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6.6℃
  • 맑음서울 14.2℃
  • 맑음대전 16.2℃
  • 구름조금대구 15.3℃
  • 구름많음울산 15.5℃
  • 구름많음광주 16.4℃
  • 구름많음부산 16.3℃
  • 구름많음고창 14.5℃
  • 흐림제주 14.9℃
  • 맑음강화 14.2℃
  • 맑음보은 14.3℃
  • 맑음금산 14.6℃
  • 흐림강진군 14.6℃
  • 구름조금경주시 16.1℃
  • 구름많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정치


김동연, “기회가 강물처럼 흐르는 나라 만들 것”

  • 등록 2021.09.08 10:45:27

 

[TV서울=이천용 기자]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가 8일 오전 자체 유튜브 채널인 '김동연TV'를 통해 "기득권 공화국을 기회 공화국으로 완전히 바꿔야 한다"며 "국민과 힘을 모으면 기회가 강물처럼 흐르는 나라를 만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전 부총리는 "기회공화국은 기회를 만드는 시작(start)을 하고, 성장(up)을 시키는 나라다. 기회공화국의 다른 말은 '스타트업 천국'"이라며 "저도 대한민국을 기회공화국으로 만들기 위해 정치 스타트업을 창업한다. 조직도, 돈도, 세력도 없지만 정치판의 기존 세력과 맞서는 스타트업을 시작한다. 정치판을 바꾸고 정치 세력을 교체하기 위해서다"라고 '제3지대'를 통한 대선 출마를 공식화했다.

 

김 전 부총리는 "흔히들 보수는 의지가 부족하고 진보는 능력이 부족하다고들 이야기하지만, 아니다. 이제는 진보와 보수 모두, 의지도 능력도 부족하다. 새로운 정치를 해야 한다면서 언제까지 양당구조에 중독된 정치판을 지켜만 보시겠나"며 "어떤 기득권이 문제고 그것을 어떻게 깰 수 있는지 가장 잘 알고 있다. 그런 제가 앞장서서 변방의 목소리가 중앙의 목소리가 되는 시대를 열겠다"고 말했다.

 

또, “기득권 해소를 위해서는 개헌이 필요하다”며 "35년째 요지부동인 헌법을 바꿔 대통령의 권한 집중을 막아야 한다. 국회의원 연임을 제한하고 국민소환제를 도입, 시민 통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기득권만 해소해도 더 많은, 더 고른 기회가 만들어진다. 청년이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고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게 될 것"이라며 "수저 색깔로 인생이 결정되지 않는 나라가 만들어질 것이다. 일할 기회, 기업할 기회, 애 낳을 기회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공통공약추진시민평의회'를 창설해 여야 모든 대선후보의 공통 경제 공약을 선거 결과에 상관없이 추진하자”며 “당선되는 후보는 공통공약을 강력히 추진하고, 다른 후보들은 힘을 모아주자고 약속하자”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는 "뭘 더 주겠다는 장밋빛 약속으로 대한민국의 난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고통스럽더라도 꼭 해야 할 개혁을 담대하게 해 나가겠다. 새로운 10년, 조용한 혁명을 일으키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동연 전 부총리는 오는 9일 대선 출마 관련 기자간담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권성동 "윤희숙 연설, 전반적 동의…수직적 당정관계 책임 통감"

[TV서울=나재희 기자]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25일 윤희숙 여의도연구원장이 전날 정강·정책 방송 연설에서 비상계엄 사태에 사죄한 것에 대해 "전반적으로 취지에 동의한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비상계엄 선포와 관련해 비상대책위원장이나 원내대표인 제가 여러 차례 국민께 실망과 혼란을 끼친 점에 사과했고 그런 점을 강조해서 연설에 반영한 것으로 이해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당정 간 수평적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수직적 관계가 되는 바람에 오늘날 사태에 도달한 것에 대해 저도 지도부 일원으로서 건강한 당정관계를 구축하지 못 해 깊은 책임을 통감한다"며 "민주당의 입법권 남용으로 오늘날 사태를 초래했다는 윤 원장의 지적에 전적으로 공감한다"고 말했다. 그는 윤 원장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직접 거론하며 비판한 것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개별적으로 그렇게 누구를 비판하거나 지적하는 것보다 우리가 당정관계의 소통이 부족했고 수평적이고 건강한 당정관계를 구축하지 못한 것에 의원, 당원들 대부분과 국민들이 인정하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다만, 윤 원장이 차기 대통령의 취임 즉시 탈당 및 거국 내각 구성을 주장한 것에 대






정치

더보기





문화

더보기