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천용 기자] 중국의 저가 밀어내기 공세로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이 매출이나 수주에 영향을 받았거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중국 내 완제품 재고 물량이 다시 많아지고 있어 밀어내기식 저가 공세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일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전국 제조기업 2,228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 기업의 27.6%가 중국 제품의 저가 수출로 실제 매출·수주 등에 영향이 있다고 답했다.
현재까지는 영향이 없으나 향후 피해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낸 기업도 42.1%였다.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에 따른 피해는 국내 내수시장보다 해외 수출시장이 더 심각했다. 수출기업의 37.6%는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답해 같은 응답을 선택한 내수기업(24.7%)을 크게 앞섰다.
향후 피해 영향이 적거나 없을 것이라는 응답도 내수기업(32.5%)이 수출기업(22.6%)보다 높게 집계됐다.
업종별로도 명암이 엇갈렸다. 특히 전기차 수요 감소로 어려움을 겪는 배터리 기업들이 중국 저가공세로 이중고를 겪고 있었다.
업종별로 '이미 경영 실적에 영향이 있다'고 응답한 비중을 살펴보면 이차전지(61.5%)가 가장 높았고, 섬유·의류(46.4%), 화장품(40.6%), 철강금속(35.2%), 전기장비(32.3%) 등도 전 업종 평균(27.6%)보다 높은 비중을 보였다.
반면 자동차(22.3%), 의료정밀(21.4%), 제약·바이오(18.2%), 비금속광물(16.5%), 식음료(10.7%) 등은 저가 공세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저가 공세로 국내 기업이 겪는 피해(복수응답)는 판매단가 하락(52.4%)과 내수시장 거래 감소(46.2%)가 가장 많았다. 해외 수출시장 판매 감소(23.2%), 중국시장으로의 수출 감소(13.7%), 실적 부진으로 사업 축소 및 중단(10.1%) 등의 피해도 발생했다.
국내 기업은 중국의 추가적인 저가·물량 공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복수응답)으로 고부가 제품 개발 등 품질향상(46.9%), 제품 다변화 등 시장 저변 확대(32.4%), 신규 수출시장 개척 및 공략(25.1%), 인건비 등 비용 절감(21.0%) 등을 꼽았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중국의 완제품 재고율은 코로나 기간 소비와 부동산 경기 침체로 2020년 10월 6.94%에서 2022년 4월 20.11%로 급상승했다.
이후 중국 기업이 과잉 생산된 재고를 해외에 저가로 수출하며 재고율은 2023년 11월 1.68%까지 떨어졌으나, 중국이 좀처럼 경기 둔화세를 벗어나지 못하면서 지난 6월 기준 4.67%로 높아졌다.
국내 기업들이 기술력과 품질로 저가 공세에 대비하고 있지만, 중국의 기술 추격이 가속화되면서 수년 내에 기술력도 따라잡힐 수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최근 5년간 중국 경쟁 기업과의 기술력과 품질경쟁력이 계속 우위에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26.2%에 그쳤다. 반면 우위에 있으나 기술격차가 축소됐다는 응답은 47.3%였고, 비슷한 수준까지 추격당했다고 응답한 기업도 22.5%였다.
현재 중국 기업보다 기술력이 우위에 있거나 비슷한 수준이라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향후 중국 기업의 추월 시점 전망을 물어본 결과 응답 기업의 73.3%(4∼5년 이내 39.5%, 2∼3년 이내 28.7%, 1년 이내 5.1%)가 5년 이내에 중국 기업이 기술력에서도 앞설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저가 공세 장기화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가장 많은 기업이 국내 산업 보호 조치(37.4%)를 꼽았다. 연구개발(R&D) 지원 확대(25.1%), 신규시장 개척 지원(15.9%), 무역금융 지원 확대(12.5%),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지원(6.3%)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있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우리 기업이 해외 수입품에 대해 신청한 반덤핑 제소 건수가 통상 연간 5∼8건인데 비해 올해는 상반기에만 6건이 신청됐다"며 "글로벌 통상 분쟁이 갈수록 확대되는 상황에서 정부의 대응 기조도 달라져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