요되는 치매 조기검진을 받으면 치매의 진행을 늦추고 제때 치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영등포구는 2023년 전국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요양보호가족 휴식제도’를 도입했다. 치매 등 노인성 질환을 앓는 어르신 가정에 자원봉사자를 연계해, ‘독박 간병’으로 지친 가족이 잠시나마 휴식을 누릴 수 있도록 돕는 제도다. 현재 750여 명의 ‘돌봄봉사단’이 활동 중이며, 이들 중 절반 이상이 요양보호사 자격증

권영세 "SKT 사고대응, 최악 중의 최악…당장 문 닫아도 안 이상해"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SK텔레콤의 유심 정보 해킹 사건 대응과 관련해 “SKT 유심 해킹 사태는 그 자체로도 큰 문제지만, 사고 대응은 최악 중 최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이 정도로 큰 사고를 내고 이 정도로 부실하게 대응하는 기업이라면 당장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권 위원장은 이날 "사태 발생 초기에 빨리 알리지도 않았고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으며, 피해를 막기 위한 구체적 행동 지침도 제시하지 않았다"며 "사고는 SKT가 냈는데 국민이 대리점 앞에 줄을 서야 했고, 몇시간씩 줄을 서도 유심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SKT는 유심 해킹 상황을 인지하고도 24시간 내 신고 의무를 어겼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피해지원 서비스도 거부했다"며 "어제 과방위에서는 가입자 신원을 식별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유심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았단 사실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SKT는 2,400만명의 가입자를 가진 이동통신사 1위 사업자이고, 군을 비롯해 정부 기관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보안 수준과 사고 대응을 보면 일말의 책임감






정치

더보기
권영세 "SKT 사고대응, 최악 중의 최악…당장 문 닫아도 안 이상해"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1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SK텔레콤의 유심 정보 해킹 사건 대응과 관련해 “SKT 유심 해킹 사태는 그 자체로도 큰 문제지만, 사고 대응은 최악 중 최악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이 정도로 큰 사고를 내고 이 정도로 부실하게 대응하는 기업이라면 당장 문을 닫아도 이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권 위원장은 이날 "사태 발생 초기에 빨리 알리지도 않았고 제대로 설명하지 않았으며, 피해를 막기 위한 구체적 행동 지침도 제시하지 않았다"며 "사고는 SKT가 냈는데 국민이 대리점 앞에 줄을 서야 했고, 몇시간씩 줄을 서도 유심을 구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SKT는 유심 해킹 상황을 인지하고도 24시간 내 신고 의무를 어겼고,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피해지원 서비스도 거부했다"며 "어제 과방위에서는 가입자 신원을 식별하는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유심 정보를 암호화하지 않았단 사실도 밝혀졌다"고 말했다. 권 위원장은 "SKT는 2,400만명의 가입자를 가진 이동통신사 1위 사업자이고, 군을 비롯해 정부 기관에도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보안 수준과 사고 대응을 보면 일말의 책임감


사회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