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김경진 기자]서울 동부권 12개 자치구 총 600개 초‧중‧고등학교에 급식 식재료 공급을 담당할 전문 물류기지 '가락 서울친환경유통센터'(이하 '가락센터')가 5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가락센터'는 제1강서센터(2010년 3월 개장), 제2강서센터(2011년 6월 개장)에 이은 서울친환경유통센터 제3센터로서, 서부권(13개 자치구 700개 초‧중‧고)과 동부권 3개 센터를 거점으로 급식 식재료 공급이 이뤄지게 돼 물류 효율화가 기대된다.
학교와 학부모 입장에서는 배송비 절감으로 인한 급식재료 가격 인하, 식재료의 학교 도착시간 단축으로 인한 신선도 유지, 각종 클레임의 신속한 처리 등이 가능해져 만족도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 그동안 제1‧2강서센터에서 도맡았던 친환경 급식 식재료 공급을 가락센터가 분산하게 된 만큼 그동안 급식 단가가 낮아 고품질 친환경 식재료 공급이 어려웠던 보육시설과 시립 복지시설 및 위탁시설 등에도 공공급식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그 시작으로, 오는 7월 남산 유스호스텔에 공공급식을 시범 추진하고 어린이집, 유치원, 노인복지시설 등에 확대를 검토한다.
착공 2년 만에 개장하는 '가락센터'는 가락시장 내 총 5,666㎡ 면적에 지상 3층으로 건설됐다.
2013년 6월 착공, 2014년 8월 완공됐으며, 시비 100억 원과 공사 자체 예산 47억 등 147억 원이 투자됐다.
내부에는 ▴중금속, 미생물 검사가 가능한 '안전성검사실' ▴신선한 식재료 유통을 위한 '저온창고' ▴효율적 물류를 위한 '식재료 피킹장' 등 주요 시설을 갖추고 있다.
한편, 서울시 친환경유통센터는 ▴잔류농약 부적합 공급단체에 대한 「삼진 아웃제」 도입(2014. 9) ▴일반농산물에 대한 정밀검사 100% 실시(2014. 12) ▴전국 48개 학교급식지원센터 중 최초로 국가 공인 농산물 안전성 검사기관 지정(2014. 12) 등 식재료 안전성 관리를 지속 강화해오고 있다.
산지관리를 통한 사전예방시스템은 ▴친환경농산물 생산자 등록제 추진(올 하반기) ▴삼중그물망 관리 ▴친환경 급식 지정 농장 표시(올 하반기) 등이다.
한국영 서울시 평생교육정책관은 “지난 4년간 서울시의 친환경 무상급식 지원이 성장기 학생들의 건강한 심신발달을 도모하고 식생활 교육 등을 통해 학생들의 건전한 인성계발을 위한 좋은 계기가 됐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도 차별 없고 몸에 좋은 친환경 밥상을 계속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박현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사장은 “가락센터의 본격 가동을 통해 학교에 공급하는 식재료 가격을 지속적으로 인하하고, 보육시설이나 시립시설까지 친환경농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며 “식재료의 안전성 확보와 품질 향상으로 서울의 친환경 무상급식을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