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고교 학점제' 수업 가보니…"문·이과 수업 여러 개 들어 좋아"

"반 친구들이랑 친해지는 시간 줄었다는 것 빼곤 부담 없어"
교육청 "학생 1:1 진로 상담 촘촘하게 받을 수 있도록 지원 노력"

  • 등록 2025.03.30 10:27:24

 

[TV서울=이천용 기자] "제 꿈은 디지털 교육자인데, 고교 학점제 덕분에 문·이과 수업을 여러 개 들을 수 있게 됐어요"

고교 1학년부터 대학생처럼 수업을 골라 듣는 '고교 학점제'가 이달 시행됐다.

27일 서울 관악구 당곡고교에서 만난 2학년 심지민 양은 고교 학점제의 장점에 대해 문과와 이과 수업을 섞어서 들을 수 있다는 점을 꼽았다.

심 양은 "원래 꿈은 교사였는데, 융합 수업을 듣다 보니까 디지털 교육자로 꿈을 이야기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세계 문제와 미래사회 수업 등을 들으면서 세계 시민 역량도 키우고 싶다"고 말했다.

 

당곡고는 2019년부터 작년까지 5년간 고교 학점제 연구 학교로 운영된 곳이다. 당곡고는 이를 위해 토론, 실기, 실험 등 다양한 수업 패턴에 맞춰 교실 내부를 개조하며 적극 대비해왔다.

정근식 교육감은 이날 당곡고를 기자단과 찾아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을 살피고 지원 사항을 점검했다.

한 교실에서는 수도여고와 수업을 온라인으로 실시간 공유하는 '스마트컨텐츠 실무' 수업이 진행 중이었다.

이 수업은 지리적으로 근접한 학교끼리 선택 과목 수업을 공유하는 '공유캠퍼스' 수업이었다.

당곡고 학생 5명은 당곡고 교실에 모여 구글 'MIT 앱 인벤터'을 이용한 음성인식 인공지능 앱을 개발하고 있었다. 수도여고 학생 5여명도 이 수업을 온라인으로 동시에 들으며 피드백을 나눴다.

 

꿈이 '앱 개발자'라는 당곡고 2학년 김경민 군은 "진로 상담 전문가 선생님을 통해서 수업을 선택했다"며 "이동 수업 때 반 친구들이랑 친해지는 시간이 줄었다는 것 빼고는 부담은 별로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 군은 앱 개발자 진로에 맞게 이 수업뿐만 아니라 기하, 물리 등의 과목을 선택해 듣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같은 수업을 듣고 있는 동급생 신은지 양은 "진로 선생님과 대화하면서 문과보다 이과에 흥미가 있다는 것을 깨달아 이과 쪽으로 수강신청을 했다"며 "수업 내용이 생각보다 어렵고 따라가기 힘들 때도 있지만 선생님들 설명을 들으면서 잘 이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수업을 진행한 정병희 정보 교사는 "학생들이 자기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기 때문에 집중도가 상당히 높다"며 "우리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직접 수행할 프로젝트를 선정해 발표한다"고 설명했다.

고교학점제 적용에 따라 고1 학생은 다음 학년에 들을 과목을 5월∼10월에 선택해야 하는데, 진로 상담이 충분히 제공되냐는 우려가 나온다.

출결 관리가 복잡해지는 등 교사들의 수업 여건이 힘들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김명규 시교육청 장학관은 "학교 내 진로상담교사와 교과 및 담임 교사 등이 학생들의 진로를 상담하고 이것이 부족할 경우 교육청에서 운영하는 상담 센터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며 "(지원을) 확대해서 학생들이 1:1로 촘촘하게 지원받을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시교육청은 4월에는 선택과목 수요 조사를, 5월엔 학부모 대상 교육과정 설명회와 학생 대상 교육과정 박람회를 진행한다. 5∼7월에는 선택 과목 상담에 들어가며 진로 상담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 교육감은 "학생이 자신만의 시간표를 만드는 고교학점제는 학생 맞춤형 교육의 전형"이라며 "앞으로도 고교학점제 운영 현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선생님들의 짐을 덜어들 일 수 있는 최선의 방안을 고민하고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李정부, 청년·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

[TV서울=이천용 기자] 야권은 15일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줄이고 수도권 규제를 확대하는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데 대해 청년·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를 박탈했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야권의 비판에 맞서 실수요자 주거 안정에 초점을 둔 이번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청년·서민 죽이기 대책이자 '주택완박(완전 박탈)'"이라며 "좌파 정권이 대책을 발표할 때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란 확신만 심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공급이 없는데 수요를 때려잡는 묻지마 규제로는 집값을 절대 잡을 수 없다"며 "또다시 '부동산 폭등'의 망령이 어른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동산 시장을 경제의 한축이 아니라 폭탄 돌리기로 생각하는 좌파 정권의 삐뚤어진 인식이 문제의 핵심"이라며 "좋은 집에 살고 싶은 국민의 꿈이 왜 투기이고, 내 집 마련을 위한 서민의 노력이 왜 비난받아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반시장적 주택 정책이 아니라 시장 친화적 주택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근본 대책은 민간 중심 주택 공급 확대"라고 강조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






정치

더보기
국민의힘 "李정부, 청년·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 [TV서울=이천용 기자] 야권은 15일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줄이고 수도권 규제를 확대하는 내용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한 데 대해 청년·서민의 내 집 마련 기회를 박탈했다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야권의 비판에 맞서 실수요자 주거 안정에 초점을 둔 이번 정책이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청년·서민 죽이기 대책이자 '주택완박(완전 박탈)'"이라며 "좌파 정권이 대책을 발표할 때마다 부동산 가격이 오를 것이란 확신만 심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장 대표는 "공급이 없는데 수요를 때려잡는 묻지마 규제로는 집값을 절대 잡을 수 없다"며 "또다시 '부동산 폭등'의 망령이 어른거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동산 시장을 경제의 한축이 아니라 폭탄 돌리기로 생각하는 좌파 정권의 삐뚤어진 인식이 문제의 핵심"이라며 "좋은 집에 살고 싶은 국민의 꿈이 왜 투기이고, 내 집 마련을 위한 서민의 노력이 왜 비난받아야 하느냐"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반시장적 주택 정책이 아니라 시장 친화적 주택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근본 대책은 민간 중심 주택 공급 확대"라고 강조했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