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나재희 기자] 살충제 계란 사태와 관련한 부적합 농장에서 판매된 계란 4,326만개 중 회수된 계란은 19.2%에 그쳐, 10개 중 8개꼴로 국민들의 식탁에 올라온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송파병)에게 국정감사 자료로 제출한 살충제 농약 검출 관련 '부적합 농장 계란 회수·폐기 현황'에 따르면, 부적합 농장 55개소의 계란 판매량은 총 4.326만개이며, 이중 회수량은 압류량 490만개와 반품량 340만개 등 830만개로 회수비율은 19.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적합 농장의 계란을 원료로 한 “계란 가공식품 회수·폐기 현황”에 따르면, 가공업체 2개소의 빵과 케익, 훈제란의 대부분이 소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Y업체의 빵, 케익의 경우 압류량은 204kg에 불과하고 78.2%인 734kg이 소진되었고, 충북 H업체의 훈제란도 압류량은 2만개에 불과하고 92.7%인 27만개가 소진되었다.
남인순 의원은 “계란은 신선식품의 특성상 소비가 빨라 사전에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사후적으로 회수하기가 쉽지 않다”고 밝히고,“농장에서 식탁까지 농약과 동물의약품 등에 대한 안전관리를 철저히 하여 국민들에게 안전한 먹거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식약처가 지난 8월21일 “피프로닐, 비펜트린, 피리다벤, 에톡사졸, 플루페녹수론 등 5종의 살충제에 대한 위해평가 결과 계란이 최대 검출량에 오염됐다고 가정하더라도 모두 위해수준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평생 매일 2.6개씩 먹어도 문제가 없다”고 밝힌 것과 관련해 “살충제 계란 사태에 대해 민심이 분노한 상태에서 위해평가를 발표해 시기적으로 부적절했을 뿐만 아니라, 피브로닐과 비펜트린은 잔류허용치를 초과할 경우 부적합 계란으로 회수 폐기해야 할 대상이지, 먹어도 문제가 없는 계란이 아니다”라며 식약처의 성급한 위해평가 발표를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