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박양지 기자] 최근 국경을 놓고 무력 충돌한 태국과 캄보디아가 2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휴전을 위한 정상 회담을 열고 사태 해결에 나선다.
블룸버그·AP 통신 등에 따르면 태국 총리 권한대행인 품탐 웨차야차이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과 훈 마네트 캄보디아 총리는 이날 오후 3시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총리실에서 휴전 회담을 연다.
이번 회담은 지난 24일 태국과 캄보디아가 국경에서 무력 충돌한 이후 처음 열리는 고위급 직접 대화다.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의장국인 말레이시아의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가 중재를 맡았다.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은 이날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태국과 캄보디아는 즉각 휴전하기 위해 말레이시아에서 고위급 협상을 곧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미국 국무부 관계자들이 이미 말레이시아에 도착했고,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훈 마네트 총리도 전날 밤 소셜미디어를 통해 회담 참석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그는 "캄보디아 대표단을 이끌고 쿠알라룸푸르에서 열리는 특별 회담에 참석할 계획"이라며 "이번 회담은 미국과 말레이시아가 공동 주최하고 중국도 참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훈 마네트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이번 회담에 중국도 관여했다는 언급으로 풀이된다. 중국은 캄보디아의 가까운 동맹국이다.
태국 총리실도 품탐 총리 권한대행이 안와르 총리 초청으로 월요일 회담에 참석한다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주말 양국 정상과 각각 통화해 신속히 휴전에 합의하라고 촉구했다.
그는 양국이 자신의 휴전 중재를 받아들이지 않으면 현재 진행 중인 자국과의 무역 협상을 중단하겠다는 입장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관세 협상을 위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회담하기 전 취재진에게 "(태국과 캄보디아) 두 총리와 통화했고 '전쟁을 해결하지 않으면 무역 협정을 맺지 않겠다'고 말했다"며 "통화를 마칠 때쯤 양국 모두 해결하고 싶어 하는 것 같았다"고 말했다.
다만 회담을 앞두고 태국은 다소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태국 정부는 휴전하려면 양자 간 해결을 전제로 군대를 철수하고 치명적 무기도 함께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라유 후앙삽 태국 정부 대변인은 "이번 회담은 평화 복원을 위한 모든 제안을 듣기 위한 자리"라며 "태국 정부는 주권과 영토를 끝까지 수호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캄보디아는 조건 없이 즉각적으로 전투를 중단하는 방안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양국은 휴전을 위한 회담을 앞두고도 이날 국경에서 닷새째 교전을 벌였다.
품탐 태국 총리 권한대행은 이날 휴전 회담이 열리는 말레이시아행 비행기에 타기 전 방콕 공군 기지에서 취재진에 "캄보디아가 선의로 행동하고 있다고 믿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들은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며 "우리는 회담에서 이를 평가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캄보디아 국방부도 태국군이 이날 오전 3시께 두 곳에서 포사격을 했다고 밝혔다고 현지 매체 캄보디아타임스는 전했다.
817㎞에 걸쳐 국경을 맞닿은 이웃 국가인 태국과 캄보디아는 지난 5월 말 태국 북동부 우본라차타니주 남위안 지역 국경지대에서 발생한 소규모 교전으로 캄보디아 군인 1명이 숨진 뒤 지속해서 갈등을 빚었다.
지난 24일부터는 전투기까지 동원해 무력 충돌을 했으며 양국 민간인과 군인 등 35명(태국 22명·캄보디아 13명)이 숨지고 130여 명이 다쳤다.
이번 교전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2008∼2011년 양국의 국경 분쟁 당시 28명을 이미 넘어섰다.
국경을 따라 교전이 확대되면서 양국 국민 21만 명이 피난 생활을 하고 있다. 국경 대부분은 거의 폐허가 됐으며 많은 학교와 병원이 문을 닫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