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가 시정 발전에 기여하고 시민 행복을 위해 공을 세운 시민을 영구히 기리기 위해 지하철 1호선 시청역과 시민청 연결통로에 올해의 서울시 명예의 전당 '서울의 얼굴을 설치하고 26일 오후5시 시민청 라운지에서 명예의 전당 헌액식과 제막식을 개최한다.
서울시는 지난 7월 공적심사를 거쳐 시정 발전에 공이 큰 김복동 씨등 7명(단체1)을 올해의 '서울의 얼굴로 최종 선정했다.
서울시는 매년 시민상, 시민표창 수상자, 교통, 복지, 봉사 등 시정발전에 이바지한 시민 10명 안팎을 선정해 명예의 전당 “서울의 얼굴”에 헌액하고 있다.
<공적>
· 김복동 씨는 1992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임을 스스로 공개하고, 전시 성폭력으로 고통 받는 여성들의 인권운동을 꾸준히 펼쳐 국경 없는 기자회로부터 ‘언론의 자유를 위해 싸운 세계 100인의 영웅’에 선정된 바 있다. 또한 불우한 소녀들을 위해 평생 모은 사비를 장학금으로 보내는 등 선행을 이어오고 있다.
· 지난해 9월, 타오르는 불길 속에서 잠든 이웃들을 구하고 세상을 떠난 故(고)안치범 씨는 화재 당시 가장 먼저 건물을 빠져나와 119에 신고를 하고도 다시 안으로 들어가 잠든 이웃을 깨워 모두 대피시켰으나 정작 본인은 유독가스에 질식해 안타깝게도 생을 마감했다. 스물여덟 꽃다운 청년, 그가 누른 초인종은 우리 사회에 큰 경종을 울렸다.
· 2015년 7월, 경북 왕피천 용소계곡에서 물에 빠진 젊은 남녀 두 명을 구하고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난 이름 없는 천사 故(고)이혜경 씨는 서울시 수영선수 출신으로서 등산 중 실족한 노인을 심폐소생술로 목숨을 구하고, 불볕 무더위에 차 안에 갇힌 사람을 구조하는 등 평소에도 위험에 처한 사람은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숨은 실천가로 알려져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 이필준 씨는 1996년부터 약 20여 년간 매일 아침, 교통이 혼잡한 출퇴근 시간대에 동작구 신대방 삼거리 등에서 교통정리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교통봉사 외에도 뺑소니·특수강도·음주운전자 검거 및 차량추락사고 인명구조 활동을 펼쳐 ‘동작의 푸른 신호등’으로 불리고 있다.
· 문화부문에 선정된 남문현 씨는 조선시대 장영실이 발명한 우리나라 최초의 디지털시계, 자동물시계인 자격루를 573년 만에 원형대로 복원해 2007년 국립고궁박물관 개관에 맞춰 설치했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표상이라 할 수 있는 자격루 복원과 이와 관련된 연구·출판 등을 통해 우리과학문화재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또한, 사랑의 복지관 장애인 치과진료실 설립자로 중증장애인과 저소득층 어린이를 위해 꾸준한 무료봉사활동을 펼친 치과의사 김광철 씨와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과 소외된 이웃들의 가정을 직접 방문해 이·미용 봉사를 실천하고 있는 단정이봉사단이 헌액자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