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7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경제


ELS·환율이 바꾼 금융지주·은행 순위…1분기 신한 순익 1위

  • 등록 2024.04.28 09:26:29

 

[TV서울=이현숙 기자] 올해 1분기 주요 금융지주와 은행의 이익 기준 순위가 크게 바뀌었다.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배상 비용에서 적게는 약 80억원부터 많게는 약 9천억원까지 거의 100배의 격차가 벌어진 데다, 원/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손실 규모도 달랐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줄어든 이익에도 불구하고, ELS 등 일시적 요인을 제외하면 상당수 금융지주는 지난 1분기 사상 최대 이익을 거둔 것으로 확인됐다. 무엇보다 높은 금리가 이어지면서, 더 커진 예대마진(예금·대출금리 차이)을 바탕으로 이자 이익이 오히려 작년보다 더 불어난 덕이다.

◇ 신한금융, 작년 1위 KB 제쳐…하나, 151억 차이 3위

 

28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1분기 실적 공시에 따르면, 순이익이 가장 많은 곳은 신한지주(1조3천215억원)였다.

이어 KB(1조491억원)·하나(1조340억원)·우리(8천245억원)·NH농협(6천512억원)이 2∼5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전체 순이익의 경우 KB(4조6천319억원)·신한(4조3천680억원)·하나(3조4천516억원)·우리(2조5천170억원)·NH농협(2조2천343억원) 순이었다.

신한과 KB의 순위 바꿈에는 ELS 배상 규모 차이가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신한이 1분기 영업외손실로 처리한 ELS 투자자 피해 배상 관련 충당부채 규모(2천740억원)는 KB(8천620억원)의 약 3분의 1에 불과했다.

신한보다도 해당 충당부채가 적은 하나(1천799억원)의 순이익이 2위 KB와 151억원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 것도 같은 이유다.

 

2024년 1분기 5대 금융지주 순이익(단위: 억원)
※ 각 금융지주·은행 실적 자료 취합
  2023년 4분기 2024년 1분기 2024년 1분기
ELS 충당부채
신한금융지주(누적) 43,680 13,215 2.740
신한금융지주(분기중) 5,497 13,215
신한은행(누적) 30,677 9,286  
신한은행(분기중) 4,686 9,286
KB금융지주(누적) 46,319 10,491 8,620
KB금융지주(분기중 2,615 10,491
KB국민은행(누적) 32,615 3,895  
KB국민은행(분기중) 4,061 3,895
우리금융지주(누적) 25,170 8,245 75
우리금융지주(분기중) 780 8,245
우리은행(누적) 25,160 7,897  
우리은행(분기중) 2,260 7,897
하나금융지주(누적) 34,516 10,340 1,799
하나금융지주(분기중) 4,737 10,340
하나은행(누적) 34,766 8,432  
하나은행(분기중) 7,102 8,432
NH농협금융지주(누적) 22,343 6,512 3,416
NH농협금융지주(분기중) 1,894 6,512
NH농협은행(누적) 17,805 4,215  
NH농협은행(분기중) 1,753 4,215

 

 

◇ 지난해 리딩뱅크 하나, 2위로…KB는 5위로 밀려

은행만 비교해도 신한의 1분기 순이익(9천286억원)이 5대 은행 가운데 1위였다.

이어 하나(8천432억원)·우리(7천897억원)·NH농협(4천215억원)·KB국민(3천895억원) 순이었다.

작년 연간 순이익의 경우 하나(3조4천766억원)가 가장 많았고, KB국민(3조2천615억원)·신한(3조677억원)·우리(2조5천160억원)·NH농협(1조7천805억원)이 뒤를 이었다.

신한이 3위에서 선두로 나서면서 작년 1위 하나를 밀어냈다. 2위였던 KB는 5위로 밀려났다.

은행 순위의 지각변동에서도 ELS 배상 비용 계상이 절대적 변수였다.

아울러 외환거래 규모가 큰 하나은행의 경우 1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원화 약세)으로 발생한 외환 환산 손실(813억원)도 순이익 감소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됐다.

◇ 고금리에 1년새 이자마진 0.05%p이상↑…금융지주들 "하반기 전망도 긍정적"

ELS 배상 등의 영향으로 금융지주나 은행의 순이익은 전반적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줄었다.

하지만 ELS 요인을 제거하면, 사실상 올해 1분기에도 주요 금융지주들은 '역대 최대 이익' 기조를 이어갔다.

KB금융지주의 ELS 관련 충당부채(8천620억원)를 영업외손익 항목에서 뺄 경우, 1분기 순이익은 1조9천111억원에 이른다. 이는 기존 역대 최대 분기 이익(2023년 1분기 1조5천87억원)을 크게 웃돈다.

KB금융지주 측은 실적 발표 당시 은행의 ELS 배상 비용과 손해보험의 준비금 환입 등의 일회성 요인(세후 기준)을 반영하지 않을 경우 1분기 그룹의 경상적 추정 순이익은 1조5천930억원 정도라고 밝힌 바 있다. 마찬가지로 사상 최대 이익 수준이다.

신한금융지주 역시 ELS 충당부채(2천740억원)를 제외하면 1분기 순이익이 1조5천955억원으로 역대 기록(2022년 3분기 1조5천946억원)보다 많다.

같은 방식으로 단순 계산할 경우 하나금융지주의 1분기 순이익(1조2천139억원)도 2012년 1분기(1조2천998억원) 하나·외환은행 합병 당시 이후 최대 규모다.

이처럼 금융지주들의 이익이 계속 늘어나는 것은 고금리 장기화의 여파로 이자이익 증가세가 지속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신한금융그룹과 신한은행의 1분기 순이자마진(NIM)은 각 2.00%, 1.64%로 작년 4분기(1.97%·1.62%)보다 0.03%포인트(p), 0.02%p씩 올랐다. 작년 1분기(1.94·1.59%)와 비교하면 각 0.06%p, 0.05%p 더 높다.

이에 따라 1분기 그룹 이자이익(2조8천159억원)도 작년 동기(2조5천738억원)보다 9.4% 불었다.

KB금융그룹과 KB국민은행의 1분기 NIM도 각 2.11%, 1.87%로 직전 지난해 4분기(2.08%·1.83%)보다 0.03%포인트(p), 0.04%p높아졌다. 작년 1분기 2.04, 1.79%를 각 0.07%p, 0.08%p 웃돈다.

1분기 KB금융그룹 이자이익(3조1천515억원) 역시 1년 전(2조8천239억원)보다 11.6% 증가했다.

더구나 한국이나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물가 불안 등으로 계속 늦춰지면서, 올해 금융지주와 은행의 수익성 호조는 상당 기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기홍 신한은행 부행장(CFO)은 26일 컨퍼런스콜에서 "1분기 NIM이 0.02%p 상승했는데, 유동성 예금 증가와 정책성 고금리 적금 상품의 만기 도래로 마진이 개선된 것"이라며 "하반기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소폭 하락하겠지만 전반적 마진 관리는 잘될 것 같다"고 전망했다.

이종민 KB국민은행 부행장도 25일 컨퍼런스콜에서 "핵심 예금 성장과 예·적금 비용률 하락 등에 힘입어 NIM이 높아졌다"며 "기준금리 인하가 기존 전망 대비 늦어질 가능성이 있는 만큼 올해 은행 NIM의 향후 하락 폭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치

더보기
전면충돌? 대화복원?…與, 對野기조 변화여부 국힘 전대가 변수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이 상식적이고 정상적인 정당으로 돌아와 주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가 새 당 대표를 뽑는 국민의힘을 향해 '변화하면 대화와 협력을 할 수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던지면서 국민의힘 전당대회가 집권 여당과 제1야당간 관계 변화의 변곡점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 대표가 8·2 전당대회 수락 연설 등에서 "악수는 사람과 하는 것"이라며 자칭 '내란당'인 국민의힘과의 대화 거부 원칙을 이어가는 가운데 국민의힘 새 대표가 누가 되느냐에 따라 정 대표의 스탠스도 달라질 수 있다는 관측에서다. 당장 정 대표가 집권 여당 대표임에도 이른바 '내란의 완전한 종식'을 외치며 국민의힘을 해산할 수 있다고 반복해서 주장하고 최전방 공격수 역할을 계속하자 당 안팎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공개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집권 여당으로서 야당과 협치가 실종된 모습이 이재명 정부의 통합 기조에 배치돼 국정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그 이유다. 실제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전국 만18세 이상 1천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 지지율은 59%, 민주당 지지도는 41%로 각각 지난 조사보다 5%포인트씩




정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