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종합


한국전 참전 미군 1세대 흑인 조종사 찰스 맥기 명예준장, 102세로 별세

  • 등록 2022.01.17 16:17:56

 

[TV서울=변윤수 기자] AP, AFP통신이 미국 최초의 흑인 전투 비행단의 일원으로 한국전에 참전하기도 한 찰스 맥기 명예 준장이 지난 16일(현지시간) 102세를 일기로 별세했다고 보도했다.

 

아들 론 맥기는 아버지가 이날 미국 메릴랜드주 자택에서 숨을 거뒀다고 전했다.

 

맥기 명예 준장은 2차대전을 시작으로 한국전쟁, 베트남전쟁 등 세 차례 전장을 누볐으며, 흑인에 대한 인종차별의 장벽을 뛰어넘어 미군에 혁신을 가져온 '터스키기 항공병' 출신으로 유명하다.

 

그는 1942년 10월 앨라배마주의 터스키기 훈련소에 입소한 뒤 이듬해 6월 훈련소 과정을 수료한 뒤 1944년 최초의 흑인 전투 비행단인 미국 육군 항공대 소속 332 전투비행대에 배치돼 조종간을 잡았다.

 

 

터스키기 훈련소는 1941년 미 의회가 육군항공대에 흑인으로만 구성된 전투부대 창설을 명령하면서 생긴 시설로, 흑백 분리정책에 따라 흑인 조종사와 정비병을 따로 양성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곳을 거쳐 간 흑인 항공병을 일컫는 '터스키기 항공병'의 용기와 집념은 최근 도서와 영화, 다큐멘터리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조명받고 있다.

 

그는 한국전쟁에서 저공폭격 임무를 맡아 베트남 전쟁에도 전투기를 몰고 출격하면서 총 3개의 전장에서 409회 공중전투 임무를 수행하는 대기록을 남겼다. 30여 년 간의 군 생활 끝에 1973년 공군 대령으로 퇴역한 이후 대학에서 학위를 따고 기업체 중역으로 활동했다.

 

미국 정부는 그의 무공을 기려 그가 100세가 되던 해인 2020년 2월 그를 장성급인 명예 준장으로 진급시켰다. 그는 같은 날 진행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국정 연설에도 초대돼 의원들로부터 기립박수를 받기도 했다.

 

생전 "터스키기 항공병들이 미국에 변화를 가져오는 데 일조했다"고 말하며 자부심을 드러내곤 했던 그는 1995년 AP와의 인터뷰에서 "우리가 싸워 얻고자 했던 것 가운데 하나는 바로 평등이었다. 기회의 평등 말이다"라고 강조했다.

 

미국 역사상 최초의 흑인 국방장관인 로이드 오스틴 장관은 트위터에 "오늘 우리는 미국의 영웅을 잃었다. 그의 희생과 유산, 성품에 무한한 감사를 전한다"는 글을 올려 맥기 명예준장을 애도했다.

 


춘천시, 태권도 일상화 추진... 하반기 태권체조 등 프로그램 확대

[TV서울=이천용 기자] 춘천시가 시민들 건강과 세대 간 소통을 위해 '태권도 일상화'를 본격 추진한다. 춘천시는 시체육회, 춘천레저·태권도조직위원회와 함께 15일 시청 주변 지하도상가 중앙광장에서 '시민태권도 광장사업'을 시범 운영했다. 이번 시범 운영에는 춘천남부노인복지관 어르신 20여명이 참여해 기본동작, 품새, 체력 단련 등 생활 태권도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체험했다. 춘천시는 앞으로 누구나 참여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해 지역 주민들 관심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민태권도 광장사업은 시민 건강 증진, 세대 간 소통, 지역 공동체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노인과 청소년 등 다양한 계층이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생활체육 프로그램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는 게 춘천시의 설명했다. 앞서 춘천시는 지난 6월 '온 시민이 즐기는 태권도 도시'를 비전으로 춘천태권도 시민협의체를 출범한 바 있다. 현재 행정복지센터와 노인복지관, 고등학교에서 태권교실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춘천시 관계자는 "태권도의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생활체육의 장점을 결합해 온 세대가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며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정기 프로그램 편성과 대상을 확대시켜 태권도가 일상 속에






정치

더보기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