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서울=이현숙 기자] 서울시가 서울시 거주 남녀생활실태를 나타낸 '2017 성(性)인지 통계 : 통계로 보는 서울 여성'을 발간했다.
'2017 성(性)인지 통계'는 격년으로 발간되며 인구, 가족, 보육, 교육 등 10개 부문 43개 영역, 480개 통계지표로 구성돼 여성과 남성의 생활실태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
통계에 나타난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서울 거주 여성가구주는 ‘월세’가 43.8%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남성가구주는 ‘자가’가 50.1%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여성은 20대~50대는 ‘월세'가 60대 이상은 ‘자가’ 비율이 높은 반면, 남성은 20대 ‘월세’, 30대 ‘전세’, 40대~60대 이상 ‘자가’ 비율이 높는 것으로 나타나 여성이 남성보다 주거안정에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기혼여성 취업자 중 상용근로자 비율(고용계약 1년 이상)은 44.2%로 미혼여성 61.1%보다 16.9%p 낮은 반면, 남성은 혼인상태별 상용근로자 비율 차이가 0.5%p(미혼남성 53.6%, 기혼남성 54.1%)로 나타났다.
30대 이상 여성의 국민연금 가입률은 49.4%로 남성 70.9%보다 21.5%p 낮았으며, 65세 이상 여성의 국민연금 수급률은 24.8%로 남성 51.5%보다 26.7%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16년 서울시 위원회 위촉직 여성위원 비율은 40.3%로 처음으로 40%를 넘었으며, 5급 이상 여성공무원 비율은 ’07년 13.1%에서 ‘16년 20.8%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한 서울여성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96만원으로 남성 310만원의 63.2% 수준으로 조사됐다.
‘성인지 통계’는 궁극적으로 사회의 여러 측면에서 성별로 불평등한 현상을 보여주고 철폐하기 위해 만들어지는 모든 통계를 의미한다.
이번 성인지 통계는인구주택총조사, 사회조사, 서울서베이조사 등을 토대로 주요 부문별 성별분리 종합데이터를 구축함으로써 서울시 성평등 정책추진 및 확산의 기초자료로, 서울시민과 공무원이 다양한 시정 분야에 대한 성별현황 데이터를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작됐다.
'2017년 성인지 통계'는 지자체와 시립도서관, 대학교 등에 배포되며 서울시 홈페이지 정보소통광장(http://opengov.seoul.go.kr/analysis)에서 파일을 내려 받을 수 있다.
배현숙 서울시 여성정책담당관은 “이번 성인지통계 작성이 성별에 따른 특성을 파악하고 각 부문별 맞춤정책을 수립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향후에도 매년 테마별 성인지통계를 작성해 성별영향분석평가 및 정책 수립 등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