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3.7℃
  • 맑음서울 10.3℃
  • 구름조금대전 10.4℃
  • 구름많음대구 13.0℃
  • 구름많음울산 12.8℃
  • 구름많음광주 12.0℃
  • 구름많음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9.3℃
  • 흐림제주 13.4℃
  • 맑음강화 11.3℃
  • 구름조금보은 9.0℃
  • 구름많음금산 6.7℃
  • 흐림강진군 11.3℃
  • 구름조금경주시 13.4℃
  • 구름많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종합


10가구 중 6가구가 1인·2인가구

  • 등록 2021.07.29 13:50:40

[TV서울=이현숙 기자]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10가구 중 6가구는 1인 가구 또는 2인 가구로 나타났으며, 20대 1인 가구만 127만에 달한다. 또, 주택 열 채 중 여섯 채는 아파트로 단독주택 비중이 점차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총가구 수는 전년 대비 59만 가구(2.8%)가 늘어나 총 2,148만 가구로 집계됐다.

 

가구원 수별로 보면 1인 가구(31.7%)가 가장 많았으며, 2인 가구(28.0%), 3인 가구(20.1%), 4인 가구(15.6%), 5인 이상 가구(4.5%) 순으로 집계됐다.

 

1인 가구와 2인 가구 비중이 전체 가구의 60%에 육박했으며, 1년 전과 비교해 1인 가구는 1.5%포인트, 2인 가구는 0.2%포인트 증가한 반면, 3인 가구는 0.7%포인트, 4인 가구는 0.6%포인트, 5인 이상은 0.5%포인트 감소했다.'

 

 

1인가구는 2000년(15.5%)과 비교하면 20년 만에 2배 수준으로 늘었다. 2005년 이전 가장 주된 가구가 4인 가구였다면 2010년에는 2인 가구, 2015년 이후엔 1인 가구로 바뀌었다.

 

올해 평균 가구원 수는 지난해 2.34명으로, 2000년 3.12명 이후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1인 가구를 연령별로 보면 20대 1인 가구가 19.1%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70세 이상이 18.1%, 30대가 16.8% 순으로 나타났다.

 

20대 1인 가구는 지난해 127만 가구에 달했는데, 1년 전 112만가구 대비 15만 가구가 증가했다.

 

또, 65세 이상 고령자가 있는 가구는 1년 전보다 4.8% 늘어 28.0%로 집계됐으며, 고령자로만 이루어진 가구는 14.2%다.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는 494만9천가구, 영유아 자녀가 있는 가구는 168만9천가구로 전년 대비 각각 2.5%, 5.8%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문화가구는 일반가구의 1.8% 수준인 37만가구이며, 가구원은 총인구의 2.1% 수준인 109만명이다.

 

다문화가구는 내국인(출생)과 외국인(결혼이민자)이 구성한 가구(35.8%)와 내국인(출생)과 내국인(귀화) 가구(23.1%)로 구성된다.

 

결혼이민자는 베트남이 24.6%, 귀화자의 이전 국적은 한국계 중국이 45.9%로 가장 많다.

 

일반가구 중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가구는 51.5%이며,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30.4%로 집계됐다.

 

주택은 2019년보다 40만호(2.2%) 늘어난 1,853만호다. 이 가운데 아파트가 62.9%, 단독주택이 21.0%, 연립·다세대가 14.9%다.

 

2000년에 아파트 비중이 47.8%, 단독주택이 37.2%, 연립·다세대가 11.5%였던 데 비하면 단독주택의 비중이 급속히 줄어들고, 아파트 비중이 크게 늘어났다.

 

주택이 가장 많이 증가한 시도는 경기(14만호)이고 증가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세종(3.5%)이다.

 

빈집은 151만1천호로 단독주택 33만9천호(22.5%), 아파트 83만호(54.9%)다.

 

한편, 빈집은 조사 시점은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사람이 살지 않는 주택을 의미한다. 신축주택 및 매매·임대·이사·미분양 등 사유로 인한 일시적 빈집도 포함된다.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TV서울=곽재근 기자]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위원장 김태수, 국민의힘, 성북4)는 제330회 임시회 기간인 4월 24일, ‘모두의 안심주택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 김태수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모두의 안심주택은 청년 주거, 저출생, 초고령화 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이라며 “이 토론회는 그간의 안심주택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진단하고 향후 추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고 토론회 개최 배경을 밝혔다.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안심주택’은 2016년 ‘역세권 2030청년주택’으로 시작되어 청년·신혼부부·어르신 안심주택으로 확대되었고, 2025년 3월 27일 제정된 ‘서울특별시 안심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청년, 신혼부부, 어르신, 1인가구 등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안심주택으로 재편됐다. 이날 토론회는 최호정 의장, 김인제 부의장, 이성배 국민의힘 대표의원, 성흠제 더불어민주당 대표의원의 축사와 황상하 서울주택도시공사 사장, 이승일 한국도시계획가협회 회장의 인사말로 시작되었다. 토론회의 사회는 주택공간위원회 이민석 부위원장이 맡았다. 이어 첫 발제를 맡은 김기중 연구원은 그간의 안심주택 공급 현황, 안심주택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